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Read Articles
Most read Articles are listed by the number of read for the previous three months.
An Investig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Classes in the Untact Era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J. Curric. Eval. 2020;23(4):39-57.
https://doi.org/10.29221/jce.2020.23.4.3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0.23.4.39

An analysis on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framework for educational contents: Focusing on the IB PYP
국제 바칼로레아 교육내용 프레임워크 분석: IB PYP를 중심으로
국제 바칼로레아 교육내용 프레임워크 분석: IB PYP를 중심으로
J. Curric. Eval. 2022;25(2):59-87.
https://doi.org/10.29221/jce.2022.25.2.5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2.25.2.59

The accuracy of 2019 high school textbook “Ethics and Thoughts” regarding ‘Knowledge(知) and Action(行)’ of Chu Hsi and Wang Yang-ming
주자(朱子)와 양명(陽明)의 ‘지(知)와 행(行)’에 관한 2019년 “윤리와 사상” 교과서의 정확성
주자(朱子)와 양명(陽明)의 ‘지(知)와 행(行)’에 관한 2019년 “윤리와 사상” 교과서의 정확성
J. Curric. Eval. 2019;22(2):113-136.
https://doi.org/10.29221/jce.2019.22.2.11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9.22.2.113

Changes in math achieve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the wake of COVID-19: The current state and influencing factors
코로나19를 전후한 고등학생 수학 성취도 변화: 실태 및 영향요인
코로나19를 전후한 고등학생 수학 성취도 변화: 실태 및 영향요인
J. Curric. Eval. 2022;25(4):63-88.
https://doi.org/10.29221/jce.2022.25.4.6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2.25.4.63

An International Case Study on Student Achievement Assessment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고교학점제에서의 학생평가에 대한 국외 사례 연구
고교학점제에서의 학생평가에 대한 국외 사례 연구
J. Curric. Eval. 2020;23(2):249-274.
https://doi.org/10.29221/jce.2020.23.2.24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0.23.2.249
Effects of Collaborative Performance Assessment on Group Efficacy and Creative Leader Competency for the Secondary School Language Class
중학교 국어과의 협력형 수행평가가 집단효능감과 창의적 인재 역량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국어과의 협력형 수행평가가 집단효능감과 창의적 인재 역량에 미치는 효과
J. Curric. Eval. 2015;18(2):131-152.
https://doi.org/10.29221/jce.2015.18.2.13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5.18.2.131

Comparative Analysis on Accuracyof Platon's Moderation in "Ethics & Thoughts" Textbook based o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9 개정 교육과정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 수록된 플라톤의 ‘절제’ 관련 내용 정확성 비교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 수록된 플라톤의 ‘절제’ 관련 내용 정확성 비교 연구
J. Curric. Eval. 2017;20(4):1-23.
https://doi.org/10.29221/jce.2017.20.4.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7.20.4.1

Validation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Screening Checklist
느린학습자 선별 체크리스트 타당성 탐색
느린학습자 선별 체크리스트 타당성 탐색
J. Curric. Eval. 2023;26(2):237-258.
https://doi.org/10.29221/jce.2023.26.2.23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3.26.2.237

A study on exploring the learning domains and content elemen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초·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영역 및 내용 요소 탐색
초·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영역 및 내용 요소 탐색
J. Curric. Eval. 2023;26(1):31-56.
https://doi.org/10.29221/jce.2023.26.1.3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3.26.1.3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erformance task for diagnosing democratic communication skills in adolescents
청소년의 민주적 의사소통 능력 진단을 위한 수행과제 개발 및 타당화
청소년의 민주적 의사소통 능력 진단을 위한 수행과제 개발 및 타당화
J. Curric. Eval. 2023;26(2):303-328.
https://doi.org/10.29221/jce.2023.26.2.30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3.26.2.303

Analysis of PISA Global Competence Achievement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Global Teaching Competence
세계시민교육의 PISA 글로벌 역량 성취와 교사의 글로벌 교육역량 매개효과 분석
세계시민교육의 PISA 글로벌 역량 성취와 교사의 글로벌 교육역량 매개효과 분석
J. Curric. Eval. 2023;26(1):1-30.
https://doi.org/10.29221/jce.2023.26.1.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3.26.1.1

Investigation of Affective and Meta-Cognitive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in Mathematics, Korean Language and English
초등 국어, 수학, 영어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메타 인지적 변인 탐색
초등 국어, 수학, 영어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메타 인지적 변인 탐색
J. Curric. Eval. 2016;19(1):227-254.
https://doi.org/10.29221/jce.2016.19.1.22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6.19.1.227

School-Level Factors on the School Academic Achievement: Focusing on Comparison of the Factors on the Ratio of High-Achievement and Under-Achievement
학교 학업성취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 요인: 학업고성취 및 저성취수준에 미친 요인 비교를 중심으로
학교 학업성취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 요인: 학업고성취 및 저성취수준에 미친 요인 비교를 중심으로
J. Curric. Eval. 2016;19(1):333-358.
https://doi.org/10.29221/jce.2016.19.1.33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6.19.1.333

A Meta-Analysis of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s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중등 방과후학교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중등 방과후학교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J. Curric. Eval. 2018;21(3):25-49.
https://doi.org/10.29221/jce.2018.21.3.2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8.21.3.2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cological understanding assessment tool for adolescents applying mind map
마인드맵을 활용한 청소년의 생태적 이해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마인드맵을 활용한 청소년의 생태적 이해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J. Curric. Eval. 2021;24(4):239-268.
https://doi.org/10.29221/jce.2021.24.4.23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1.24.4.239

Measurement Invariance and Predictive Validity of Student Non-cognitive Measures across School Levels
학습동기, 학습전략, 자기통제성의 학교급별 측정동등성 및 학습부진과의 관계 분석
학습동기, 학습전략, 자기통제성의 학교급별 측정동등성 및 학습부진과의 관계 분석
J. Curric. Eval. 2017;20(1):87-113.
https://doi.org/10.29221/jce.2017.20.1.8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7.20.1.87

A Case Study on the “Theme Selection Activity” of Free Semester Program : Exploration of the Educational Meaning
자유학기제 “주제선택 활동” 운영 사례 분석 : 주제선택 활동의 교육적 의미 고찰
자유학기제 “주제선택 활동” 운영 사례 분석 : 주제선택 활동의 교육적 의미 고찰
J. Curric. Eval. 2018;21(1):31-60.
https://doi.org/10.29221/jce.2018.21.1.3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8.21.1.31
A study of exploring support plans for teachers to understand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교사의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이해 지원 방안 탐색
교사의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이해 지원 방안 탐색
J. Curric. Eval. 2023;26(2):107-124.
https://doi.org/10.29221/jce.2023.26.2.10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3.26.2.107
Analysis of Standards and Instruments of Teacher Assessment Literacy in Korea
국내 교사 평가 전문성 기준과 측정도구 분석
국내 교사 평가 전문성 기준과 측정도구 분석
J. Curric. Eval. 2021;24(1):173-201.
https://doi.org/10.29221/jce.2021.24.1.17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1.24.1.173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s in Korea and Finland
한국과 핀란드의 고등학교 내신평가체제 비교분석
한국과 핀란드의 고등학교 내신평가체제 비교분석
J. Curric. Eval. 2019;22(1):77-100.
https://doi.org/10.29221/jce.2019.22.1.7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9.22.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