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에서 환경 단원의 탐구활동 분석
Received: Oct 15, 2004 ; Revised: Nov 22, 2004 ; Accepted: Dec 3, 2004
Published Online: Dec 31, 2004
요약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해 개편된 7종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환경단원)의 내용 분석을 통해 내용별 구성 비율을 조사하고, 7차 교육과정에 중점을 둔 탐구 활동을 탐구내용 영역, 탐구과정 영역, 탐구상황 영역으로 구성된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내용 분석에서 환경단원이 차지하는 교과서 분량이 평균 37.6 페이지이다. 또한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해서 STS와 관련된 실제로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환경오염 문제, 건강 상식, 과학사에서 중요한 발견과 단원을 공부할 때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이 실려 있다. SAPA의 7개 요소에 의한 탐구내용 영역 분석에서 7종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탐구활동은 총 164개이다. 내용별로 보면 환경단원의 특성상 자료 해석이 55개로 가장 많은 영역을 차지한다. Klopfer의 목표 분류틀에 의한 탐구과정 영역의 분석결과 대체로 '문제 발견 및 해결방안 모색'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환경단원의 특성상 관찰이나 측정보다는 실생활에서의 문제 인식을 통한 가설의 설정으로 주어진 자료를 해석함으로 일반화시키는 탐구활동 과정을 수용하고 있다. 탐구상황의 5가지 요소에 대한 분석은 자연 환경적 상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으나, 사회적 상황도 유사한 비율을 보인다. 이는 분석한 환경단원의 특성상 환경의 복잡한 상호간의 이해 그리고 환경에 대한 인간의 간섭에 따른 환경 보호와 외적 자연 환경에 대한 내용을 많이 다룬 것으로 보여 진다. STS 관련 내용이 NAEP 4차 평가에서 개인적, 사회적, 기술적 상황을 묶어 4060%를 배정한 것에 비교해 보면 STS 관련 내용이 비교적 높은 비율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Seven kinds of th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to obtain some learning data for developing an ideal science curriculunx Particularly, the inquiry activities on the environment units were analyzed by the three dimension framework which consists of inquiry content dimension, inquiry process dimension and inquiry context dimension.
1. The average number of total pages for the environment units were 37.6 among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for the 7th curriculunx.
2. In the analysis of the inquiry content dimension of inquiry activities, the total number of tliemes in seven kinds of textbook was 164.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was appeared diverse: from minimum number of 14 to maximum number of 34.
3. Among inquiry process dimension, ’seeing a problem and seeking ways of problem solving 42.9%’ category is generally most emphasized and the categories of 'interpreting data and formulating generalization 21.8%' "building, testing and revising the theoretical model 22.4%’ and observing and measuring 6.6%’ follow in order. And it was desirable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categories of higher level of inquiry, that is, "building, testing and revising the theoretical model’ and ’seeing a problem and seeking ways of problem solving'.
4. Among inquiry context dimension, the pure scientific context occupies 13.2%, the ordinary context 8.3%, the social context 28.5%, the technical-industrial context 18.3%. and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text 28.9%.
5. The environment unit was dealt with the complexity of the interactions of environments and the effects of human beings on environments. So the environmental contexts was the highest por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