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 론
2015 영어과 교육과정은 역량 기반 교육과정으로 개발되었으나 시행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교과 역량이 교육과정 성격 부분에 제시되었으나, 성취기준과 교수·학습 및 평가까지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이소영, 2016)과 성취기준이 영어 의사소통 역량에 편중되어 역량이 고르게 반영되지 못했다는 점(김미진, 2019) 등이 있었다. 특히 교과 역량과 4 기능 간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내용 체계표와 성취기준이 4 기능 체계로 구성된 점이 역량 기반 성취기준 개발을 저해한다는 지적이 있었다(맹은경 외 2021; 이병천 2018). 이에 대해 이진화(2022)는 4기능 구성 체제의 한계로 교과역량 중심이 아닌 각 기능별 요소에 따라 교수·학습 및 평가가 구성될 수 밖에 없음을 지적했다.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실생활 중심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목표로 역량 중심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수정·보완하였다. 영어과에서는 총론에서 제시하는 여섯 가지 핵심역량의 총합을 영어 의사소통 역량으로 보고, 이를 영어로 제시된 정보를 습득, 문화적 산물 향유, 자신의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 영어 사용자들과 협력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역량으로 기술하였다(교육부, 2022). 이는 총론에서 제시한 핵심역량을 영어과 관점에서 해석하고 구체화한 것이다.
2015 영어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교육내용의 개편이다.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듣기와 읽기를 이해(reception)로 통합하고, 말하기와 쓰기를 표현(production)으로 통합하였다. 이러한 개편은 사회·문화적인 변화를 통해 의사소통에 사용되는 매체와 기술의 다양성과 영어과의 네 기능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구분이 불명확한 점을 반영하여 이루어졌다. 4 기능 체계가 아닌 의사소통 목적에 따른 분류법을 채택한 것으로 CEFR(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이 있다. CEFR은 다국적, 다문화 배경을 가진 유럽에서 제작되었으며, 학습자의 언어 능숙도를 일반적 능력(general competence), 의사소통적 언어 능력(communicative language competence), 의사소통적 언어 활동(communicative language activities)과 의사소통적 언어 전략(communicative language strategies)으로 구성된다고 보고 크게 6단계로 제시한다(Council of Europe, 2020). CEFR은 의사소통적 언어 활동과 전략을 의사소통 양상인 이해(reception), 표현(production), 교류(interaction)와 중재(mediation)의 항목별, 학습자 단계별로 기술하고 있다.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학교급별 성취기준의 주제 범주 위계를 설정하기 위해 CEFR 언어 능숙도 진술문을 참고했다(주형미 외, 2022). 실생활 의사소통을 반영하기 위한 기능 개편으로 CEFR 이해와 표현 영역 아래 성취기준이 제시되었으나, 단순한 성취기준 기술의 통합인지에 대한 검증이 요구된다. 기존에 2015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CEFR 진술문을 비교·분석하여 성취기준의 적정성을 검증하고 개선점을 제시한 연구(이영식, 김혜영, 2009; 황필아, 2016; 전지혜, 김정렬, 2018)들을 통해, CEFR이 역량 기반 성취기준 개발을 위한 참고 기준이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개편에 중점을 두어 이해, 표현 영역을 CEFR 이해, 표현 기능과 비교·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CEFR은 초급 학습자의 언어 능숙도를 Pre-A1, A1, A2와 같이 더욱 세분화하여 기술하고 조건을 통해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매우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점(전지혜, 2022)에서 실생활 중심의 영어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목표로 하는 초등 학습자의 학습 도달점을 보다 명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기능의 결합과 상호작용에 따라 이해와 표현으로 기술한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CEFR 이해와 표현 언어 능숙도 진술문의 구성을 분석하여 유사성과 차이점을 밝히고, 다양한 의사소통 양상을 반영하기 위해 의사소통 목적에 따라 구성된 CEFR 이해, 표현 기능에서 성취기준의 보완점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CEFR 이해, 표현 언어 능숙도 진술문과 2022 개정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우리나라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따라 분석할 수 있는가?
둘째, 우리나라 성취기준에 적용 가능한 CEFR 이해, 표현 항목의 내용 요소를 분석할 수 있는가?
II. 이론적 배경
CEFR은 실생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의사소통의 양상을 반영하기 위해 이해, 표현, 교류와 중재로 기능을 기술하였다. 이해와 표현은 구어와 문어로 나뉘며, 교류는 이해와 표현을 모두 포함한다. 중재는 가장 큰 개념으로 직접적인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으로, 번역, 해석, 의역, 요약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의사소통 기능은 학습자 단계별로 기술되었다. 단계는 가장 기본적인 언어 사용이 가능한 초급 학습자(basic user), 유창성과 정확성이 증가한 독립적 학습자(independent user)와 언어 학습의 완성도(mastery)를 갖춘 능숙한 학습자(proficient user)로 나뉜다(Council of Europe, 2020). 언어 능숙도 진술문은 교수·학습 기준을 개발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예시를 제공하고, 자기평가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 언어 능숙도 진술문은 교육과정 관련자들의 협의를 거쳐 명료성, 정확성 등에 대한 질적 검증과 Rasch 척도 분석을 통해 타당성 검증을 받았다(Council of Europe, 2020). CEFR 진술문은 교육과정 설계를 위해 목표 수준을 설정한 후 해당 단계에 적합한 진술문을 모으고, 교육과정 관련자들과 의논을 통해 관련된 것을 중심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초급 학습자 단계 진술문을 성취기준과 비교·분석한 결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CEFR 이해는 입력을 받고 처리하는 것으로 표현된 의미와 의사소통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적절한 스키마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이해 항목은 이해 활동과 전략이 있고, 이해 활동은 구어와 문어 및 시청각 매체 이해로 구성되었다.
구어 이해는 세미나, 회의, 강의와 사람들의 대화를 듣고 이해하는 것으로, 오디오 자료와 녹음자료를 포함한다. 시청각 매체 이해는 TV, 영화, 비디오로 매체 사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문어 이해는 개인적인 기록과 공식 서신과 같이 다양한 텍스트 자료를 포함하며, 독서의 목적을 정보와 논쟁 파악, 여가 활동, 지침 파악 등으로 분류하였다. 이해 전략은 단서 파악 및 유추하기 1가지로 삽화, 서식, 제목, 텍스트 의미 추론과 같은 대상과 상향식, 하향식 처리와 같은 정보처리 방식을 기술하고 있다(Council of Europe, 2020).
CEFR 표현은 구어, 문어 활동과 전략을 포함하고 있으며, 구어 표현은 짧은 설명과 일화부터 길고 형식적인 발표 모두 해당한다. 특히, 표현 활동은 학술적이고 전문적인 분야에서 사회적인 가치를 지니고, 그 결과물의 유창성과 명료성을 판단할 수 있다. 학습자는 교육과 경험을 통해 문해력을 갖추게 되고, 이는 표현 활동의 수준을 향상시킨다.
