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평가연구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 삽화 분석을 통해 살펴본 양성평등의 변화 : 1981년-2008년1)2)

조미혜1,*, 이윤경2
Cho Mihye1,*, Lee Yoonkyung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인하대학교 교수
2인하대학교 박사과정
1Professor, Inha University
2Doctoral Course, Inha University
*제1저자 및 교신저자, phycmh@inha.ac.kr

© Copyright 2016,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an 05, 2016 ; Revised: Feb 01, 2016 ; Accepted: Feb 16, 2016

Published Online: Feb 28, 2016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체육 내에서 시대의 변화에 따른 양성평등적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제 4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2007개정 교육과정 시기까지 약 다섯 번의 교육과정 개정 기에 출판된 초등학교 체육교과서에 나타난 삽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체육 교과서 내에 제시된 그림, 만화, 도표, 도해 등을 모두 삽화로 정의하였다. 체육교과서의 내용 영역은 교육과정 기를 달리 하면서 변화를 보여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육상, 체조, 수상 및 빙상운 동, 구기운동, 투기운동, 무용, 여가, 체력, 보건 및 안전 등 9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양성평등 관점에서 여성의 희소성을 교과서 삽화를 통해 파악하는 방법은 삽화의 등장수와 성별 등장비율을 산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삽화 분석의 틀을 체육교과서의 9개 내용 영역별 삽화 구성형식, 성별 등장비율, 주연비율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개정을 거치며 여학생 등장비율과 주연비율은 점차 양성평등한 비율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영역별 로 여전히 남성적 스포츠와 여성적 스포츠로 확연하게 구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현대 사회에서 스포츠 영역은 이제 남녀를 구분하는 장벽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데 체육 교과서는 아직도 남 성중심적 사고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체육교과서 집필 지침에 양 성평등을 위한 지침을 보다 구체적으로 개발해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gender equality in physical educat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male-centered curriculum. The illustrations from the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education published from fourth curriculum to 2007 revised curriculum were used for the research. All pictures, cartoons, charts, and diagrams in the physical textbooks were defined as illustration. The contents of the physical textbook have changed with the change of the curriculum, so in this study, they were categorized into nine fields: track, gymnastics, water and ice sports, ball games, combat sports, dance, recreation, physical fitness, and health-safety. To confirm scarcity of women in the textbook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analyzing man to woman ratio in illustrations was needed. Research was done by building an analytic framework in every nine fields about structure, gender, and leading role in the illustration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irstly, not only the number but also the size of the illustrations has increased because of the advances in printing technology. Secondly, ratio of the woman’s appearance in the illustration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to be equal. Thirdly, case studies and ratio of the woman’s taking a leading role showed that a tendency to classify sports into masculine and feminine can still be f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ffer the detailed guidelines that complies with gender equality when writing textbooks.

Keywords: 체육 교과서; 삽화 분석; 양성평등
Keywords: physical education textbook; illustrations analysis; gender equality

I. 서론

우리나라 여성의 지위는 과거와 비교하여 월등히 개선되었다고 평가되어 왔다. 남성과 동 등한 학력수준 이라 던지, 고용률 및 경제활동, 정치 및 사회활동 참여에 있어서도 큰 폭의 상승률을 보여 왔기 때문이다(백일우, 임정준, 2013; 정현백, 2007).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보도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양성평등 수준은 전 세계에서 115위에 불과하여 캄보디아나 네팔보다 뒤쳐진 것으로 나타났다(김수진, 2015. 11. 19).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세계 성 격차 보고서 2015’를 근거로 한 이 보도 자료에서 한국의 양성평등지수는 1점 만점에 0.651점으로 하위권에 위치하며 여성인권의 사각지대인 중동 국가와 비슷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는 가시화된 경제활동 및 교육, 정치활동 참여율을 떠나 임금의 평등도, 의사결정이 가능한 고위 권력층의 진입에 있어서는 실제 능력이나 경력과는 무관한 성별에 의한 차별을 받는 유리천장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양성이 평등하지 못한 현상은 체육현장에서 보다 가시화되어 나타난다. 본래 체육이 전통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보다 높게, 보다 빠 르게, 보다 멀리’의 기능구현 중심 가치는 신체적 조건상 남성이 여성과 비교하여 높은 기량을 보이는 것이 보편적이기 때문이다(조성식, 2003). 여학생의 낮은 신체활동 참여율이나 상대적으로 낮은 흥미도, 부적응 등의 현상은 체육 현장에서 발견할 수 있는 대표적 문제이다.

학생들이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의 행동을 학습하고 성 역할에 대한 관점을 형성하는 데 있어 교과서는 하나의 지침서가 될 수 있다. 양성평등적인 교재를 가지고 학습한 학습자들의 경우 남녀학생 모두 양성평등적 태도를 형성하게 되므로(Scott & Schau, 1985), 교과서는 양성의 모습과 역할을 균형 있게 반영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성 편향적인 교과서로 학습하게 된다 면 학생들은 고정관념에 치우친 성 역할을 그대로 받아들이게 될 우려가 있다(김미정, 유태명, 2004; 신동희, 2000; 이광성, 2010; 정해숙, 정경아, 1998).

학교교육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교과서에서 삽화 자료는 학습자의 이해를 보다 명료하게 하고,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역할을 글보다 더 높게 수행하게 된다. 1980년대 까지 출판된 우리나라 교과서 삽화에 대해 성역할에 대한 사회적 고정관념을 그대로 담아내며 남자들은 다채로운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반면에 여성들은 주로 가사노동을 하는 묘사들이 지적되었다(한국여성개발원, 1998). 뿐만 아니라 교과서 삽화 자료에서 남성은 등장 및 주연비율이 여성 보다 높고, 적극적인 행동과 높은 권력을 보유하는 묘사가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수의 연구를 통해 보고되어 왔다(양찬호 외, 2014유영미; 윤석희, 2004).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하거나 권위적인 성인 남성과,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거나 순종적인 성인 여성의 모습이 묘사되는 삽화는 체육교과서 내에서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그림 1>. 이렇듯 고정화된 성 관념을 반영한 교과서를 중심으로 교수학습이 진행된다면, 성별 역할의 차이가 있음을 학생들의 잠재된 의식으로 투영하게 되고 성차별을 조장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jce-19-1-119-g1
그림 1. 전문 기술직에 종사하는 남성과 남자 체육교사(제4차 체육교과서 p. 17, p. 25)
Download Original Figure

체육교과의 양성평등 구현은 타 교과와 비교하여 특수한 상징과 중요성을 내포한다. 과거 유교적 사상으로 인해 여학생의 신체활동을 엄격히 제한해왔던 사적 특성과 더불어, 남녀의 타고난 신체적 한계로 인해 다다를 수 없는 영역으로 규정지어졌던 스포츠를 양성평등한 주 체로 교육함으로써 양성평등의 한계를 극복하는 상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이윤경, 조미혜, 2014). 체육은 신체활동을 수행하며 기능과 원리를 이해하는 교과의 특성 상 교과서 삽화의 역할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삽화를 통한 내용적 이해가 차지하는 비중 이 높기 때문에 양성평등적 관점에서 보다 신중을 기하여 공정하게 구성하여야 한다.

양성평등 관점에서 교과서를 분석한 국내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1980년 제 4차 교육과정 시기 이후로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연구들의 경향을 살펴보면 삽화 자료에서 보여지는 남녀 등장 비율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개선되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지만(노태희, 차정호, 왕혜남, 2004; 최영선, 윤인경, 2008), 내용이나 구성에서는 여전히 양성불평등한 수준에 머물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유지연 외, 2012; 정해숙, 정경아, 1998에서 재인용).

