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of Articles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Vol. 21, No. 1, 2018
        교육과정・교과서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School Curriculum Management for Free Semester System
자유학기제의 학교 교육과정 경영 실태 및 인식 분석
		        
	        
	        
	        
      자유학기제의 학교 교육과정 경영 실태 및 인식 분석
                J. Curric. Eval. 2018;21(1):1-30.
https://doi.org/10.29221/jce.2018.21.1.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8.21.1.1
        
	        		        A Case Study on the “Theme Selection Activity” of Free Semester Program : Exploration of the Educational Meaning
자유학기제 “주제선택 활동” 운영 사례 분석 : 주제선택 활동의 교육적 의미 고찰
		        
	        
	        
	        
      자유학기제 “주제선택 활동” 운영 사례 분석 : 주제선택 활동의 교육적 의미 고찰
                J. Curric. Eval. 2018;21(1):31-60.
https://doi.org/10.29221/jce.2018.21.1.3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8.21.1.31
	        		        How to Apply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t the General High School
2015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
		        
	        
	        
	        
      2015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
                J. Curric. Eval. 2018;21(1):61-77.
https://doi.org/10.29221/jce.2018.21.1.6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8.21.1.61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Character Education Factors in Middle and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중학교 ‘국어’와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인성 관련 요소 분석과 시사점
		        
	        
	        
	        
      중학교 ‘국어’와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인성 관련 요소 분석과 시사점
                J. Curric. Eval. 2018;21(1):79-106.
https://doi.org/10.29221/jce.2018.21.1.7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8.21.1.79
        
	        		        A Study on the Use of Terms abou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Korean ‘Grammar’ Domain
초·중학교 국어 ‘문법’ 영역 용어 사용 양상과 개선 방안
		        
	        
	        
	        
      초·중학교 국어 ‘문법’ 영역 용어 사용 양상과 개선 방안
                J. Curric. Eval. 2018;21(1):107-128.
https://doi.org/10.29221/jce.2018.21.1.10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8.21.1.107
        교수학습・교사교육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Expository Writing Ability and Characteristic Analysis
중학생들의 설명문 쓰기 능력과 특징 분석 연구
		        
	        
	        
	        
      중학생들의 설명문 쓰기 능력과 특징 분석 연구
                J. Curric. Eval. 2018;21(1):129-151.
https://doi.org/10.29221/jce.2018.21.1.12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8.21.1.129
        교육평가      
      
	    
        
	        		        An Analysis of Measurement Errors and Invariance Properties by Proficiency Level in the Non-cognitive Measures
정의적 성취특성 측정의 오차요인 및 성취수준별 척도의 동등성 분석
		        
	        
	        
	        
      정의적 성취특성 측정의 오차요인 및 성취수준별 척도의 동등성 분석
                J. Curric. Eval. 2018;21(1):153-172.
https://doi.org/10.29221/jce.2018.21.1.15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8.21.1.153
        
	        		        The Effects of School Environment and the Open Recruiting Principal Employment System on the Rates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Students in Middle Schools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률에 미치는 학교환경과 교장공모제의 효과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률에 미치는 학교환경과 교장공모제의 효과
                J. Curric. Eval. 2018;21(1):173-195.
https://doi.org/10.29221/jce.2018.21.1.17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8.21.1.173
        
	        		        Identifying Type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
교실평가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유형 분석
		        
	        
	        
	        
      교실평가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유형 분석
                J. Curric. Eval. 2018;21(1):197-217.
https://doi.org/10.29221/jce.2018.21.1.19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8.21.1.197
        
	        		        Analysis on Middle School Third Graders’ Understanding of Math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from the Result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한 중학교 3학년의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도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한 중학교 3학년의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도 분석
                J. Curric. Eval. 2018;21(1):219-241.
https://doi.org/10.29221/jce.2018.21.1.21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8.21.1.219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factors aff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depending on school ICT resources
학교 ICT 보유 자원 수준에 따른 중학생 컴퓨터·정보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학교 ICT 보유 자원 수준에 따른 중학생 컴퓨터·정보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J. Curric. Eval. 2018;21(1):243-265.
https://doi.org/10.29221/jce.2018.21.1.24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8.21.1.2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