구어 표현은 대인 관계, 거래, 평가적 기능을 반영하고 있으며, 청중 연설과 발표하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구어 표현은 독백의 형식으로 경험 묘사, 정보 제공, 사례 제기를 기술하고 있다. 경험 묘사는 설명과 이야기와 관련되고, 사례 제기는 논쟁과 관련된 항목이 기술되었다. 독백은 발화의 방향이 일방향이라는 점에서 상호교류가 일어나는 대화와 구분되며, 정확도를 갖춘 설명이 필요하다. 표현 전략 중 계획하기는 형식적인 장르와 관련성이 있으며, 검토와 수정하기는 초급 학습자 단계 기술이 없어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였다.
역량은 특정 상황과 맥락에서 교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가 통합적으로 사용되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다(교육부, 2022). 최근 교육의 방향은 학습자의 사고력 향상을 위해 탐구학습을 하는 과정에서 학습 수행을 하면서 역량을 함양하는 쪽으로 흘러가고 있다(이재근, 2022). 지식·이해와 수행 능력을 동시에 강조하는 역량의 달성 결과를 상세화하여 기술한 성취기준은 역량 중심의 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 더욱 강조되고 있다(이근호 외, 2013; 이병천, 2018). 역량은 총체성과 발달적 특징을 가지고 사고에 의한 수행(doing by thinking)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성취기준은 이러한 역량을 길러 학습자의 수행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기술한다. 따라서 성취기준은 교과 교육내용을 압축적으로 제시하고 교수·학습 및 평가의 기준이 되는 교육과정의 핵심 요소이다(김경한, 2022). 성취기준은 학습자가 학습할 내용을 진술하는 내용 기준(content standards)과 내용 기준에 도달했는지 판단하는 수행기준(performance standards)으로 구분된다(윤현진, 박선화, 이근호, 2008).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내용 기준이자 수행기준으로,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담은 내용 체계표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은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해 학생들이 알아야 하고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을 활동과 맥락 안에서 체계적으로 제시해야 한다(이영아, 2023).
지식·이해는 영어과 언어 지식(linguistic knowledge)과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문화적 상황에 대한 이해를 기술하였다. 언어 지식으로는 어휘, 의사소통 기능, 언어 형식과 초분절적(suprasegmental) 지식, 학습 장르, 정보 전달과 정보 교환의 목적을 가진 담화와 글을 내용 요소로 기술하였다.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자기 주변, 일상생활 주제, 의사소통 상황, 목적, 다양한 문화권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을 맥락으로 기술하였다(김동연, 이재근, 2023). 과정·기능은 영어 사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능으로, 이해, 표현 과정에서 유의미한 상호 과정으로 영어를 내재화한다. 역량은 학습자의 지식과 기능, 태도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번 2022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자기주도학습 역량과 공동체 역량을 중점으로 가치·태도 요소를 기술하였다.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언어 기능 영역을 이해와 표현의 2개 영역으로 개편하였다. 학습자는 정보 취득을 위해 다양한 언어 입력을 수집, 처리, 활용하고, 자신의 생각, 느낌, 의견 등을 다양한 방식과 매체로 표현한다. 이해와 표현은 정보 이해라는 목적과 자신의 생각과 느낌, 의견 등을 표현하기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두 영역은 개별적이면서도 상호작용을 통해 통합될 수 있다. 기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이해와 표현으로 개편하면서 다양한 실생활 언어 사용을 반영하고, 성취기준의 중복된 기술을 피할 수 있다(주형미 외, 2022). 7차 교육과정에서 처음 등장한 성취기준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주제 범주와 연계하여 설계되었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주제의 범주가 넓어지고 소재 난이도가 높아졌다(임찬빈 외, 2011). 우리나라 성취기준은 CEFR과 ACTFL의 언어 능숙도 단계별 주제를 참조하여, 3-4학년군 자기 주변 주제, 5-6학년군 일상생활 주제로 설정하였다. 영어과 성취기준의 명료성과 기술 일관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내용 체계표를 구성하여 별표로 제시된 어휘, 언어형식, 소재를 성취기준과 연계하였다(이영아, 2022). 또한, 역량의 종합적 의미를 고려했을 때, 학습자가 갖추어야 하는 전략을 명시적이고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성취기준과 그 해설에 전략을 사용하여 담화나 문장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따라서, 교사는 영어 수업 시 학습자가 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부분을 평가해야 한다(최원경, 2022). 이러한 개정에도 불구하고, 성취기준에 대한 개선 요구는 이어지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간 종적, 횡적 연계성 강화와 같은 질적인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지적에 따라 성취기준의 목적, 의미, 용도가 분명히 정립될 필요가 있다(이문복, 정희정, 2020). 김경한(2022)은 학교 현장에서 성취기준과 수준에 대한 명확한 이해 없이 수업과 평가를 하는 사례가 많다는 점과 내용 기준과 수행기준 상세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을 지적하고 학습 내용, 학습맥락, 수행 행동, 수행조건, 도달 기준, 목표능력과 같이 교과교육 관점에서 성취기준 진술 모형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성취기준은 전문가의 직관과 경험에 따라 성취기준표를 작성하고 대단위 설문 조사 방식을 거치기 때문에 단시간에 기준 개발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이영식, 김혜영, 2009; 이문복, 정희정, 2020). 이문복과 정희정(2020)은 이러한 제작 방식이 신뢰도와 타당도 확립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보완하고자 CEFR 언어 능숙도 진술문 제작과 검증 방안을 참고한 개발 방법을 제시하였다. 해당 개발 방법은 우리나라 학습자 언어 표본을 수집하여 코퍼스로 구축하고, 전문가 집단이 단계를 분류한 후 대단위 설문 조사를 통해 적합성을 조사하여 Rasch 분석으로 타당도 검증을 하는 것이다. 성취기준 개선 방안을 제시한 연구와 함께 적정성을 CEFR로 검증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이 학교급별, 언어 기능별로 나뉘었기 때문에, 각 분야별로 CEFR과 비교·분석이 이루어졌다. 단계별 언어 능숙도 진술문이 구축된 CEFR 특징에 따라 우리나라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 초등 영어 읽기 성취기준은 A1, A2 단계와 같이 초급 학습자에 해당하였다(황필아, 2016). CEFR 단계는 사용자의 목적과 학습자 수준에 따라 세분화할 수 있다는 특징에 따라 우리나라 3-4학년군과 5-6학년군 성취기준을 초급 학습자 단계 범위 내에서 세분화한 연구도 있었다(전지혜, 김정렬, 2018). 전지혜(2022)는 CEFR을 일본 교육환경에 맞게 재구조화한 CEFR-J의 언어 능숙도 진술문(Negishi, 2012)을 참고하여 CEFR 이해와 표현 진술문을 분석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비교·분석하여 그 결과를 반영한 Pre-A1, A1, A2 단계 진술문을 제시하였다. 단계별 기술을 통해 성취기준 간 연계성과 위계성을 명료화할 수 있었다. CEFR 진술문은 의사소통 상황, 조건의 기술이 상세하게 제시되어 우리나라 성취기준 기술보다 길이가 길고, 항목별로 수가 많았다. 최정은 외(2022)는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 수준과 대학수학능력 영어 평가 수준의 일관성을 CEFR을 토대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 음성언어 수준이 문자언어 수준보다 높으며, 고등학교 졸업 시 B2 단계 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영아(2023)는 CEFR 과 같이 의사소통 활동이 드러나도록 우리나라 성취기준을 기술하고, 배경(setting), 주제(topic), 의사소통 목적 및 장르(genre), 문화(culture)와 같이 의사소통 수행에 관계되는 요인을 포함하면 역량의 수행성과 맥락성이 나타날 수 있다고 제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취기준과 CEFR 이해, 표현 진술문을 비교·분석하여 두 체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행 능력을 명료화하고자 한다.