학습을 통해 가치관을 정립해나가는 시기인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과서 삽화의 양성 평등한 구성은 중요하다. 우리나라 초등 체육교과서의 삽화를 양성평등교육의 관점에서 분석 한 선행연구로 홍상완과 박재우(2008)의 연구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체육교과서의 남녀 등장 비율을 통해 여학생의 희소성과 성역할 고정관념을 분석하여 성역할 고정화 탈피를 위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가 7차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지속적인 삽화 분석을 통해 양성평등 관점에서 체육교과서의 진전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초등학교 7차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를 10개 교과목별로 성별 등장비율과 주연비율을 분석한 한 연구(권치순, 김경희, 2008)에 따르면 체육은 성별 등장비율에 있어 가장 균형적인 교과였으나, 게임활동에는 남학생이, 표현활동에는 여학생의 등장비율이 현저히 높다는 측면에서 남성적 스포츠와 여성적 스포츠라는 성차별적 구도가 여전히 존재함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 시기별 체육교과서 삽화를 양성평등 관점에서 분석하고, 체육에서 다루고 있는 종목 및 내용적 특성에 준거한 양성평등 수준의 진단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양성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교육과정 시기별 체육 교과서의 삽화를 분석한 자료에 근거하여 변화와 흐름을 점검하고자 한다. 위 목적과 관련하여 초등 체육교과서를 삽화 구성형식, 성별 등장비율 및 주연비율의 변화, 영역별 성별 등장과 주연비율의 변화를 분석하고, 교육과정 시기별 초등학교 체육교과서의 특징 및 변화와 관련하여 삽화 사례분석을 통해 해석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기존의 교과서 삽화 분석 연구와 비교하여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변화와 흐름을 진단하고, 체육 교과서의 영역별 추이를 분석하였다는 데 차별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교과서 집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그 가치가 있다.

II. 연구방법

1. 분석 대상

약자적 입장에 있었던 여성을 남성과 평등한 주체로 받아들이게 된 데에는 역사적으로 법과 제도적 장치가 사회적 요구를 현실화 하여왔다. 국내 여권신장의 바람이 불기 시작한 1980 년대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UN 회의의 서명식을 받아 1981년 정식 발효된 여성차별철 폐협약의 영향도 적지 않다. 이 조약은 기존에 이미 채택한 바 있었던 여성에 대한 차별철폐 선언의 실천을 의무화하기 위한 금지조항과 의무이행을 담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1983년 이 조약에 서명하고 국내법의 개정과 정책기구의 설립에 이르렀고(김선욱, 2000), 이후 교과정책과 내용에 있어서도 양성평등 교육과정의 반영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박영혜, 199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시기별 초등학교 체육교과서를 양성평등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양성평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시작되었던 1980년대 제4차 교육과정 시기 체육교과 서를 필두로 하여 30년간 출판된 4차, 5차, 6차, 7차, 2007 개정 총 5개 교과서를 분석범위로 설정하였다3). 또한 교과서 삽화자료에 대한 영향도가 높은 초등학년 중 2차 성징 이후 성별의 특성과 변화에 대한 인식이 일어나는 시기인 초등학교 5학년 체육교과서 삽화로 분석 대상을 설정하였다. 2007 개정 교과서는 국정교과서에서 검정교과서 체제로 전환되어 다수의 출판사를 통해 집필 후 다종의 교과서들이 출판되었다. 따라서 국정교과서 체제 하에서 출판 된 단일 교과서와 기준을 동일시하기 위하여 2007 개정 교과서는 보급률의 상위권에 있는 D 출판사의 교과서 1종을 선택하여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2. 분석 방법 및 기준
1) 교과서 삽화의 정의 및 구성

삽화(揷花; illustration)의 사전적 의미는 서적이나 신문, 잡지 등에서 내용을 보충하거나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넣는 그림을 뜻하므로, 일반적으로 삽화가의 작업에 의해 창출된 그 림자료를 일컫는다(국립국어원 홈페이지, 2015. 12. 10). 그러나 인쇄기술의 발달과 자료의 다양화로 인하여 교과서 내용의 보충자료로 그림과 사진, 만화, 도해 및 도표 등이 추가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식으로 교과서 내에 구성되는 그림, 만화, 도표 및 도해 등을 모두 삽화로 정의하고, 삽화분석 시 교과서 삽화구성 형식을 표기한 후 교육과정 시기별로 집계 후 산출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2) 성별 등장비율과 주연비율의 산출

양성평등 관점에서 교과서 삽화의 양적 분석은 남성에 비해 여성의 등장비율이 낮으며, 이는 학생들에게 암묵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열등하거나 상대적으로 주변인 역할에 국한된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전제하에 여성의 희소성(invisibility)을 중심으로 다루어져 왔다 (홍상완, 박재우, 2008에서 재인용; Sadker, Sadker &, Long, 1997). 여성의 희소성을 교과서 삽화를 통해 파악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삽화의 등장수와 성별 등장비율을 산출하는 것이다. 삽화에 등장하는 인물을 모두 집계하는 성별 등장비율의 산출과 더불어 양성평등 관점에서 교과서 삽화를 양적으로 분석하는 주요한 방법으로 삽화 내 활동 및 비중, 역할의 중요도에 따라 성별 주연수와 비율의 산출방법이 있다. 성별 주연비율의 산출은 단순한 등장여부를 넘어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는 성별 비율을 분석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적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삽화에 등장하는 인물을 중심으로 성별 등장비율을 삽화 개수 및 인물수를 집계 후 산출하였고, 등장인물의 활동 및 역할을 삽화 관련한 내용에서 제시된 바에 근거하여 주연과 조연으로 구분하여 성별 주연비율을 집계한 후 산출하였다.

삽화의 성별 파악은 머리모양, 옷차림, 체형 등을 참고하였으며, 집계 불가능한 군중은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성별 주연비율의 산출을 통하여 여성만 등장하는 삽화는 여성주연 삽화로, 남성만 등장하는 삽화는 남성주연 삽화로 분류하였고, 양성이 함께 등장하는 삽화는 여성 및 남성의 주연비율이 높은 성별의 주연 삽화로, 남성과 여성의 주연비율이 동일한 경우 양성평등 삽화로 분류하였다.

3) 내용 영역의 재구성

체육 교과서의 양성 불평등 현상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로 바로 스포츠 종목이나 내용에 내 재되어 있거나 관념화 되어있는 성 편향성(gender bias)이다. 이는 스포츠 종목이나 내용에 있어 성별에 따라 적합하거나 고유한 운동으로 관념화되어 암묵적으로 구분하고 있음을 의미한 다(최영금, 하응용, 2010; 황미경, 백성수, 2008). 이러한 종목 및 내용과 관련하여 양성평등적 관점에서 체육 교과서 삽화의 성 편향성이 교육과정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를 파악 하기 위해서는, 먼저 종목 및 내용 분류의 일관된 기준을 마련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했다.

4차에서 6차 교육과정 시기 체육교과서는 다양한 종목 중심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단원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 역시 단일 주제 및 내용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적이었다. 7차 교육 과정 시기 교과서와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는 활동 영역 및 가치에 따라 다양한 종 목들을 포괄 구성하고 있었으므로 분류 기준의 일관성을 위해서 영역의 재구성이 필요하였다.

