List of Articles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Vol. 14, No. 3, 2011
        Article      
      
	    
	        		        Constructing a Framework for Identity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and Global Age and Connecting it with Subject Areas Teaching
글로벌ㆍ다문화 시대에 적합한 정체성 교육의 내용영역 구안 및 교과교육과의 연계방안 탐색
		        
	        
	        
	        
      글로벌ㆍ다문화 시대에 적합한 정체성 교육의 내용영역 구안 및 교과교육과의 연계방안 탐색
                J. Curric. Eval. 2011;14(3):1-23.
https://doi.org/10.29221/jce.2011.14.3.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1
	        		        A study on the aspect of 8th grade Korean Textbook published by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2007 revised version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 구현 양상 - 8학년,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 구현 양상 - 8학년,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
                J. Curric. Eval. 2011;14(3):25-52.
https://doi.org/10.29221/jce.2011.14.3.2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25
	        		        A Study on Korean Teachers’ experience of Korean Textbook selection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연구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연구
                J. Curric. Eval. 2011;14(3):53-81.
https://doi.org/10.29221/jce.2011.14.3.5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53
	        		        Comparative Analysis of Moral Life Curriculum of Korea and Morals Curriculum of 1st and 2nd Graders of Japan
한국의 초등학교 바른생활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1, 2학년 도덕 교육과정의 비교
		        
	        
	        
	        
      한국의 초등학교 바른생활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1, 2학년 도덕 교육과정의 비교
                J. Curric. Eval. 2011;14(3):83-100.
https://doi.org/10.29221/jce.2011.14.3.8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83
	        		        Examination of Appropriateness of the Mineral and Rock Terms and Proposal of New Terms
광물ㆍ암석 용어의 적절성 검토 및 새로운 용어 제안
		        
	        
	        
	        
      광물ㆍ암석 용어의 적절성 검토 및 새로운 용어 제안
                J. Curric. Eval. 2011;14(3):101-128.
https://doi.org/10.29221/jce.2011.14.3.10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101
	        		        Analysis of the Congruence between Objectives and Evaluation in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Alignment
교과교육과정 조정(Alignment)의 관점에서 본 중학교 ‘정보’교과서의 목표와 평가의 일치도 분석
		        
	        
	        
	        
      교과교육과정 조정(Alignment)의 관점에서 본 중학교 ‘정보’교과서의 목표와 평가의 일치도 분석
                J. Curric. Eval. 2011;14(3):129-155.
https://doi.org/10.29221/jce.2011.14.3.12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129
	        		        Establishing the goal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cultivation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학교급별 다문화교육 목표와 내용체계 구성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학교급별 다문화교육 목표와 내용체계 구성
                J. Curric. Eval. 2011;14(3):157-186.
https://doi.org/10.29221/jce.2011.14.3.15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157
	        		        A Meta-Analysis for the Effect of Self-regulated Program on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중ㆍ고등학생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
		        
	        
	        
	        
      중ㆍ고등학생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
                J. Curric. Eval. 2011;14(3):187-210.
https://doi.org/10.29221/jce.2011.14.3.18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187
	        		        A Case Study on teacher training program improvement for instructional professionality expansion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연구: C교대 교육연구원 직무연수 사례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연구: C교대 교육연구원 직무연수 사례
                J. Curric. Eval. 2011;14(3):211-237.
https://doi.org/10.29221/jce.2011.14.3.21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211
	        		        Relationships between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in Gifted Education
초등 영재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초등 영재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J. Curric. Eval. 2011;14(3):239-259.
https://doi.org/10.29221/jce.2011.14.3.23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239
	        		        Desig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Communication' and teacher's experience in the practicing process
‘소통’을 통한 체육수업 설계와 실행과정 안에서의 교사 경험 - 수업컨설팅 참여를 중심으로 -
		        
	        
	        
	        
      ‘소통’을 통한 체육수업 설계와 실행과정 안에서의 교사 경험 - 수업컨설팅 참여를 중심으로 -
                J. Curric. Eval. 2011;14(3):261-283.
https://doi.org/10.29221/jce.2011.14.3.26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261
	        		        The Development of Expressive Activities: Teaching Strategies for the Appreciation Learning Method in Middle and High Schools
중등학교 표현활동 수업: 감상학습을 위한 지도 전략 개발
		        
	        
	        
	        
      중등학교 표현활동 수업: 감상학습을 위한 지도 전략 개발
                J. Curric. Eval. 2011;14(3):285-308.
https://doi.org/10.29221/jce.2011.14.3.28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285
	        		        Historical development of meta-analysis as an educational research methodology
교육학 연구방법으로서 메타분석(Meta-analysis)의 발전과정 고찰
		        
	        
	        
	        
      교육학 연구방법으로서 메타분석(Meta-analysis)의 발전과정 고찰
                J. Curric. Eval. 2011;14(3):309-332.
https://doi.org/10.29221/jce.2011.14.3.30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309
	        		        How to Make an Assessment More Informative and Interpretable Using the Ordered Partition Model
	            	        
	        
	        
	        
      
                J. Curric. Eval. 2013;14(3):333-361.
https://doi.org/10.29221/jce.2011.14.3.33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333
	        		        An Investigation of the Contextual Variables Affecting the Achievement o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에 영향을 주는 교육 맥락 변인 탐색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에 영향을 주는 교육 맥락 변인 탐색
                J. Curric. Eval. 2011;14(3):363-384.
https://doi.org/10.29221/jce.2011.14.3.36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363
	        		        Estimating Changes of Elementary Students' Achievement in Mathematics During the School Year
연중 수학과 성취도 변화 연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연중 수학과 성취도 변화 연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J. Curric. Eval. 2011;14(3):385-408.
https://doi.org/10.29221/jce.2011.14.3.38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1.14.3.3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