III. 분석 방법
본 연구는 CEFR 이해, 표현 진술문과 2022 개정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CEFR은 각 의사소통 기능에 따른 학습자 수행 능력을 can-do 형식의 진술문으로 기술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진술문으로 기술하였다. CEFR 이해, 표현 진술문은 각각 활동과 전략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Pre-A1부터 C2 단계로 기술되었다. 본 연구는 2015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CEFR 초급학습자 단계 진술문으로 분석한 결과, 초등 3-4학년군은 CEFR A1, 5-6학년군은 A2 단계 진술문과 주로 매칭된다(전지혜, 김정렬, 2018)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영어 교육과정의 성취수준을 CEFR 초급 학습자로 설정하고, Pre-A1, A1, A2 단계 이해와 표현 진술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초급 학습자 단계 이해 관련 진술문은 총 96개, 표현 관련 진술문은 총 48개로 144개에 달하였다. 이해 관련 항목 가운데 구어 이해는 32개, 문어 이해는 51개로 나타나 읽기 관련 초급 학습자 진술문 수의 비중이 높았다. 표현 관련 항목은 구어 표현 27개, 문어 표현 16개로 구어 표현의 비중이 높았다. 표현 전략 중 검토와 수정하기는 초급 학습자 해당 진술문이 없는 관계로 본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이는 초급 학습자가 말한 내용을 재검토하여 적절성과 정확성을 수정하는 단계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2022 개정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은 듣기와 읽기를 이해, 말하기와 쓰기를 표현으로 통합하고 학년군별로 성취기준을 10개씩 총 40개로 개편하였다. 이는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이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로 나누어 학년군별 성취기준을 기술한 것과 다르다. 기존 3-4학년군 성취기준 22개, 5-6학년군 성취기준 23개에서 이해 20개, 표현 20개로 성취기준 수가 감소하였다. 이번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의 균형적인 교육을 위해 영역별 성취기준의 수를 조정하되, 특히 영어 기초 문해력 강화를 위해 관련 성취기준을 보강했다는 점에서 기능 통합적 기술과 읽기와 쓰기 관련 기술이 보완되었다.
본 연구는 이해와 표현으로 개편된 2022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적용 가능한 CEFR 이해, 표현 항목의 내용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우리나라 교육과정 성취기준 내용 체계를 분석 도구로 활용하였다. 우리나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진술문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로 분석하고, 내용 요소에서 관련지을 수 있는 부분을 모색하였다. CEFR과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이해와 표현을 주어진 입력을 받고 처리하는 것과 생각, 느낌, 의견 등을 다양한 방식과 매체로 표현하는 것으로 같은 맥락에서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해와 표현 기능별로 진술문과 성취기준을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 따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로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CEFR 대응 관계 분석은 개별 판단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영어교육 분야 박사 학위 소지자 2명과 함께 최정은 외(2022)가 사용한 숙지(familiarization), 판단(judgement), 조정(adjustmant)을 거쳤다. 각 전문가가 제시된 CEFR 진술문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논의하는 숙지 단계와 다르게 본 연구는 내용 체계에 따라 분석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표 6>의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CEFR 진술문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내용 체계에 따라 1차 분석한 내용을 전문가 집단에서 판단하고 이견이 있는 경우 논의를 통해 조정을 거쳤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내용 체계표로 분석하고, CEFR 진술문 분류 시 지식·이해는 언어 지식과 맥락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표 6>의 ‘people agree and disagree in a conversation’과 같이 의사소통 상황 및 목적에 따라 기술하였다. 과정·기능은 진술문의 can-do 형태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며, 가치·태도는 심미적인 부분임을 고려하였다. CEFR 진술문은 항목에 따라 단계별로 기술되어 있어 중복되는 내용 요소는 한 번만 기술하였다. 성취기준은 내용 요소를 통합하여 기술하였기 때문에 중점을 두는 비중에 따라 내용 체계 분류가 되었다. 알파벳은 언어적 지식으로 지식·이해 요소로 분류할 수 있으나, 교육과정 내용 체계표 과정·기능의 ‘알파벳 대소문자 식별하기’, ‘알파벳 대소문자 쓰기’로 기술되었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표 3>의 교육과정 내용 체계를 따르되, 내용 요소 파악을 중점을 두기 위해 성취기준 내용 요소를 재분석하였다. CEFR 진술문과 성취기준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종합하여 차이점과 유사성을 기술하였다. 또한 의사소통 목적에 따라 이해와 표현 기능을 여러 항목으로 나누어 기술한 CEFR과 성취기준의 공통된 내용 요소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CEFR 진술문의 일대일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최정은 외, 2022)에 따라, 본 연구는 의사소통 목적이 상세화되어 제시된 CEFR 이해, 표현 기능의 특성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성취기준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구어, 문어, 전략으로 구분된 CEFR 이해, 표현 항목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측면에서 내용 요소별 연계될 수 있는 성취기준을 찾아 기술하였다.
IV. 연구 결과 및 논의
각 기능의 결합과 상호작용에 따라 이해, 표현으로 개편한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CEFR 이해, 표현 진술문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따라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용 체계 요소 외 CEFR 진술문은 초급 학습자 의사소통과 관련된 조건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었다. 초급 학습자는 의미 이해를 위해 느리고 명료한 발음, 다시 진술, 긴 휴지(long pauses)와 같은 상대방의 전달과 전략이 필요하고, 사전 연습을 통해 자신의 생각, 경험,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문어는 축약형 없이 기술된 텍스트를 다시 읽기를 통해 의미를 분명히 이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시각적 자료, 동작, 사전(dictionary), 참고 자료(reference) 활용과 같은 조건이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기술되었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심미적 태도를 반영한 가치·태도 부분이 반영되었으나, CEFR 진술문은 관련 요소가 없었다.