분류 기준의 재구성에서 고려하여야 했던 또 다른 하나는, 교과서 내에서 다루고 있는 종목이나 내용이 획일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가령, 움직임 교육의 단원이라 하더라도 이것이 어떤 경우는 무용교육의 표현과 관련된 것이 있는 반면 어느 경우는 체력 운동에 포함되기도 하였고, 또한 예컨대 구기운동 영역으로 축구를 소개하는 단원이 있는 반면 어떤 경우는 이를 여가의 한 영역으로 다루는 단원이 있었다. 따라서 삽화 관련한 교과서의 (1) 내용 설명, (2) 단 원 내 학습목표 등의 내용중심 분석 후 종목의 특성에 따라 이를 재구조화하여 영역을 분류 하였다. 여가 영역과 관련한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 내의 내용 및 삽화는 6차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부터 발견되기 시작하였는데, 여가 단원을 직접 구성하여 제시하고 있지는 않았으나, 지금까지 배워 온 다양한 운동 종목들을 스스로 계획하여 실천할 것을 제시한 학습목표나 구성들은 단지 교과 관련 학습을 넘어 생활체육을 지향하는 시도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위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내용 영역은 육상, 체조, 수상 및 빙상운동, 구기운동, 투기운동, 무용, 여가, 체력운동, 보건 및 안전 등 9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종목분류 분석에서 삽화와 관련한 내용을 포함하지 않고 있는 표지 및 속지는 종목 및 내용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표 1. 분석대상 교과서의 종목 및 내용분류 [n=1,154/ 빈도]
영역 (사례수) 중분류 종목 및 내용(삽화 수)
4차 5차 6차 7차 2007개정
육상 (156) 달리기 오래달리기(4), 이어달리기(5), 장애물달리기(7), 전력달리기(5) 이어달리기(8), 장애물달리기(6) 이어달리기(6), 장애물달리기(12) 달리기(1), 이어달리기(11) 마라톤(1), 오래달리기(1)
뜀뛰기 멀리뛰기(6), 높이뛰기(4) 멀리뛰기(13) 멀리뛰기(13), 높이뛰기(19)
던지기 공던지기(7), 원반던지기(4) 공던지기(18), 플라잉디스크(5)
체조 (201) 기계 체조 평균대운동(7), 매트운동(9), 철봉운동(12), 뜀틀운동(7), 평균대운동(6), 매트운동(10), 철봉운동(9), 뜀틀운동(8), 뜀틀운동(10), 매트운동(10), 철봉 운동(10), 평균대운동(12) 기계체조(1), 매트운동(12), 평균대운동(16)
리듬 체조 훌라후프(5), 막대운동(3) 막대운동(7), 줄운동(7) 줄운동(8), 후프놀이(9) 공체조(8), 리본체조(11)
맨손 체조 맨손 체조(4)
수상 및 빙상 (90) 수영 평영(10) 평영(12) 평영(14) 자유형(16), 수구(3)
빙상 스키(10) 스케이트(9), 피겨스케이트⑴, 아이스하키(1) 스키 및 썰매 ( 11) 스케이트 및 썰매(3)
구기 운동 (150) 공 운동 간이농구(11), 간이배구(4), 간이야구(9), 간이축구(9) 축구(8), 배구(9), 농구(1), 주먹야구(5), 공운동(3) 간이축구(11), 간이핸드볼(8), 주먹야구(7) 축구(10), 농구(9), 하키(4) 야구(21), 축구(2), 주먹야구(6), 발야구(4), 티볼(9)
투기 운동 (73) 씨름 겨루기(6) 겨루기(6), 기본기술(4) 겨루기(7) 기본 기술(7)
태권도 기본기술(10) 기본기술(6) 겨루기(1) 기본 기술(8) 기본 기술(9), 겨루기(9)
무용 (214) 움직임 표현움직임(5) 모방움직임(7), 표현움직임(7)
무용 표현무용(10), 민속_한국(7), 민속_외국(8) 민속_한국(10), 표현무용(18), 한국무용(6) 민속_외국(7), 표현무용(16), 한국무용(9) 민속_한국(4) 민속_외국(11) 표현무용(17) 발레(3), 한국무용(4) 민속_한국(29) 민속_외국(31) 발레(5)
여가 (40) 생활 체육 체조, 긴줄넘기, 씨름, 움직임, 이어달리기, 철봉 운동, 체력운동, 축구, 핸드볼 (총 11) 배드민턴, 자전거, 축구, 맨손 체조, 인라인 (총 5) 배드민턴, 인라인, 스케이트, 조깅, 자전거, 긴줄넘기, 철봉, 제기차기, 수영, 축구, 요가, 운동계획, 줄넘기, 맨손체조 (총 18)
야외 낚시, 등산(총 2) 등산(2)
기타 응원, 기구(총 2)
체력 움직임 운동체력(11) 운동체력(6) 근력운동(5)
운동 (130) 기초 체력 심폐지구력(11) 체력측정(3), 유연성운동(4) 근력운동(1) 근력운동(21), 심폐지구력(1), 운동체력(2), 유연성운동(1) 체력이론(3), 근력운동(5), 체력측정(2), 심폐지구력(6) 체력이론(7), 유연성운동(10), 근력운동(13), 심폐지구력(11), 체력측정(1), 비만측정(1)
전문 체력 역도(1), 마라톤(1), 피겨스케이트(1), 씨름(1), 태권도(1)
보건 및 안전 (100) 보건 건강(3), 질병(3) 건강(6), 질병(1), 위생(3), 영양(1) 건강(5), 신체(6), 영양(2), 위생(4), 질병(7) 건강(1), 영양(3) 위생(5), 질병(4) 신체(1)
안전 질서운동(7), 생활안전(2) 생활안전(2) 야외활동(6) 운동상해(2) 대중교통(1) 야외활동(2) 응급활동(2) 자아존중(1), 성교육(10), 운동상해(10)
Download Excel Table
4) 분석절차 및 방법

분석은 먼저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삽화에 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삽화는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1개 삽화로 설정하여 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하였다. 다음으로 양성평 등 관점에서 삽화를 계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도구인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방대한 양의 교과서 삽화(총 1,175개)를 분석하는 데 있어 각각의 삽화분석지를 마련하고 다시 코딩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간소화하고 오류 파악과 수정 작업의 합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MS-Excel 시트에 교육과정 시기별 구분, 삽화번호, 삽화 구성형식, 성별 등장비율, 성별 주연비율, 종목 및 내용 등을 기입하도록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분석틀을 개발한 다음에는 양성평등 관점의 교과서 삽화 분석을 수행하는 참여자를 성별, 양성평등 스포츠교육에 대한 이해도 및 전문성, 연구 참여의지 등을 고려하여 20년 경력의 남성 체육교사 1명과 연구경력 10년 이상의 여성 스포츠교육학 연구자 1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2명의 남녀 참여자는 분석틀에 기준하여 교과서 삽화를 분석하여 집계 및 기입하였으며, 계량분석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분석도구의 신뢰도는 객관도로 보았는데, 이는 동일한 대상에 대한 평가 및 측정치들 간의 일치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객관도는 두 명 이상이 부여한 점수들 간의 일치 정도를 의미하는데(Baumgartner &amp; Jackson, 1999), 본 연구에서는 평가도구의 객관도 분석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연구자 1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측정의 대표적 방법인 내적 일관성을 검토하는 cronbach’s alpha 계수 값을 이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Cronbach’s alpha 검사의 신뢰도계수 Cronbach’s alpha값은 0.0에서 1.0 사이의 값을 가지는데, 그 값이 1.0에 가까울수록 높은 신뢰도로 해석한다. 측정결과 남녀학생의 등장비율에 대한 Cronbach 알파값은 .998, 주연비율에 관대한 Cronbach 알파값은 .869로 나타나 2명의 분석자가 측정한 값의 일치도가 매우 높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분석도구로 판정되었다.

신뢰도 측정 후에는 집계 결과에 이견이 있는 삽화를 재분류하여 초기 선정된 남녀 참여자 2인이 다시 집계 후 기입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합의되지 않은 삽화 분석결과에 대해서는 여성 스포츠교육학 연구자와 교과서 집필 및 교육과정 연구 전문 여성 스포츠교육학 교수 1명이 회의를 통해 삽화 등장인물의 역할, 내용, 구도 및 신체적 특징 등을 근거로 최종 협의 후 판정하였다. 분석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한 후에는 MS-excel 프로그램과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등을 실시한 후 백분율 및 추이를 분석하였다.

5) 분석결과의 해석

교과서 삽화에 대한 정량분석이 이루어진 후에는 결과를 토대로 각 영역별로 남녀 등장비율과 주연비율의 교육과정 시기별 변화와 특이점을 도출하였다. 영역별로 도출된 사안에 대 하여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종목 및 내용, 새로운 현상 등을 선정한 후, 유사한 상황을 담고 있는 삽화 사례를 선정 후 탐색하는 사례분석을 거쳤다. 사례 분석은 어떠한 현상에 대해 상세하고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것으로(Tesch, 1990),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시기별 변화와 흐름의 체계를 파악하고 양성평등과 관련하여 수집한 체육 및 제도, 타 교과 등의 문헌자료를 일괄하여 해석하였다. 해석은 스포츠 양성평등 교육과 관련한 질적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여성 스포츠 교육학자 2인이 주체가 되었고, 해석과 관련하여 남성 체육교사 1인과 사례분석 경험을 보유한 남성 동료연구자가 검토하는 다각도 분석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III. 연구결과

1. 교과서 삽화 전체 분석
1) 교과서 삽화 구성비율의 변화

초등학교 체육교과서는 그간 외형적으로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우선 기존에 요구되어 오던 색도의 명확성(안횡균 외, 1996; 조미혜, 1998)이 인쇄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사진 등의 삽화 구성이 증가하며 삽화의 질적 측면에서 성장한 것이 파악되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사진이나 삽화를 통해 활동 중심의 제시가 되어야 할 체육 교과서의 크기가 커질 필요가 있다는 요구가 관철되어(송천홍; 성기훈, 1998) 교과 판형의 크기가 7차 이후 점차 커졌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다양한 삽화 자료들의 구성을 통해 교과서 내용과 관련한 자료들이 상세하고 정확하게 제시되고 있었다.

