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of Articles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Vol. 13, No. 1, 2010
        Article      
      
	    
	        		        An Explorativ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level Program
대학과목선이수제의 발전방향 탐색
		        
	        
	        
	        
      대학과목선이수제의 발전방향 탐색
                J. Curric. Eval. 2010;13(1):1-23.
https://doi.org/10.29221/jce.2010.13.1.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0.13.1.1
	        		        Evaluation of Vertical Scaling When Comparing Various Grades - ICT Literacy Tests for Elementary Students -
수직 척도점수를 이용한 학년 간 비교의 타당성 - 초등학생용 ICT 리터러시 검사 -
		        
	        
	        
	        
      수직 척도점수를 이용한 학년 간 비교의 타당성 - 초등학생용 ICT 리터러시 검사 -
                J. Curric. Eval. 2010;13(1):25-42.
https://doi.org/10.29221/jce.2010.13.1.2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0.13.1.25
	        		        Exploring a Quantification Method of Achievement based on Observed Learners’ Characteristics in E-Learning Environment
이러닝 환경에서 관찰된 학습자 행동을 통한 학업 성취의 정량화 방안 탐색
		        
	        
	        
	        
      이러닝 환경에서 관찰된 학습자 행동을 통한 학업 성취의 정량화 방안 탐색
                J. Curric. Eval. 2010;13(1):43-61.
https://doi.org/10.29221/jce.2010.13.1.4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0.13.1.43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Text Selection and the Alignment in the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텍스트 선정 및 배열의 타당성 연구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텍스트 선정 및 배열의 타당성 연구
                J. Curric. Eval. 2010;13(1):63-86.
https://doi.org/10.29221/jce.2010.13.1.6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0.13.1.63
	        		        Development & Appl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xtension of Self-Expression Ability through One Day Passing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하루 일과 분석을 통한 자기표현력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학생의 하루 일과 분석을 통한 자기표현력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J. Curric. Eval. 2010;13(1):87-112.
https://doi.org/10.29221/jce.2010.13.1.8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0.13.1.87
	        		        A Comparative Study of Reading Motivation betwee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한국과 중국 중학생의 읽기 동기 비교 연구
		        
	        
	        
	        
      한국과 중국 중학생의 읽기 동기 비교 연구
                J. Curric. Eval. 2010;13(1):113-142.
https://doi.org/10.29221/jce.2010.13.1.11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0.13.1.113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in Korea and U.S. on Global Scientific Literacy
글로벌 사회에서 요구하는 과학적 소양에 대한 한국과 미국 과학교사의 인식 탐색
		        
	        
	        
	        
      글로벌 사회에서 요구하는 과학적 소양에 대한 한국과 미국 과학교사의 인식 탐색
                J. Curric. Eval. 2010;13(1):143-163.
https://doi.org/10.29221/jce.2010.13.1.14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0.13.1.143
	        		        A Study on the Approach Restructure of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Develop Key Competencies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의 재구조화 방안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의 재구조화 방안
                J. Curric. Eval. 2010;13(1):165-187.
https://doi.org/10.29221/jce.2010.13.1.16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0.13.1.165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 Focused on Art Education of Basic Major Subjects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공주대학교․한국교원대학교 미술교육과 전공기초과목 중심 -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공주대학교․한국교원대학교 미술교육과 전공기초과목 중심 -
                J. Curric. Eval. 2010;13(1):189-217.
https://doi.org/10.29221/jce.2010.13.1.18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0.13.1.1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