이해는 입력을 받고 처리하는 것으로 의미와 의사소통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적절한 스키마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해당 진술문과 성취기준의 지식·이해 요소는 <표 7>과 같다.
진술문과 성취기준은 모두 단어, 문장, 이야기에 있어 ‘짧고 간단한’과 같이 길이에 제한을 두고, ‘자기 주변’, ‘일상 주제’ 맥락에서 기술하고 있다. CEFR 진술문은 이러한 맥락을 보다 상세화하여 장소, 시간, 개인 정보, 쇼핑, 지역 지리, 고용, 가이드투어, 호불호, 일기예보, 콘서트 발표, 스포츠 경기 결과, 패스트푸드점 메뉴, 매장과 승강기 위치 등으로 기술했다. 또한 손님과 점원 사이 대화문을 This is where the president lives, Stop, Close the door, Back at 4 o’clock, In the meeting room. 진술문 안에 포함하고, 녹음 자료, 광고, 방송, 비디오, 뉴스, 영화 트레일러와 장면, 식당 메뉴, 편지 등과 같이 의사소통 매체와 자료를 매우 상세하게 포함하여 담화 수준을 기술하고 있다. 이에 비해 성취기준은 구체적인 예시와 자료보다는 일반적인 기술과 함께 3-4학년군 자기 주변 주제와 5-6학년군 일상생활 주제로 구분하였다.
최정은 외(2022)가 분석한 것과 마찬가지로 성취기준의 알파벳 대소문자 식별, 강세, 리듬, 억양과 같은 초분절적 요소, 알파벳과 대소문자 구별, 소리와 철자 관계와 같은 기초지식(enabling skills)은 의사소통 활동과 전략 위주로 기술된 CEFR 진술문에 기술되지 않았다. CEFR은 학습자의 의사소통을 기능과 언어적, 화용적, 사회문화적, 전략적 능력으로 나누고, 언어적 능력에서 철자 제어(orthographic control)와 음운론적 제어(phonological control) 항목을 단계별로 따로 기술하고 있다. Council of Europe(2020)에 따르면 철자 제어 항목에서 초급 학습자는 친숙한 주제에 관한 짧은 문장과 단어를 따라 쓸 수 있으며 발음을 고려하여 짧은 단어를 따라 쓸 수 있고, 음운론적 제어 항목에서 초급 학습자는 발음, 운율, 강세, 리듬면에서 모국어의 영향을 받지만 상대방의 반복 요청 또는 협조를 통해 친숙하고 일상적인 단어와 구문, 문장을 소리내어 말할 수 있는 수준이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학습자 의사소통 기능 안에 해당 요소를 기술하고 있으나, CEFR은 언어적 능력으로 분류하여 기술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CEFR 진술문의 과정·기능에서 기술한 구체적 정보(concrete information), 가장 중요한 정보(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필수 정보(essential information)는 성취기준의 의미 이해하기, 주요 정보 파악하기, 세부 정보 파악하기, 중심 내용 파악하기와 공통점이 있다. CEFR 진술문의 과정·기능에서 기술한 정보는 지식·이해의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더욱 명료화할 수 있다. 진술문과 성취기준은 모두 과정·기능에서 전략 요소를 기술하고 있다. 이해 전략과 관련된 진술문으로 특정 정보를 찾을 수 있다(can locate specific information), 추론할 수 있다(can deduce), 추측할 수 있다(can guess), 활용할 수 있다(can exploit)와 같이 단서를 파악하고 유추하는 과정·기능이 기술되었다. 이와 같은 진술문의 전략은 성취기준에서도 실물, 그림, 동작 등의 시각 정보를 활용하여 의미를 추측하거나 듣거나 읽을 내용을 예측하는 것으로 다루고 있다. 이러한 전략 관련 성취기준은 학습자가 전략을 활용하여 담화나 문장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요소로서 그 중요성을 갖는다. CEFR 진술문은 과정·기능 요소에서 위계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성취기준은 의미에 대한 이해 없이 문자를 발음하는 해독(decoding)과 소리내어 읽을 수 없으나 의미에 대한 이해(comprehension)를 학년군별 연계성과 위계성을 고려하여 기술하여 읽기 지도를 강조하고 있다.
성취기준 |
---|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고 듣거나 읽으며 즐기는 태도 상대의 감정을 느끼고 공감하는 태도 다양한 문화와 의견을 존중하고 포용하는 태도 |
이해 기능의 가치·태도는 흥미와 공감, 존중, 포용의 심미적 감수성을 기술하였다. 개별적으로 심미적 측면을 평가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다른 성취기준과 통합하여 평가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CEFR은 이해, 표현 진술문에 가치·태도 요소가 기술되지 않았으나, 문화에 관한 존중과 포용적 태도와 같은 심미적 요소를 다중언어 및 다중문화 역량(plurilingual and pluricultural competence) 항목으로 따로 다루고 있다.
CEFR 이해 진술문은 간단한 사회적 교류 내용, 의사소통 매체와 자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입력 내용을 상세화하였지만, 표현 진술문은 말하기와 쓰기 관련 주제를 맥락 내용 요소와 관련지어 기술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과정 표현 기능은 적절한 매체를 활용하여 담화나 글로 감정이나 의견을 표현 및 교환하는 능력과 태도로 기술되었다.
표현 진술문과 성취기준 모두 이해 기능과 마찬가지로 단어, 어구, 문장을 언어 지식으로 삼고, 자신과 주변의 친숙한 주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같았다. 성취기준은 자신, 주변 사람이나 사물의 소개나 묘사, 행동 지시, 자신의 감정, 의견, 경험, 계획 및 주변 장소나 위치, 행동 순서나 방법과 같이 의사소통 상황과 목적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CEFR 진술문의 맥락과 유사하였다. CEFR 표현 진술문은 상대방 후속 질문 답하기, 개인적인 주제에 대한 의견과 인상 진술, 대상 비교와 같이 표현의 특성을 반영하여 기술되었다. 성취기준은 이해 내용 요소와 비교했을 때 알파벳 식별에서 대소문자를 구별하고 문장 부호를 바르게 쓰는 것까지 표현 기능에서 다루는 특징이 있으나 CEFR 표현 진술문은 관련 내용 요소가 없었다.