초등학교 5학년 체육교과서의 삽화는 4차 교육과정 시기에서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까지 수량과 구성 측면에서도 큰 변화가 있었다. 먼저 삽화수는 4차 202개에서 5차 190개로 소폭 감소하였으나 6차에서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까지 약 260개 수준을 보유하며, 삽화수가 양적으로 증가하였음이 파악되었다.

삽화의 구성형식은 사진, 그림, 만화의 3가지 형태로 분류되었다. 4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단 1개의 사진구성(표지)이 있었지만, 5차 2개(1%), 6차 9개(3.5%), 7차 47개(18.1%), 2007 개정 135개(51.9%)로 전체 삽화구성의 절반을 상회하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만화 삽화는 7차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 9개(3.5%)로 처음 나타나 2007개정에서는 11개(4.2%)로 소폭 상승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표 2>.

표 2. 분석대상 교과서의 삽화 구성비율의 변화
구분 사례수 (빈도) 사진 그림 만화 사진 그림 만화
(빈도) (%)
4차 202 1 201 0 0.5 99.5 0.0
5차 194 2 192 0 1.0 99.0 0.0
6차 259 9 250 0 3.5 96.5 0.0
7차 260 47 204 9 18.1 78.5 3.5
2007 개정 260 135 114 11 51.9 43.8 4.2
소계 1,175 194 961 20 16.5 81.8 1.7
Download Excel Table
2) 성별 등장 및 주연비율의 변화

초등학교 체육교과서의 성별 등장비율을 삽화와 등장인물을 기준으로 산출한 결과 교육과정 시기별로 변화하였음이 파악되었다. 먼저 여학생 등장 삽화 비중은 4차 21%, 5차 39.4%, 6 차 43.1%, 7차 47.4%로 지속 상승하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45.8%로 다소 감소하였다<표 3>. 여학생 등장 비중 역시 4차 19.6%, 5차 32.6%, 6차 36.6%, 7차 44.6%로 남녀의 비율의 평등한 수준으로 지속 상승하였으나,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 이르 러서는 39.4%로 하락하였다. 이 밖에도 남녀 전체 등장빈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7차에 이르러서는 4차(791명)의 약 두배(1,573명)정도에 가깝게 증가하였고,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2,304명)에 이르러서는 전기와 비교하여 약 50% 정도가 증가하였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등장인물과 삽화수를 중심으로 성별 주연을 산출한 초등학교 체육교과서의 여학생의 주연비율 역시 앞서 살펴본 성별 등장비율의 변화 양상과 비슷한 흐름으로 전개되고 있었다. 여학생 주연비율은 4차 21.4%, 5차 27.8%, 6차 30.4%, 7차 45.2%로 지속 상승하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40%로 전기 교과서와 비교하여 5% 정도 감소하였다.

표 3.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성별 등장비율의 변화
구분 삽화 (빈도) 여학생 등장 삽화 (빈도) 남학생 등장 삽화 (빈도) 여학생 등장 삽화 비중(%) 여학생 등장 (빈도) 남학생 등장 (빈도) 남녀 전체등장 (빈도) 여학생 등장 비중(%)
4차 202 49 184 21.0 155 636 791 19.6
5차 194 100 154 39.4 283 584 867 32.6
6차 259 156 206 43.1 419 727 1146 36.6
7차 260 192 213 47.4 701 872 1573 44.6
2007 개정 260 185 219 45.8 908 1396 2304 39.4
소계 1,175 682 976 41.1 2466 4215 6681 36.9
Download Excel Table

성별 주연비율을 근거로 여학생 주연삽화, 남학생 주연삽화, 양성평등삽화로 분류하여 분석 한 결과 여학생 주연 삽화는 4차(11.4%)에서 7차(30.4%)에 이르기까지 지속 상승하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26.5%로 다소 감소하였고, 남학생 주연 삽화는 4차(79.7%)에서 7차(45.8%)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다가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50%로 다시 늘어난 현상을 보였다. 남성과 여성의 주연비율이 동등한 양성평등삽화는 4차 (8.9%)에서 7차(23.8%),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 기준 23.5%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양성평등 관점에서 고무적인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7차 교과서에서 2007 개정 교과서로 들어서며 남녀 등장 및 주연비율이 다소 남학생 중심으로 회귀하는 현상이 파악되었다. 7차 교과서와 2007 개정 교과서의 변화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교과서 판형의 크기가 커지며 삽화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기존과 비교하여 확대되었고, 이로 인해 삽화의 크기가 확대되며 등장인물 수 역시 크게 증가하였다. 교과서 삽화의 성별 등장 및 주연비 율의 변화는 양성평등의 사회적 요구를 교과서 집필에서 반영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지만, 2007 개정에 들어서는 7차와 비교하여 오히려 다소 낮아지는 현상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표 4.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성별 주연비율의 변화
구분 여학생 주연 (빈도) 남학생 주연 (빈도) 여학생 주연 (%) 여학생 주연 삽화 (빈도) 남학생 주연 삽화 (빈도) 양성 평등삽화 (빈도) 여학생 주연삽 화(%) 남학생 주연삽 화(%) 양성 평등삽 화(%)
4차 136 501 21.4 23 161 18 11.4 79.7 8.9
5차 176 456 27.8 52 120 22 26.6 62.0 11.5
6차 175 400 30.4 72 145 42 27.8 56.0 16.2
7차 499 606 45.2 79 119 62 30.4 45.8 23.8
2007 556 833 40.0 69 130 61 26.5 50.0 23.5
소계 1,542 2796 35.5 295 675 205 25.1 57.4 17.4
Download Excel Table
2. 내용 영역별 성별 등장 및 주연비율
1) 육상

육상 영역은 오래달리기, 이어달리기, 장애물달리기, 전력달리기, 마라톤 등을 포함하는 달리기와 멀리뛰기와 높이뛰기 등을 포함하는 뜀뛰기, 그리고 공 던지기, 원반 던지기, 플라잉디 스크 등의 던지기 활동 관련 삽화로 구성되었다. 달리기와 관련한 내용 및 삽화는 4차에서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구성되고 있으며, 뜀뛰기 관련 내용 및 삽화는 5차와 6차 교과서를 제외하고 구성되고 있다. 반면 던지기 관련 내용 및 삽화는 7차 교과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뉴스포츠인 플라잉 디스크가 등장하는 점이 특징적이다.

육상 영역의 여학생 등장비율을 살펴보면 4차 5.8%의 낮은 수준에서 5차 34%로 약 30% 정도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6차(43.2%)에서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40.7%)에 이르기까지 40% 초중반대 수준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학생 주연 비율 역시 4차 4.3%의 낮은 수준에서 시작하여 5차에 들어서며 34.8%로 30% 넘게 상승하였고, 6차(38.2%)에 이어 7차에 들어서는 43.9%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 이르러서는 7차와 비교하여 다소 낮아진 40.1%의 여학생 주연비율이 집계되었다.

육상 영역 삽화의 분석 결과 여학생 주연 삽화는 4차 3.2%의 낮은 점유율에서 5차에 들어 35.7%의 높은 상승률을 나타내었고, 이후 6차 33.3%, 7차 27.8%, 2007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28.1%로 집계되었다. 남학생 주연 삽화는 4차 93.5%의 압도적인 주연 삽화 비율에서 시작하여 5차(64.3%), 6차(55.6%), 7차(41.7%)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하락세를 나타내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 들어서는 이전 교과서보다 상승한 56.1%를 기록하였다. 남성과 여성의 주연비율이 동등한 양성평등삽화는 4차(3.2%)와 5차(0%)의 미비한 수준에서 시작하여 6차(11.1%) 들어 상승세를 보이면서 7차에 들어서는 30.6%로 20% 가까이 상승 하였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15.8%)에 들어서는 이전과 비교해 절반 정도의 보 유율을 나타내었다.

