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Read Articles
Most read Articles are listed by the number of read for the previous three months.
The Direction of Student Record-Based Admission Evaluation in Light of the 2028 College Admissions Reform
2028 대입제도 개편에 따른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 방향
2028 대입제도 개편에 따른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 방향
J. Curric. Eval. 2025;28(2):189-216.
https://doi.org/10.29221/jce.2025.28.2.18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5.28.2.189

Exploring educational inequality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고교학점제의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으로 인한 교육 불평등 문제 탐색
고교학점제의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으로 인한 교육 불평등 문제 탐색
J. Curric. Eval. 2023;26(2):29-50.
https://doi.org/10.29221/jce.2023.26.2.2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3.26.2.29

Changes in math achieve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the wake of COVID-19: The current state and influencing factors
코로나19를 전후한 고등학생 수학 성취도 변화: 실태 및 영향요인
코로나19를 전후한 고등학생 수학 성취도 변화: 실태 및 영향요인
J. Curric. Eval. 2022;25(4):63-88.
https://doi.org/10.29221/jce.2022.25.4.6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2.25.4.63

Exploring the Mathematics Structure and Course Pathways in Accordanc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수학 교과목 체계와 이수 경로 탐색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수학 교과목 체계와 이수 경로 탐색
J. Curric. Eval. 2022;25(2):1-29.
https://doi.org/10.29221/jce.2022.25.2.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2.25.2.1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integrated support for ensuring basic academic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중학생의 기초학력 통합지원 운영 실태 분석: 서울특별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중학생의 기초학력 통합지원 운영 실태 분석: 서울특별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J. Curric. Eval. 2025;28(2):123-160.
https://doi.org/10.29221/jce.2025.28.2.12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5.28.2.123
Explor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experiences on the student-selective curriculum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고교학점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경험 탐색
고교학점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경험 탐색
J. Curric. Eval. 2023;26(3):53-79.
https://doi.org/10.29221/jce.2023.26.3.5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3.26.3.53

A Reflective Review on the Opinion Collection of “Curriculum with the People”: Focusing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국민과 함께하는 교육과정”의 의견 수렴에 대한 반성적 고찰: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국민과 함께하는 교육과정”의 의견 수렴에 대한 반성적 고찰: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J. Curric. Eval. 2025;28(2):33-66.
https://doi.org/10.29221/jce.2025.28.2.3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5.28.2.33
An Investig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Classes in the Untact Era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J. Curric. Eval. 2020;23(4):39-57.
https://doi.org/10.29221/jce.2020.23.4.3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0.23.4.39

Keyword Network Analysis on Digital Media Literacy for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22 개정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탐색을 위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2022 개정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탐색을 위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J. Curric. Eval. 2025;28(1):47-73.
https://doi.org/10.29221/jce.2025.28.1.4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5.28.1.47

An analysis on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framework for educational contents: Focusing on the IB PYP
국제 바칼로레아 교육내용 프레임워크 분석: IB PYP를 중심으로
국제 바칼로레아 교육내용 프레임워크 분석: IB PYP를 중심으로
J. Curric. Eval. 2022;25(2):59-87.
https://doi.org/10.29221/jce.2022.25.2.5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2.25.2.59

An International Case Study on Student Achievement Assessment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고교학점제에서의 학생평가에 대한 국외 사례 연구
고교학점제에서의 학생평가에 대한 국외 사례 연구
J. Curric. Eval. 2020;23(2):249-274.
https://doi.org/10.29221/jce.2020.23.2.24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0.23.2.249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in the phased Applic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고교학점제 단계적 도입에 따른 진로·학업 설계 지도의 현황 및 인식 분석
고교학점제 단계적 도입에 따른 진로·학업 설계 지도의 현황 및 인식 분석
J. Curric. Eval. 2024;27(1):29-57.
https://doi.org/10.29221/jce.2024.27.1.2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4.27.1.29

An analysi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content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cusing on comparison of the 2015 revised and 2022 revised curriculums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2015 개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2015 개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 비교를 중심으로
J. Curric. Eval. 2024;27(1):59-85.
https://doi.org/10.29221/jce.2024.27.1.5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4.27.1.59
A study of exploring support plans for teachers to understand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교사의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이해 지원 방안 탐색
교사의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이해 지원 방안 탐색
J. Curric. Eval. 2023;26(2):107-124.
https://doi.org/10.29221/jce.2023.26.2.10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3.26.2.107
Comparison and analysis of CEFR reception, production skill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CEFR 이해, 표현 기능과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CEFR 이해, 표현 기능과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J. Curric. Eval. 2023;26(3):217-245.
https://doi.org/10.29221/jce.2023.26.3.21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3.26.3.217

Social perception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in the media by text mining
성취평가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언론 기사를 활용한 텍스트마이닝을 중심으로
성취평가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언론 기사를 활용한 텍스트마이닝을 중심으로
J. Curric. Eval. 2024;27(4):325-351.
https://doi.org/10.29221/jce.2024.27.4.32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4.27.4.325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pproaches to guarant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ic academic ability
초등학생의 기초학력 보장 심리·정서적 향상을 위한 실제 분석
초등학생의 기초학력 보장 심리·정서적 향상을 위한 실제 분석
J. Curric. Eval. 2024;27(2):101-121.
https://doi.org/10.29221/jce.2024.27.2.10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4.27.2.101

A Discourse Study on Literacy Using LDA Topic Modeling: Focusing on News Data
LDA 토픽 모델링을 통한 문해력에 대한 담론 연구: 뉴스 데이터를 중심으로
LDA 토픽 모델링을 통한 문해력에 대한 담론 연구: 뉴스 데이터를 중심으로
J. Curric. Eval. 2025;28(1):107-138.
https://doi.org/10.29221/jce.2025.28.1.10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5.28.1.10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ssessment Tools for Evalua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by Teachers and Parents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진단을 위한 교사용·부모용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진단을 위한 교사용·부모용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J. Curric. Eval. 2024;27(1):157-182.
https://doi.org/10.29221/jce.2024.27.1.15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4.27.1.157
Exploration on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in the Era of School-age Population Decline: Based on Future School Scenarios
학령인구 감소 시대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 탐색: 미래학교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학령인구 감소 시대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 탐색: 미래학교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J. Curric. Eval. 2024;27(1):1-28.
https://doi.org/10.29221/jce.2024.27.1.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4.2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