CEFR 표현 진술문은 계획하고 보완하는 과정에서 요점 찾기, 동작 사용하기, 식별하기와 같은 전략을 포함하고 있으며, 성취기준은 사진, 그림, 디지털 매체와 비언어적 수단, 그림 글자나 단어 쓰기, 반복 확인, 브레인스토밍과 같은 매체와 전략 활용에 대해 해설에서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표현 과정·기능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의견과 감정을 전달하기 위해 적절한 전략을 사용할 수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CEFR은 진술문이 속한 항목의 특성에 따라 과정·기능 내용 요소가 기술되었다. 지속적 독백 항목의 경험 묘사, 정보 제공, 사례 제기 항목에서 표현, 설명, 기술,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학습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발표하기의 경우, 발표 제시, 대답하기, 창의적 쓰기 항목은 창작, 작성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표현 가치·태도 관련 성취기준은 의사소통 활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고 대화 예절을 지켜 협력하며, 참여하는 태도로 기술되었다. 내용 체계에 제시된 다양한 문화와 의견을 존중하고 포용하는 태도는 직접적으로 성취기준에 기술되지 않았으나, 다른 성취기준과 관련지어 전반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 CEFR 진술문은 가치·태도 요소가 없고, 의사소통 기능 중 가장 큰 범주인 중재(mediation)에서 다른 학습자와 협력적인 과제 수행에 대해 단계별로 제시하고 있으나 본 연구 주제를 벗어나 따로 분석하지 않았다.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개편한 이해, 표현의 성취기준에 적용 가능한 CEFR 이해, 표현 항목의 내용 요소를 분석하여, 이해와 표현의 의사소통 양상을 분석하고 보완점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CEFR 이해, 표현 항목을 중심으로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CEFR은 적절한 스키마 활성화를 통해 주어진 입력을 처리하여 의미와 의사소통 의도를 파악하는 이해 기능을 듣기 상황이나 장르에 따라 항목을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항목은 입력의 종류에 따라 구어와 문어 및 시청각 이해로 나뉘고, 전략을 따로 기술하고 있다. 우리나라 성취기준은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학년군별로 제시하고 있다. 내용 체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CEFR 진술문과 성취기준은 짧고 간단한 수준의 자기 주변, 일상 주제 내용을 듣고,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갖추고 있으나, CEFR 진술문은 가치·태도를 제외한 두 가지 요소에서 성취기준보다 세분화된 특징이 있었다. 이러한 유사성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의미와 의사소통 의도, 상황, 장르를 명료화한 CEFR 이해 기능 항목에서 성취기준이 보완할 수 있는 점을 분석하였다.
구어 이해는 전반적인 학습자의 구두 이해력과 함께 주어진 자료의 종류에 따라 세미나, 회의, 강의, 사람들의 대화와 같이 4가지로 구분된다. 방송, 비디오 및 오디오와 같이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파악하고 화자의 태도와 관점을 파악하는 CEFR 이해 항목의 특성이 다양한 매체로 표현된 담화를 듣거나 문장 및 글 읽기, 일상생활 주제에 관한 담화와 글 내용 파악 성취기준과 관련될 수 있다. 전반적인 구두 이해력 항목 중 초급 학습자의 수준은 일상적이고 친숙한 주제에 관한 쉽고 간단한 단어, 어구, 문장이 천천히 명료하게 전달되었을 때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CEFR은 초급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속도가 느리고 명료한 발음, 시각 자료 및 동작 제시, 의미 형성을 위해 중간에 휴지(long pause) 존재와 같이 조건을 함께 기술했다. 이러한 점을 고려했을 때, [4영01-05]와 [6영01-03]의 기술이 초급 학습자 수준을 가장 명료하게 기술하고 있다. 화자 사이 대화 이해 항목은 학습자가 대화에 개입할 수 없는 수동적 청자이기 때문에 단어, 기호, 구, 주제와 요점, 대화자의 태도 및 사회적 맥락 파악과 관련이 있다. 초급 학습자는 느리고 명확한 대화 가운데 쉬운 단어, 짧은 문장과 주요 요점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4영01-05]와 [6영01-03], [6영01-05]를 관련지을 수 있다. [6영01-05]는 일상생활 주제에 관한 담화와 글의 중심 내용 파악에 대한 성취기준으로 CEFR 구어 이해 다른 항목과 관련 지을 수 있다. 발표와 지시 이해 항목은 오디오와 비디오 매체를 통해 나오는 특정한 정보 파악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는 [6영01-04], [6영01-05], [6영01-06]의 일상생활 주제에 관한 담화와 글의 내용 파악과 연관된다. 오디오 자료와 녹음자료 이해 항목은 방송 및 녹음된 자료의 구체적 정보 파악, 중점 내용 파악, 화자의 기분, 태도, 관점 추정을 목표로 기술되었다. 특히, 녹음된 자료의 주제가 일상적이고 짧으며 천천히 명료하게 전달되었을 때 단어, 이름, 숫자, 날씨 정보 등 구체적인 정보를 이해한다는 점에서 간단한 단어, 어구, 문장의 의미 이해 및 일상생활 주제에 관한 담화와 글과도 연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이해 성취기준과 구어 이해 항목의 연관성을 통해 짧고 간단한 단어, 문장, 어구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학습자의 수준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교수·학습 및 평가에서 이와 같은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사람들 사이의 대화, 강의, 발표 내용, 오디오와 비디오 매체와 같은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여 중심 및 세부 내용과 일이나 사건의 순서 파악과 같은 활동을 구안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의 수준은 CEFR 진술문을 참고하여, 느린 속도와 명료한 발음, 시각 자료 및 동작 제시, 중간 의미 형성을 위한 휴지(long pause) 제공을 고려할 수 있다.