표 5. 육상 영역의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성별 등장 및 주연비율, 주연삽화 비율
구분 삽화 수 (빈도) 등장(%) 주연(%) 주연 삽화(%)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주 남주 평등
4차 31 5.8 94.2 4.3 95.7 3.2 93.5 3.2
5차 14 34.0 66.0 34.8 65.2 35.7 64.3 0.0
6차 18 43.2 56.8 38.2 61.8 33.3 55.6 11.1
7차 36 42.0 58.0 43.9 56.1 27.8 41.7 30.6
2007 개정 57 40.7 59.3 40.1 59.9 28.1 56.1 15.8
소계 156 33.8 66.2 33.2 66.8 24.4 60.9 14.8
Download Excel Table

이어달리기는 4차에서 7차까지 지속적으로 다루어지는 내용이었다. 이중 4차 교과서의 삽 화에서는 남학생만이 등장한 데 이어 5차에서는 남학생은 남학생끼리, 여학생은 여학생끼리 배턴을 교환하며 활동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6차와 7차에서는 남녀 혼성 이어달리기 삽화가 제시되고 있어 양성평등한 삽화에 보다 가까워진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전달하는 활동이 보다 역동적이라 할 수 있는 던지기 활동의 경우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뉴스포츠 종목 중 하나인 플라잉디스크가 내용으로 구성되어, 남녀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삽 화가 제시되는 점은 양성평등 관점에서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다.

jce-19-1-119-g2
그림 2. 교육과정 시기별 육상 영역의 삽화 사례
Download Original Figure
2) 체조

체조 영역은 매트, 평균대, 철봉, 뜀틀 등을 포함하는 기계체조와 공체조, 리본체조 등을 포 함하는 리듬체조, 맨손체조 활동 관련 내용을 담은 삽화로 구성되었다. 기계체조와 리듬체조에 관련한 내용 및 삽화는 4차에서 7차 교과서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구성되고 있으며, 맨손체조 관련 내용 및 삽화는 7차 교과서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기계체조와 리듬체조, 맨손체 조 등 체조 활동은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다루지 않고 있다.

체조 영역의 여학생 등장비율을 살펴보면 4차 16.4%에서 출발하여 5차 36.4%의 높은 상승 률을 필두로 하여 6차 역시 55.8%로 과반을 상회하며 전기 대비 20%에 가까이 상승하였으나, 7차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 이르러서는 44.3%로 전기 대비 10% 이상 하락하였다. 여학생 주연 비율 역시 4차 15.5% 수준에서 시작하여 5차에 들어서며 36.8%로 높은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6차 들어 59.5%로 60%에 가까운 수준에 들어섰으나, 7차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 이 르러서는 7차와 비교하여 10% 정도가 낮아진 43.8%의 여학생 주연비율이 집계되었다.

체조 영역의 삽화를 여학생 주연삽화, 남학생 주연삽화, 양성평등삽화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여학생 주연 삽화는 4차 11.6%에서 5차 29.8%로 20%에 가까운 상승세로 출발하여 6차 들어서는 59.3%의 높은 주연삽화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7차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38.5%로 약 20% 정도로 비중이 낮아짐이 확인되었다. 남학생 주연 삽화는 4차 83.7%의 압도적인 비율에서 시작하여 5차(61.7%), 6차(32.2%)까지 점진적 하락세를 나타내다 7차에 들어서는 46.2%로 상승하였다. 양성평등삽화는 4차에는 4.7%의 미비한 상태에서 출발하여 5차와 6 차에 이르러 8.5%로 소폭 상승하였다가, 7차에 이르러 15.4%로 상승한 것이 특징이다.

표 6. 체조 영역의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성별 등장 및 주연비율, 주연삽화 비율의 변화
구분 삽화 수 (빈도) 등장(%) 주연(%) 주연 삼호(%)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주 남주 평등
4차 43 16.4 83.6 15.5 84.5 11.6 83.7 4.7
5차 47 36.4 63.6 36.8 63.2 29.8 61.7 8.5
6차 59 55.8 44.2 59.5 40.5 59.3 32.2 8.5
7차 52 44.3 55.7 43.8 56.2 38.5 46.2 15.4
2007 개정 - - - - - - - -
소계 201 39.9 60.1 40.7 59.3 36.8 53.7 9.5
Download Excel Table

기계체조를 중심으로 구성된 4차에서 6차까지의 교과서를 살펴보면 평균대는 여학생, 철봉 등은 남학생을 중심으로 한 삽화자료의 제시가 특징적이었다. 이는 여학생은 조심스럽게 평형성을 유지하며 유연성을 강조하는 동작을 중심으로 묘사된 반면, 남학생의 경우 철봉에서 한 바퀴 회전한다거나 하는 힘있고 역동적인 장면의 묘사가 중심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체조 관련 삽화는 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4)에 이르러 평균대 위에서 남녀학생이 함께 유연성과 평형성을 꾀하는 움직임을 묘사하는 삽화가 발견되었다. 특히 7차 교과서에서는 여성 엘리트 스포츠인 리듬체조에서도 남학생이 여학생과 함께 등장하여 리본, 공 등을 다루며 활동하는 모습들이 제시되고 있다는 점은, 기존 교과서 삽화에서 여성은 부드러움, 남성은 강인함을 강조하던 일련의 고착화된 등식을 파기한 사례로 양성평등 관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jce-19-1-119-g3
그림 3. 교육과정 시기별 체조 영역의 삽화 사례
Download Original Figure
3) 수상 및 빙상

수상 및 빙상 영역은 수영과 스케이트, 스키, 아이스하키 등을 포함한 빙상 내용의 삽화들 로 구성되었다. 수영 관련 삽화 및 내용은 4차부터 7차까지 지속적으로 교과서에 포함되어 왔으나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다루지 않고 있었으며, 수구와 관련한 삽화 및 내용은 7차 교과서에서만 등장하는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의 빙상 관련 삽화는 3개로 분석에 유의미한 수치가 아니므로 해석에서 제외하였다.

수상 및 빙상 영역의 여학생 비율은 4차의 전무한 상태로 시작하여 5차 들어 17.9%의 높은 상승을 보인데 이어 6차 20.8%, 그리고 7차에 이르러 46.1%로 획기적인 진전을 보였다. 여학생 주연 비율 역시 4차의 전무한 수준에서 시작하여 5차에 들어서며 17.9%의 높은 상승세로 시작하여 6차 19.2%, 7차 47.2%로 급기야는 주연 비율에서 과반에 가까운 비율에 이르렀다.

수상 및 빙상 영역의 삽화를 여학생 주연삽화, 남학생 주연삽화, 양성평등삽화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여학생 주연 삽화는 4차 전무한 수준에서 5차 25%, 6차 16.7%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다 7차 들어 39%로 높은 상승율을 보였다. 남학생 주연 삽화는 4차 100% 압도적인 비율로 시작하여 5차(75%), 6차(70.8%), 7차(46.3%)까지 점진적 하락세를 나타내었다. 남성과 여성의 주연비율이 동등한 양성평등삽화는 4차와 5차에는 전무한 상태였으나 6차 들어 12.5% 로 상승한 데 이어 7차에서는 이보다 다소 높아진 14.6%의 점유율을 기록하였다.

표 7. 수상 및 빙상 영역의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성별 등장 및 주연비율, 주연삽화 비율의 변화
구분 삽화 수 (빈도) 등장(%) 주연(%) 주연 삽화(%)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주 남주 평등
4차 10 0.0 100.0 0.0 100.0 0 100 0
5차 12 17.9 82.1 17.9 82.1 25 75 0
6차 24 20.8 79.2 19.2 80.8 16.7 70.8 12.5
7차 41 46.1 53.9 47.2 52.8 39.0 46.3 14.6
2007 개정 3 15.8 84.2 15.8 84.2 66.7 33.3 0.0
소계 90 29.5 70.5 29.5 70.5 27.8 62.2 10.0
Download Excel Table

4차에서 7차까지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수영내용과 관련한 삽화는 4차의 경우 남학생만이 등장한 데 이어 5차에 들어서부터는 남녀학생이 함께 등장하고 있었지만 6차에 이르기까지 주도적인 활동에서는 남학생이 중심이 되고 있었다. 그러나 7차에 들어서는 남녀 혼성 게임 장면이 소개되었고, 수구 활동에서는 남녀 학생이 즐겁게 물놀이를 하는 장면이 묘사되었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5) 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함께 기차놀이를 하는 등, 점차 양성평등한 삽화 양상으로 변모하였음이 관찰되었다.

jce-19-1-119-g4
그림 4. 교육과정 시기별 수상 및 빙상 영역의 삽화 사례
Download Original Figure
4) 구기운동

구기운동 영역은 공 운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공 운동은 간이농구 및 농구, 간이배구 및 배구, 간이야구 및 주먹야구, 발야구, 간이축구 및 축구, 간이핸드볼, 하키, 티볼 등이 포함 되는데, 전통 스포츠의 변형 및 티볼 등의 뉴 스포츠가 2007 개정에서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구기운동 영역의 성별 등장비율과 주연비율, 주연 삽화수 기준 산출 결과 교육과정 시기별 로 변화하였음이 파악되었다. 여학생 등장비율은 4차 0%, 5차 12.9%, 6차 9.3%, 7차 38.1%로 7차에 이르러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내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 29.1%로 10% 가까이 하락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여학생 주연 비중 역시 4차 0%, 5차 17.2%, 6차 12%, 7차 38.5%로 5차와 7차에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이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 이르러 23%로 15% 이상 하락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구기운동 영역의 삽화를 여학생 주연삽화, 남학생 주연삽화, 양성평등삽화로 분류하여 분석 한 결과 여학생 주연 삽화는 4차(0%)에서 6차(11.5%)에 이르기까지 지속 상승하다 7차(20%)에서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14.3%)로 이어지며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남학생 주연 삽화는 4차(100%)에서 7차(50%)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나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76.2%로 무려 26%가 넘게 늘어난 점이 특징적이다. 남성과 여성의 주연비율이 동등한 양성평등삽화는 4차(0%)에서 7차(30%) 교과서까지 꾸준히 늘어나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 이르러서는 9.5%로 큰 폭으로 하락하였다.

