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가설 생성 능력의 관계 분석

박은미1, 강순희2
Eun-Mi Park1, Soon-Hee Kang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이화여자대학교 박사과정
2이화여자대학교 교수
1Ph. D. Candidate, Ewha Womans University
2Professor, Ewha Womans University

ⓒ Copyright 2006,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Oct 15, 2006 ; Revised: Nov 15, 2006 ; Accepted: Nov 27, 2006

Published Online: Dec 31, 2006

요약

이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가설 생성 능력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서울과 경기도 소재 중ㆍ고등학생 534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태도를 검사한 결과 학생들은 전체적으로 과학적 태도에서 비교적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하위 범주별로는 협동성, 개방성, 끈기성, 호기심, 자진성 범주에 비하여 비판성과 창의성에서 낮은 인식을 나타냈다. 과학적 가설 생성 능력을 측정하는 과제에서는 학생들이 과학 수업을 통하여 그 내용을 이미 학습하였거나 관련 소재에 대한 학습이 있었던 과제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생소한 소재에 대해서는 낮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편차도 컸다.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가설 생성 능력 사이에는 정적 상관관계(r=.427)가 나타났다(p<.001). 과학적 가설 생성 능력과 과학적 태도의 하위 범주별 상관을 조사해보면 비판성과 창의성의 상관이 가장 높고, 이어서 자진성, 호기심, 끈기성, 협동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방성의 경우에는 비교적 낮은 상관을 나타내었다(p<.001). 마지막으로 과학적 가설 생성 능력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해본 결과, 비판성이 과학적 가설 생성 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다음은 창의성과 자진성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가설 생성 능력 사이의 관계 분석 결과는 학생들이 비판성, 창의성, 자진성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지닐 때, 과학적 가설 생성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해준다. 추후에는 정의적 영역에서의 과학적 태도뿐만 아니라 인지적 영역에서의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등이 과학적 가설의 설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ientific attitude of junior high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scientific hypothesis-generating abilities. Our study showed that students had relatively positive recognition of the scientific attitude. Among various subcategories of the scientific attitude, the students showed lower recognition of critical mindedness and creativity than open-mindedness, cooperation, endurance, curiosity and voluntariness. Critical mindedness and creativity had consistently lower recognition by the 8th through 11th grade students. While doing assignments designed to assess the scientific hypothesis-generating abilities, the students scored high in the assignments which either they had already learned in science classes or they had learned related materials before. However they scored low in the assignments which had unfamiliar materials, with large standard deviation. Our analysi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0.427, p<.001) between the scientific attitude and the scientific hypothesis-generating ability. By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hypothesis-generating ability and various subcategories of the scientific attitude, our study indicat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hypothesis-generating ability and critical mindedness and creativity was much higher, while open-mindedness showed a relatively lower correlatio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hypothesis-generating ability was influenced the most by critical mindedness, followed by creativity and voluntariness. It suggests the fact that the scientific hypothesis-generating ability is improved when the students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aspects of critical mindedness, creativity and voluntariness.

Keywords: 과학적 태도; 과학적 가설 생성 능력
Keywords: scientific attitude; scientific hypothesis-generating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