항목 | 성취기준 | |
---|---|---|
번호 | 관련 내용 요소 | |
TV, 영화, 비디오 보기 | [4영01-05] | 쉽고 간단한 단어, 어구, 문장 의미 이해 |
[6영01-03] | 간단한 단어, 어구, 문장 의미 이해 | |
[6영01-05] | 일상생활 주제에 관한 담화와 글의 중심 내용 파악 |
시청각 매체 이해는 TV, 영화, 비디오 보기 항목 한 가지로서 시청각 모두 제공되는 라이브, 녹화 자료의 주제, 요점, 뉘앙스, 암묵적 의미까지 식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초급 학습자는 시각 자료와 일반적인 상식을 활용하여 중심 내용을 파악하고, 주제 변화를 따라갈 수 있으며, 친숙한 단어, 구, 표현을 이해할 수 있다. 지식·이해 측면에서는 [4영01-05], [6영01-03]의 간단한 단어, 어구, 문장의 이미 이해와 관련되고, 중심 내용 파악 관련 과정·기능 측면에서는 [6영01-05]와 연관성이 있다. 시청각 매체 이해는 자료의 주제와 요점 파악부터 내재적 의미까지 파악함을 목적으로 하지만, 진술문과 성취기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초등학교 학습자는 언어 지식의 의미와 중심 내용 파악으로 활동을 구안할 수 있다. 또한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이해의 수단으로 보기(viewing)를 제시하고 있으므로 해당 항목과 성취기준의 연계성은 다양한 자료 활용의 중요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문어 이해는 개인적인 기록과 공식 서신을 포함한 다양한 읽기 자료 장르 특성에 따른 읽기 행동 및 독서의 목적에 따라 정보와 논쟁 파악, 여가 활동, 지침 파악 등으로 나뉘었다. 전반적인 읽기 이해의 초급 학습자 수준은 일상생활 관련 빈도가 높은 어휘를 포함한 쉽고 간단한 텍스트를 읽고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이해를 위해 사진이나 다시 읽기와 같은 보조 자료와 전략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성취기준의 단어, 어구, 문장의 의미 이해에 관한 [4영01-05], [6영01-03]과 세부 정보 파악에 관한 [6영01-04]를 고빈도 어휘를 포함한 구체적 내용 파악이란 A2 단계 진술문과 관련지을 수 있다. 서신 읽기는 메시지 길이, 복잡성, 정보의 구체성, 주제에 따라 개인 및 공식 서신이 구분되며, 초급 학습자는 개인적인 서신에 쓰인 짧고 간단한 메시지를 이해할 수 있다. 해당 항목과 연계성을 가진 성취기준에 따르면 학습자는 쉽고 간단한 언어 지식이 쓰인 일상적인 주제의 약속 장소, 시간과 같은 구체적인 세부 내용이나 중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훑어 읽기는 텍스트 유형, 정보에 따라 스키밍과 스캐닝이란 전략을 사용하고, 정보와 논쟁에 관한 읽기는 텍스트를 주의 깊게 읽고 아이디어, 요점, 의미를 파악하는 것으로 CEFR 각 항목 간에는 구분이 되지만, 성취기준은 CEFR 항목 특성에 따라 분류되지 않았다. 지침 읽기는 지시의 복잡도와 상황 친숙도, 텍스트 길이에 따라 분류되는 것으로, 초급 학습자는 일상 생활에서 접하는 장비의 간단한 사용법, 의약품 복용 방법, 길의 방향, 금지 사항이 시각 자료와 함께 제시된 경우 이해할 수 있다. 쉽고 간단한 단어, 문장의 이해 관련 성취기준과 함께 일이나 사건의 순서를 파악하는 [6영01-06]이 해당 항목과 연계성이 있었다. 여가 활동으로서 독서는 문학과 비문학 작품을 모두 포함하며 길이와 텍스트의 다양성을 가지고 있으며 친숙한 주제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지식·이해 요소에서 성취기준 [4영01-09], [6영01-09]은 듣기로 기술되었으나, 지식·이해 요소가 시, 노래, 이야기로 관련 지을 수 있다. 이 외 잡지, 그림책, 만화책, 자서전과 같은 다양한 자료 관련 성취기준과 중심 파악과 관련된 성취기준이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어 이해 항목과 마찬가지로 문어 이해 항목에서 학습자의 수준도 쉽고 간단한 언어지식을 활용하여 주요 내용 및 세부 내용 등을 파악할 수 있다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CEFR 구어 이해 항목과 성취기준의 연계성을 통해 읽기 관련 교수·학습 및 평가의 목적과 방법을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항목 | 성취기준 | |
---|---|---|
번호 | 관련 내용 요소 | |
단서 파악 및 유추하기 | [4영01-06] | 주요 정보 파악하기 |
[4영01-07] | 적절한 전략을 활용하여 담화나 문장 듣거나 읽기 | |
[6영01-04] | 일상생활 주제에 관한 담화나 글의 세부 정보 파악 | |
[6영01-07] | 적절한 전략 활용하여 일상생활 주제에 관한 담화나 글 듣거나 읽기 |
이해 전략은 단서 파악 및 유추하기 한 가지로 그림, 제목, 자막 등 다양한 자료 및 맥락에서 의미를 추론하고 언어적 단서를 활용하는 것이다. 초급 학습자는 일상적인 맥락에서 사용된 짧은 표현을 사용하여 친숙하지 않은 표현의 의미를 추론하거나, 구체적인 정보를 활용하여 텍스트의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4영01-06]과 [6영01-04]의 주요 정보 및 세부 정보 파악의 과정·기능 요소와 [4영01-07]과 [6영01-07]의 적절한 전략 활용은 전략에 해당하지만, CEFR의 단서 파악 및 유추하기는 언어적, 비언어적 단서를 활용하여 의미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어 교수·학습 및 평가에 있어 전략의 활용 목적을 명료화할 수 있다.
CEFR과 교육과정 표현 기능은 학습자가 생각과 의견을 다양한 매체와 전략을 활용하여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표현 기능은 학술적이고 전문적인 분야부터 개인의 일상적인 주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그 결과물로 학습자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 가운데 초등학교 성취기준과 CEFR 초급 학습자는 일상적이고 친숙한 주제 분야에 관해 쉽고 간단한 언어 지식을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갖추고 있다. 이해 기능과 마찬가지로 CEFR은 의사소통 목적과 텍스트 종류에 따라 표현 항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성취기준과 연계성을 통해 보완점을 모색하였다.
구어 표현은 전반적인 구어 표현 능력 기술과 함께 개인의 발화 목적에 따라 5가지 항목으로 나뉜다. 전반적인 구어 표현 항목에서 기술한 초급 학습자는 기본적인 개인 정보와 일상생활에 관련된 간단한 문장을 만들어 설명이나 발표를 할 수 있다. 해당 항목과 관련한 성취기준의 지식·이해, 과정·기능 내용 요소를 살펴보면 간단한 문장을 사용하여 일상생활 및 자기 주변 주제를 표현할 수 있다. 지속적 독백은 이야기와 설명에 관한 경험 묘사, 아이디어와 개념 및 사물을 정확하게 구분 짓는 정보 제공, 논쟁에 관한 사례 제기로 나뉜다. 초급 학습자는 일상적인 주제에 관하여 간단한 단어, 구문 등을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항목별로 두드러진 특징을 찾기는 어렵다.