표 8. 구기운동 영역의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성별 등장 및 주연비율, 주연삽화 비율의 변화
구분 삽화 수 (빈도) 등장(%) 주연(%) 주연 삼호(%)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주 남주 평등
4차 33 0.0 100.0 0.0 100.0 0.0 100.0 0.0
5차 26 12.9 87.1 17.2 82.8 7.7 80.8 11.5
6차 26 9.3 90.7 12.0 88.0 11.5 76.9 11.5
7차 23 38.1 61.9 38.5 61.5 20.0 50.0 30.0
2007 개정 42 29.1 70.9 23.0 77.0 14.3 76.2 9.5
소계 150 17.8 82.2 17.4 82.6 10.4 78.3 11.2
Download Excel Table

구기운동 중 전통적으로 남성스포츠로 인식되고 실제 국제 공인경기에서 남성중심으로 형 성되고 전개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는 축구와 야구 등의 종목 삽화는, 4차에서 6차에 이르기 까지 남학생들만이 등장하며 역동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이 묘사되고 있었다. 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 들어 비로소 게임활동을 하는 장면에 여학생이 등장하고 있으나, 남 학생에 비해 여전히 낮은 비중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구기 영역에서 여학생이 주연으로 등장하는 사례는 5차에서부터 나타났는데, 주로 좁은 활 동반경 내에서 기본기술을 다루는 내용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따라서 여학생은 게임위주 삽화에 주연으로 등장하는 남학생에 비해 구기운동에 소극적이고 수동적으로 받아들여질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여학생과 남학생이 공동으로 야구 등의 삽화에서 주연으로 등장하고 있어, 전체 등장비율에서 보여지는 열세에도 불구 하고 양성평등한 삽화를 구성하기 위한 노력과 시도가 보여진다. 이밖에도 남녀학생이 손을 잡고 축구게임을 한다거나 티볼 등 뉴스포츠에서 함께 활동하는 양성평등 삽화의 사례도 다 수 관찰되고 있었다.

jce-19-1-119-g5
그림 5. 교육과정 시기별 구기 영역의 남녀 등장 삽화 사례
Download Original Figure
5) 투기 운동

우리나라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에서 투기 운동은 씨름과 태권도로 구성되었으며, 세부 내 용에 있어서는 겨루기와 기본기술로 구성되어 있었다. 씨름은 4차에서 6차까지, 태권도는 4차에서 7차까지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으나,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초등 5학년 교과서에서는 투기스포츠를 다루지 않고 있었다.

투기 운동 영역의 여학생 등장비율을 살펴보면 4차에는 전무하였으나 5차에 들어 17.8%의 높은 상승률을 보인 이후, 6차 24.6%, 7차 28.8%로 꾸준히 상승하였다. 그러나 전체 비중으로 따져본다면 여전히 30%에 이르지 못하는 낮은 수준에 불과하였다. 여학생 주연 비율 역시 4차의 전무한 수준에서 시작하여 5차에 들어서며 18.2%의 높은 상승세로 들어서며 6차 25%, 7차 28.6%로 지속적 상승세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등장비율과 마찬가지로 주연비율 역시 30%에 이르지 못하는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투기 운동 영역의 삽화를 여학생 주연삽화, 남학생 주연삽화, 양성평등삽화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여학생 주연 삽화는 4차 전무한 수준에서 5차 12.5%, 6차 17.4%로 높아졌으나 7차 들어서는 5.6%로 다시 하락하였다. 남학생 주연 삽화는 4차 100% 압도적인 주연 삽화 비율에서 시작하여 5차(75%), 6차(78.3%), 7차(66.7%)까지 점진적 하락세를 나타내지만, 여전히 압도적인 수준의 주연 삽화 점유율이 파악되었다. 남성과 여성의 주연비율이 동등한 양성평 등삽화는 4차에는 전무한 상태에서 출발하여 5차 들어 12.5%로 상승하였다가 다시 6차에서 4.3%의 미비한 수준에 머물렀으며, 다시 7차에 이르러 27.8%로 상승한 것이 특징이다.

표 9. 투기 운동 영역의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성별 등장 및 주연비율, 주연삽화 비율의 변화
구분 삽화 수 (빈도) 등장(%) 주연(%) 주연 삼호(%)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주 남주 평등
4차 16 0.0 100.0 0.0 100.0 0.0 100.0 0.0
5차 16 17.8 82.2 18.2 81.8 12.5 75.0 12.5
6차 23 24.6 75.4 25.0 75.0 17.4 78.3 4.3
7차 18 28.8 71.3 28.6 71.4 5.6 66.7 27.8
2007 개정 - - - - - - - -
소계 73 18.8 81.3 18.9 81.1 9.6 79.5 10.9
Download Excel Table

투기 운동의 경우 5차 들어 여학생이 등장하기는 하나 씨름이나 태권도의 기본기술 중심으로 여학생이 등장하고 있으며, 보다 역동적이고 강인함이 어필되는 겨루기 장면은 남학생 중심으로 묘사되고 또 소개되고 있었다. 이는 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6)까지 지 속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었다. 전통적으로 씨름이나 태권도, 레슬링 등의 투기 운동이 남성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각광받고 있는 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타 영역에서의 양성평등한 삽화로의 시도와 접근과 관련하여 볼 때 매우 아쉬운영역이었다.

jce-19-1-119-g6
그림 7. 교육과정 시기별 투기 운동 영역의 삽화 사례
Download Original Figure
6) 무용

무용 영역은 무용과 움직임교육 내용을 담은 삽화로 구성되었다. 무용 관련한 내용으로 구성된 움직임 교육에는 모방 움직임과 표현 움직임이 포함되었고, 무용은 표현무용과 한국무용, 발레, 우리나라와 외국의 민속무용 등이 포함되었다. 무용 영역의 경우 교육과정 시기별로 다루고 있는 삽화와 관련한 내용구성에 있어 큰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다.

무용 영역의 성별 등장비율과 주연비율, 주연 삽화수를 기준으로 산출한 결과 교육과정 시 기별로 차이는 다소 존재하나 타 영역과 비교하여 여학생의 비중이 높음이 파악되었다. 먼저 여학생 등장비율은 4차 65.2%, 5차 45.4%, 6차 52.2%, 7차 59.7%,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 45.6%로 과반 이상의 비중이거나 혹은 과반에 가까운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여학생 주연 비중은 4차 67.5%, 5차 45.7%, 6차 54%, 7차 59.5%,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 46.9%로 각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등장 비율과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무용 영역의 삽화를 여학생 주연삽화, 남학생 주연삽화, 양성평등삽화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여학생 주연 삽화는 4차 30%, 5차 37.5%, 6차 25%, 7차 37.8%,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 29.2%로 집계되었다. 남학생 주연 삽화는 4차(43.3%)에서 7차(27%)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나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29.2%로 소폭 상승하였다. 무용 영역에서 양성평등삽화는 4차 26.7%, 5차 22.9%, 6차 37.5%, 7차 35.1%, 2007 개정 교육 과정 시기 교과서 41.5%로 점차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로 해석되었다.