지속적 독백: 경험묘사 항목은 이야기와 설명에 관한 기술로 주제의 폭이 개인적인 일상 정보부터 복잡한 주제까지 넓다. 초급 학습자는 간단한 단어, 구문 등을 활용하여 자기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감정, 상태, 일, 사는 곳, 계획, 직업, 호불호와 같이 일상적인 주제를 설명, 기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전에 미리 준비할 수 있다는 조건도 기술하고 있다. 특히 표현 주제가 개인에 대한 것부터 가족, 사물과 소유물을 비교하고, 좋아하는 것을 설명하는 등 다양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성취기준의 수가 많았다. 경험 묘사는 자기 주변 주제와 함께 동작을 사용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음을 포함하고 있어 이와 관련하여 [4영02-07]과 연계성이 있었다. 정보 제공 항목은 방향과 순서를 포함한 지시에 대한 정보, 사물의 이름과 특징을 기술한다. 해당 항목 진술문은 우리나라 성취기준 중 실물, 그림, 동작을 보고 기술하는 것과 관련된 [4영02-04], [6영02-02]와 사물의 소개에 대한 [4영02-05], [6영02-04], 행동 지시, 순서, 방법 및 장소, 위치에 대한 [4영02-06], [6영02-05]와 관련지을 수 있다. 사례 제기 항목의 경우 초급 학습자는 어떤 것에 대해 좋아하고 싫어하는 이유를 다른 것을 언급하면서 직접적인 비교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감정을 표현하는 성취기준 [4영02-07], [6영02-06]과 관련지을 수 있다.
CEFR 구어 표현 중 발표하기와 청중 연설 항목은 자신의 의견과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한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발표하기는 사적인 분야까지 포괄하며, 청중 연설은 발표 내용에 대한 상대방의 질문에 답하는 부분까지 포함한다. 발표하기와 관련하여 초급 학습자는 미리 준비한 짧은 발표를 전달할 수 있으며, 청중 연설의 경우 청중의 간단한 후속 질문에 대처할 수 있다. 두 항목 모두 사전 연습이라는 조건을 기술하고 있다. 발표하기의 경우는 짧은 문장으로 감정, 의견, 경험, 계획을 표현하는 성취기준 [6영02-06], 청중 연설은 발표한 내용에 대해 상대방의 질문에 답하는 것과 관련해서 [4영02-08], [6영02-07]과 관련성이 있다.
위와 같은 표현 성취기준과 표현 항목의 연관성을 통해 짧고 간단한 단어, 문장, 어구를 사용할 수 있다는 학습자 수준 정의에서 나아가 발화 목적에 따라 의사소통 유형을 나눌 수 있다. 지속적 독백의 유형에 따라 표현 활동을 구성할 때, 경험 묘사, 정보 제공, 사례 제시와 같이 교수·학습 자료를 제작할 수 있으며, 청중 연설에 있어서 청중의 후속 질문에 대해서 적절히 답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 청중의 질문을 이해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기능 간 상호작용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문어 표현은 전반적인 문어 표현 능력 기술과 함께 텍스트 목적에 따라 2가지 항목으로 나뉜다. CEFR 초급 학습자의 전반적 문어 표현 수준은 개인적인 문제에 대해 간단한 접속사로 연결된 구문, 문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정도이다. 간단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 자신과 주변의 주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전반적인 문어 표현 항목과 연계성을 가진 성취기준의 수가 많았다. 특히 초급 학습자가 사전을 참고하여 쓰기에 활용한다는 점은 성취기준 [6영02-08]의 예시문을 참고하여 목적에 맞는 글쓰기와도 연계될 수 있는 부분이다.
창의적 쓰기는 일기, 전기, 시, 설명, 상상을 담은 다양한 텍스트를 포괄한다는 점 때문에 다양한 성취기준과 연계성을 가지고 있었고, 전반적인 문해 이해 항목과 다르지 않았다. 이야기의 소개문과 전개를 적을 때 사전과 다른 예시자료를 참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성취기준 [6영02-08]이 관련이 있었다. 보고와 수필은 짧은 보고서, 포스터에 대한 의견 제시부터 문학작품에 대한 평론까지 포함하고 있으며, 논리적인 구조로 글을 조직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초급 학습자는 이와 관련하여 일상적이고 친숙한 주제에 대해 접속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연결할 수 있고, 자신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쉽고 간단한 문장으로 자신, 주변 사람, 사물을 소개하고 감정, 의견, 경험, 계획을 문장으로 표현하는 [4영02-05], [6영02-04], [6영02-06]과 관련될 수 있다.
CEFR 문어 표현 항목인 창의적 쓰기와 보고, 수필 쓰기는 항목의 특성 자체가 상상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요구하지만, 초급 학습자 수준은 기초적인 언어 지식을 활용하여 자신의 삶과 주변 사람 및 사물에 대해 기술하는 등 다른 항목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초급 학습자 수준은 상위 단계에서 해당 항목의 사고력을 갖춘 글쓰기를 위한 기초 학습으로 그 의미가 있으며, 같은 맥락에서 성취기준과 연계성을 가졌다.
항목 | 성취기준 | |
---|---|---|
번호 | 관련 내용 요소 | |
계획하기, 보완하기 | [4영02-09] | 적절한 매체나 전략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의미를 표현하기 |
[6영02-09] | 적절한 매체와 전략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의미를 생성하고 표현하기 |
CEFR 표현 전략은 계획하기, 보완하기, 검토와 수정하기가 있으며 이 중 검토와 수정하기는 초급 학습자 단계 기술이 없는 관계로 제외하였다. 계획하기는 구어, 문어 표현 활동 전 준비 단계로 말할 내용과 전달하는 방법을 의식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위 단계에서는 상대방의 반응을 고려하여 내용과 수준을 조정하고, 자료를 선택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으며, 초급 학습자는 자신의 레퍼토리에서 적절한 문구를 기억하고 미리 표현 연습을 할 수 있다. 성취기준 [4영02-09], [6영02-09]은 적절한 매체나 전략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의미를 표현하는 전략 부분을 기술하고 있으므로 해당 항목과 관련지을 수 있다. 성취기준은 해설에서 적절한 매체와 전략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3-4학년군 전략으로 사진, 그림, 디지털 매체 활용, 표정, 몸짓, 동작 등의 비언어적 수단 사용, 그림 글자나 단어쓰기, 철자 쓰기, 철자 점검 및 다시 쓰기 전략 활용을 기술하고, 5-6학년군에서는 더 나아가 브레인스토밍, 생각 그물을 활용하고,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반복하기, 확인 요청하기와 같은 말하기 전략, 고쳐쓰기의 쓰기 전략을 활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보완하기는 동작, 개념 부연 설명, 의역, 단어 수정과 같은 전략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유지하는 것으로 초급 학습자는 동작을 사용하여 대상을 묻고, 단어의 의미를 보완하고, 명료화할 수 있다. 해당 항목은 학습자가 동작을 사용하여 의미를 보완하는 것이므로 동일한 성취기준과 [4영02-09], [6영02-09]와 연계성을 나타냈다.