표 10. 무용 영역의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성별 등장 및 주연비율, 주연삽화 비율의 변화
구분 삽화 수 (빈도) 등장(%) 주연(%) 주연 삽호(%)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주 남주 평등
4차 30 65.2 34.8 67.5 32.5 30.0 43.3 26.7
5차 48 45.3 54.7 45.7 54.3 37.5 39.6 22.9
6차 32 52.2 47.8 54.0 46.0 25.0 37.5 37.5
7차 39 59.7 40.3 59.5 40.5 37.8 27.0 35.1
2007 개정 65 45.6 54.4 46.9 53.1 29.2 29.2 41.5
소계 214 51.8 48.2 52.9 47.1 32.1 34.3 33.5
Download Excel Table

여학생 중심 프로그램(girly sports)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어 왔던 무용 관련 영역은 4차 교과서에서 2007 개정에 이르기까지 점차 양성평등한 등장 및 주연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단, 7차 들어 여학생 등장 및 주연비율이 증가한 것은 한국무용과 발레 등 전문 예술무용과 관련 한 삽화로 인해서였다. 전체 9개 영역들 가운에 삽화비율 측면에서는 가장 양성평등한 비율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그러나 남녀학생의 옷차림 등과 관련하여서는 남성성과 여성 성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민속무용 복장과 같은 경우 고유한 문화적 영역이나, 학생들의 수행을 묘사하는 삽화의 경우 옷차림에서 남성성과 여성성이 지나치게 강조 되는 것은 특정성에 대한 고정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재고할 필요가 있다.

jce-19-1-119-g7
그림 8. 교육과정 시기별 무용 영역의 삽화 사례
Download Original Figure
7) 여가

6차 교과서에서부터 시작된 여가 관련 내용 및 삽화는 크게 생활체육과 야외레저스포츠 및 기타 활동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종목 및 활동들을 여가 영역에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여가 관련 삽화 및 내용은 6차 교과서에서는 지금까지 학습한 교과 내 전통 스포츠를 담고 있었다면 7차부터는 인라인, 요가 등과 같이 새롭게 생성되기 시작한 트렌디하고도 다양한 신 체활동과 함께 조깅, 제기차기 등의 민속놀이나 생활 속에서 밀접하게 발견할 수 있는 생활체 육 활동을 폭넓게 포괄하고 있다는 점이 특이점이라 할 수 있겠다.

여가 영역의 여학생 등장비율은 6차 31.3%의 비율에서 시작해 7차 44.6%의 높은 상승률을 보인데 이어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 이르러 36.7%로 8% 가량 낮아진 것으로 집 계되었다. 여학생 주연 비율 역시 6차 32.6%, 7차 45.6%,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의 경우 37.6%로 등장비율과 유사한 상승과 하강의 패턴을 보이고 있었다.

여가 영역의 삽화를 여학생 주연삽화, 남학생 주연삽화, 양성평등삽화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여학생 주연 삽화는 6차 23.1%, 7차 22.2%, 그리고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16.7%의 점유율을 나타내어 비슷한 양상을 이어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남학생 주연 삽화의 경우 6차 69.2%, 7차 44.4%, 그리고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66.7%로 주연삽화 점유율이 4~60%대를 보유하며 높은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었다. 남성과 여성의 주연비율이 동등한 양성평등삽화는 6차의 경우 7.7%의 낮은 수준에서 출발하여 7차 33.3%, 그리고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16.7%의 점유율을 기록하였다.

표 11. 여가 영역의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성별 등장 및 주연비율, 주연삽화 비율의 변화
구분 삽화 수 (빈도) 등장(%) 주연(%) 주연 삽화(%)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주 남주 평등
4차 - - - - - - - -
5차 - - - - - - - -
6차 13 31.3 68.8 32.6 67.4 23.1 69.2 7.7
7차 9 44.6 55.4 45.6 54.4 22.2 44.4 33.3
2007 개정 18 36.7 63.3 37.6 62.4 16.7 66.7 16.7
소계 40 36.7 63.3 37.8 62.2 20.0 62.5 17.5
Download Excel Table

종목 중심으로 생활 속 실천을 강조하던 6차 교과서는 여전히 남학생이 높은 비율로 삽화에서 제시되고 있었으나 7차에 들어서는 운동 뿐 아니라 독서, 영화감상 등 다채로운 여가활 동을 소개하며 여학생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 이르러서는 레저스포츠 중심의 다양한 활동을 삽화를 통해 현장감 있고 생생하게 제시 하고 있으나, 여학생의 비중이 다소 낮아지는 현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역시 여학생의 레 저 스포츠 활동이 상대적으로 미진함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jce-19-1-119-g8
그림 8. 교육과정 시기별 여가 영역의 삽화 사례
Download Original Figure
8) 체력운동

체력운동 영역은 움직임, 기초체력, 전문체력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움직임을 통한 체 력 관련 삽화 및 내용은 4차에서 6차 교과서까지 다루고 있고, 기초체력과 관련한 삽화 및 내 용은 4차에서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까지 지속적으로 다루고 있다. 전문체력은 체력 영역 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많지는 않으나 엘리트체육에서 사용되는 전문 기술과 관련한 체 력을 다루는 내용 및 삽화로,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 처음으로 다루고 있었다.

체력운동 영역의 여학생 등장비율을 살펴보면 4차 20.6%, 5차 29.4%, 6차 36.3%, 7차 28%,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 35%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체력운동 영역의 여학생 주연은 4차 16.5%, 5차 30.3%, 6차 33.3%, 7차 26.5%,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 44.9%로 나타났다. 주연비율은 등장비율과 비교하여 등락에 있어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것이 타 영역에서 일반적인 데 반해, 체력의 경우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 등장비율(35%)과 주연비율(44.9%)의 차가 큰 것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더불어 전년 대비 등장 비율이 감소한 데 반해 주연비율은 증가하였다는 점 역시 대조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겠다.

표 12. 체력운동 영역의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성별 등장 및 주연비율, 주연삽화 비율의 변화
구분 삽화 수 (빈도) 등장(%) 주연(%) 주연 삽화(%)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주 남주 평등
4차 22 20.6 79.4 16.5 83.5 18.2 63.6 18.2
5차 14 29.4 70.6 30.3 69.7 28.6 64.3 7.1
6차 30 36.3 63.7 33.3 66.7 16.7 53.3 30.0
7차 16 28.0 72.0 26.5 73.5 12.5 75.0 12.5
2007 개정 48 35.0 65.0 44.9 55.1 37.0 45.7 19.6
소계 130 31.4 68.6 33.5 66.5 25.1 55.3 19.5
Download Excel Table

체력운동 영역의 삽화를 여학생 주연삽화, 남학생 주연삽화, 양성평등삽화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여학생 주연 삽화는 4차 18.2%에서 시작하여 5차 들어 28.6%로 10% 정도 상승한 점유율을 나타내었는데, 이후 7차 16.7%, 2007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12.5%로 감소하고 있었다. 남학생 주연 삽화는 4차 63.6%, 5차 64.3%, 6차 53.3%, 7차 75%의 과반을 넘는 높은 주연 삽화 비율을 보이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43.4%의 비율로 완화 되었다. 남성과 여성의 주연비율이 동등한 양성평등삽화는 4차 18.2%, 5차 7.1%, 6차 30%, 7 차 12.5%, 그리고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 19.6%의 보유율이 집계되었다.

체력운동 영역의 경우 4차와 5차는 힘을 중심으로 한 체력운동 활동을 남학생과 여학생을 구분하여 제시하는 등 양성불평등한 삽화 사례가 다수 발견되었는데, 6차 들어 남녀가 같이 체력운동을 하는 삽화가 제시되어 기존보다 양성평등한 삽화 시도가 시행된 것으로 보여진다. 7차 들어 체력측정과 관련한 삽화에서 남학생 중심의 삽화가 다수 제시되고 있으며, 2007 개정에 이르러서는 이보다는 완화된 수준으로 함께 체력측정 하는 활동 등이 묘사되고 있었다.

jce-19-1-119-g9
그림 10. 교육과정 시기별 체력운동 영역의 삽화 사례
Download Original Figure
9) 보건 및 안전

보건 및 안전 영역은 건강, 신체, 질병, 위생, 영양 등의 내용을 담은 삽화를 포함하는 보건과 질서운동, 생활안전, 야외활동, 운동상해, 대중교통, 응급활동, 자아존중 및 성교육 등의 내용을 담은 삽화를 포함하는 안전으로 구성되었다.