성취기준 해설에 매체와 전략의 구체적인 기술을 참고했을 때, CEFR 계획하기와 보완하기가 전략의 보완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대부분의 CEFR 진술문이 초급 학습자의 경우 ‘미리 준비했을 때’라는 조건을 기술하여 관련 의사소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기술하고 있다. 학습자에게 적절한 연습 시간을 제공하고, 해당 시간에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할 전략을 성취기준에 보완한다면 명료성과 실효성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V. 결론 및 제언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궁극적인 목표를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역량 함양에 두고 실생활의 다양한 의사소통 양상을 반영하기 위해 기존 4 기능 중심에서 이해와 표현으로 체계를 개편했다. 학습자는 의사소통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된 영어 지식 정보를 처리하고 사용하며, 자신의 느낌, 생각, 의견을 다양한 매체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내용의 개편은 각 기능 중심의 교수·학습 및 평가에서 벗어나, 다양한 의사소통 양상을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학습자의 교과 역량을 함양하는 데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해, 표현의 교육 내용이 단순한 기술의 통합이 아닌 다양한 의사소통 양상을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한 검증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외국어 학습을 위한 교육과정 계획, 수립, 평가의 참고 기준이 될 수 있는 CEFR을 통해 교육과정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CEFR은 의사소통 목적에 따라 언어 활동과 전략을 이해, 표현, 교류, 중재로 기술하고 있으며, 이 중 이해와 표현을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CEFR 진술문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쉽고 간단한 언어 지식을 활용하여 친숙한 일상 주제에 대해 이해하고 표현하는 학습자 수준을 반영하고 있다. 지식·이해, 과정·기능 요소에서 두 가지 모두 자기 주변과 일상생활 주제와 같은 맥락 내용과 정보 파악, 전략 활용 등을 기술하고 있다. 학습자가 담화나 문장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전략이 정보 찾기, 추론, 추측, 활용과 같이 기술되었고, 요점 찾기, 동작 사용하기, 식별하기, 매체와 비언어적 수단, 그림 글자와 단어 사용, 반복 확인 등 표현 관련 전략도 진술문과 성취기준 해설에서 제시하고 있다. 다만, CEFR 진술문은 의사소통 상황과 예시를 포함하고 있어 상세하게 제시된 반면, 우리나라 성취기준은 ‘쉽고 간단한’, ‘일상생활 주제’, ‘적절한’과 같이 보편적인 용어로 기술되었다. 이는 교육과정이 [별표]로 언어재료 및 소재를 따로 다루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식·이해, 과정·기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을 이해와 표현 기능으로 정의할 수 있으나 CEFR 진술문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언어 지식·이해, 가치·태도 및 조건 기술과 관련하여 차이점이 있었다. CEFR 진술문은 알파벳, 초분절적 요소, 소리와 철자 관계와 같은 기초지식은 기술하지 않았고, 학습자의 언어적 능력에 따로 관련 내용을 단계별로 기술하였다. 또한, 흥미와 공감, 존중, 포용의 심미적 감수성을 기술한 가치·태도 내용 요소가 따로 진술문에 나타나지 않았으나, CEFR의 다른 기능과 역량 부분에서 관련 내용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학습자의 조건에 대해 진술문에 상세하게 담고 있었다. 의미 이해를 위해 필요한 상대방의 전달과 전략, 사전 연습, 자료 활용이라는 표현 조건 등은 학습자 수준에 따라 성취기준을 세분화할 때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해, 표현의 다양한 의사소통 양상을 반영한 CEFR 항목은 내용 체계 요소로 구성된 성취기준의 의사소통 목적 및 의도를 명료화할 수 있다. CEFR은 의미와 의사소통 의도, 상황, 장르에 따라 구어, 문어, 시청각, 전략 이해를 세부적인 항목으로 분류하였고, 의사소통 목적과 텍스트 종류에 따라 구어, 문어, 전략 표현을 세부적인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우리나라 성취기준은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내용 체계 요소가 통합되어 구성되었기 때문에, 의사소통 양상에 따른 CEFR 이해, 표현 항목과 차이가 있다. CEFR 진술문과 성취기준은 기본적으로 학습자 수준에 있어 맥락을 같이하고 있으므로, CEFR 이해, 표현의 세분화된 항목과 성취기준 연계성을 통해 보완할 부분을 모색할 수 있다. CEFR 항목과 성취기준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 및 평가에 있어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내용과 일이나 사건 순서 파악 등의 활동을 구안하고, 읽기 활동 관련 텍스트 종류를 다양화하게 활용하되 주요 내용 및 세부 내용 파악하기를 할 수 있다. 특히, CEFR 구어 표현은 발화 목적에 따라 의사소통 유형을 나누었고, 사전 연습이라는 조건을 기술하고, 청중의 질문에 대한 자신의 의견 표현과 같은 이해와 표현 간 상호작용을 담고 있다. 문어 표현의 경우 창의적 쓰기, 보고와 수필 쓰기라는 항목을 통해 학습자의 상상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 초급 학습자 수준의 쓰기 활동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내용 기준과 수행기준이 상세화되어, 김경한(2022)의 성취기준 모형과 같이 학교 현장에서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교육환경에 적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제는 우리나라 초등 학습자와 초급 학습자 수준이 매칭될 수 있다면, CEFR의 어떠한 부분을 교육과정에 접목할 필요가 있는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또한, 지식, 기능, 태도와 같은 복합적 요소가 결합된 역량을 교육과정에 기술하고 학교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해서 보다 상세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배경, 주제, 목적, 장르, 문화와 같이 의사소통 수행에 관련된 요인이 포함된 CEFR 이해, 표현 항목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첫 번째, CEFR은 학습자의 의사소통을 이해, 표현 이외에도 교류와 중재로 기술하고 있으나 성취기준과 비교·분석을 위해 대상이 이해와 표현으로 한정되었다. CEFR은 일방향적 자료의 수용과 스키마 처리를 다룬 이해와 자신의 생각, 감정 등을 표현하는 것을 넘어 쌍방향 의사소통을 다룬 교류와 언어의 차이를 넘어 의사소통을 이끌어내는 중재를 학습자의 기능으로 다루고 있다. 이 외에도 학습자의 언어 능숙도는 의사소통 기능, 전략 뿐만 아니라 언어 지식, 사회문화적 지식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CEFR과 성취기준의 구성 체계의 차이로 본 연구의 비교·분석은 대상의 한계가 있다. 둘째, CEFR 이해, 표현 항목의 가진 의사소통 목적과 의도에 비하여 초급 학습자가 구현할 수 있는 수준이 매우 한정적이기 때문에 성취기준 비교·분석을 통해 각 항목의 특성이 구분되지 않는 점이 있었다. 따라서 CEFR 항목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초급 학습자 이상의 단계를 설정하여 중·고등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