보건 및 안전 영역의 여학생 등장비율을 살펴보면 4차(20.9%)에서 6차(21.9%)까지는 20% 초반대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7차에 이르러서는 40.3%로 약 20% 가까이 상승한 것이 특징적 이며,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37%로 다소 낮아졌다. 여학생 주연 비중 역시 4 차(27.6%)에서 6차(24.4%)까지 20%대를 유지하다 7차(36.4%)에 이르러 상승세를 나타내며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에 이르러서는 41.2%로 높아진 것이 주목할 만 하다.

표 13. 보건 및 안전 영역의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성별 등장 및 주연비율, 주연삽화 비율의 변화
구분 삽화 수 (빈도) 등장(%) 주연(%) 주연 삽화(%)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주 남주 평등
4차 15 20.9 79.1 27.6 72.4 20.0 66.7 13.3
5차 13 20.0 80.0 22.2 77.8 15.4 76.9 7.7
6차 30 21.9 78.1 24.4 75.6 13.3 70.0 16.7
7차 20 40.3 59.7 36.4 63.6 31.6 42.1 26.3
2007 개정 22 37.0 63.0 41.2 58.8 18.2 45.5 36.4
소계 100 28.5 71.5 30.7 69.3 19.3 59.4 21.3
Download Excel Table

보건 및 안전 영역의 삽화를 여학생 주연삽화, 남학생 주연삽화, 양성평등삽화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여학생 주연 삽화는 4차 20%, 5차 15.4%, 6차 13.3%, 7차 31.6%, 2007개정 교육 과정 시기 교과서에서는 18.2%로 집계되었다. 남학생 주연 삽화는 4차(66.7%)에서 6차(70%)에 이르기까지 6~70%대를 차지하고 있으나 7차(42.1%)와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 (45.5%)에 들어서는 이전 교과서보다 하락하여 40%대를 기록하였다. 남성과 여성의 주연비율이 동등한 양성평등삽화는 4차(13.3%)에서 6차(16.7%) 교과서까지 10%대의 낮은 점유율이 관찰되었으나 7차(26.3%)와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36.4%)에 들어 큰 폭의 상승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과 관련한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는 보건 및 안전 영역은 타 영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직업 관련한 묘사가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4차에서 화재를 진압하고 있는 소방대원이 전원 남성이었던 삽화는 7차에 이르러 여성 소방대원이 응급환자를 이송 하는 삽화로 변화되며 직업이나 활동에 대한 성 고정관념을 탈피하는 묘사가 확인되었다. 또한 남성중심의 야외활동은 비록 여성을 구조하는 주체가 남성으로 묘사되고는 있으나 6차에 들어와 여성이 등장한 점 역시 조용한 진전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의 보건 및 안전영역에서 새롭게 구성된 내용은 바로 성교육이다. 성교육 관련 삽화는 여학생의 생리와 남학생의 몽정 현상을 함께 다루고 있었고, 특히 남성이 가해자이고 여성은 피해자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양성이 각각 피해자와 가해자의 역할을 맡는 삽화를 등장한 점은, 양성평등한 삽화로서 기존 교과서보다 진일보된 결과이다.

jce-19-1-119-g10
그림 11. 교육과정 시기별 보건 및 안전 영역의 삽화 사례
Download Original Figure
10) 영역별 여학생 등장 및 주연비율의 교육과정 시기별 변화

여학생 등장비율은 무용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점차 증가하였고, 체력과 체조를 제외한 6개 영역이 7차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 삽화에서 가장 높은 등장비율이 나타났다. 연구범위 중 가장 최근인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 삽화에서는 체력 영역과 초등 5학년 체육 교과서 내용으로 구성되지 않은 체조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전기와 비교하여 여학생 등장비율이 감소됨이 확인되었다. 4차와 비교하여 점차 여학생 등장비율이 감소한 무용 영역의 경우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 삽화에서 45.6%의 등장비율을 나타내어 가장 양성평등한 비율로 구성되었음이 파악되었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무용 영역은 4차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2007 개정 교육 과정 시기에서는 가장 양성평등한 비율을 나타내었다. 육상 영역, 체조 영역과 수상 및 빙상 영역과 같은 기초 종목의 경우 4차의 전무한 수준에서 6차와 7차와 2007 개정을 두루 거치며 양성평등한 등장비율에 근접한 수준임이 확인되어 비약적인 성장을 한 것으로 보여진다. 보 건 및 안전 영역과 여가 영역 역시, 2007 개정에 이르러 다소 여학생의 등장비율이 낮게 집계 되었으나, 등장비율의 양성평등한 구성 관점에서 우려할 만큼의 수준은 아니라 판단된다. 그러나 구기, 체력, 투기스포츠 영역의 경우 가장 높은 여학생 등장비율이 30%대이거나 이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양성평등한 등장비율의 구성이 미흡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표 14. 영역별 여학생 등장 및 주연비율의 교육과정 시기별 변화
구분 영역 4차 5차 6차 7차 2007 개정
등장 비율 육상 5.8 34.0 43.2 42.0 40.7
체조 16.4 36.4 55.8 44.3 -
수상 및 빙상 0.0 17.9 20.8 46.1 15.8
구기 0.0 12.9 9.3 38.1 29.1
투기 스포츠 0.0 17.8 24.6 28.8 -
무용 65.2 45.3 52.2 59.7 45.6
여가 - - 31.3 44.6 36.7
체력 20.6 29.4 36.3 28.0 35.0
보건 및 안전 20.9 20.0 21.9 40.3 37.0
주연 비율 육상 4.3 34.8 38.2 43.9 40.1
체조 15.5 36.8 59.5 43.8 -
수상 및 빙상 0.0 17.9 19.2 47.2 15.8
구기 0.0 17.2 12.0 38.5 23.0
투기 스포츠 0.0 18.2 25.0 28.6 -
무용 67.5 45.7 54.0 59.5 46.9
여가 - - 32.6 45.6 37.6
체력 16.5 30.3 33.3 26.5 44.9
보건 및 안전 27.6 22.2 24.4 36.4 41.2
Download Excel Table

여학생 주연비율 역시, 무용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 고, 체력, 보건 및 안전, 내용 구성에 포함되지 않은 체조 영역을 제외한 5개 영역이 7차 교육 과정 시기 교과서 삽화에서 가장 높은 주연비율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 중 가장 최 근의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 삽화에서는 체력, 보건 및 안전 영역과 내용 구성에 포 함되지 않은 체조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전기와 비교하여 여학생 주연비율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여학생 등장비율이 낮기는 하였으나 체력 영역은 여학생 주연비율에 있어 무용 영역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것은 양성평등적 관점에서 노력한 시도를 엿볼 수 있었다. 축구나 야구 등의 구기스포츠, 그리고 씨름이나 태권도 등의 투기스포츠는 과거로부터 남성중심적 스포츠(masculine sports)로 보편적으로 인식되어 왔다. 씨름 종목의 경우 5차 교과서 삽화에서부터 여학생이 등장하며 등장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에는 있었으나, 겨루기와 같은 역동적이고 경쟁 중심 삽화에서는 남학생 주연 구도에 그치고 있다. 구기 영역 역시 4차 교과서 삽화에서 여학생은 등장하지 않았고, 5차 들어 여학생 주연 삽화가 발견되었지만, 활 동반경이 넓고 역동적이며 단체의 조직력을 바탕으로 하는 장면에서는 남학생 중심으로 구성 되었다. 단순한 비율적 측면을 떠나 특정성에 대한 편견을 지나치게 강조한다는 측면에서는, 무용 영역 역시 양성의 이미지를 정형화하고 있었으므로 고려할 여지가 여전히 존재한다.

7차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 구기영역의 삽화에서 여학생 주연이 증가하는 경향이 발견되는 데, 이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손을 잡고 축구 게임을 하는 등 새로운 규칙을 소개하는 삽화 등이 그 견인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양성평등과 관련한 스포츠교육 연구에서 추구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도입 경향에서 나타난 뉴스포츠의 영향으로 긍정적 변화로 볼 수 있다(김낭규, 2009; 류태호, 이병준, 2006이종목, 최홍섭, 2009).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 스포 츠 관련 삽화에서는 남학생이 주도적 역할 수행 비율이 높다는 사실은 양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성적 편견이 완화된 교수-학습 내용 및 프로그램 개발이 여전히 필요함을 시사한다.

IV.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주로 남성중심적 사고관을 지닌 체육교과 내에서 시대의 변화에 따른 양 성평등적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제 4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2007개정 교육과정 시기까지 약 다섯 번의 교육과정 개정을 거쳐 출판된 초등학교 체육교과서에 나타 난 삽화를 분석하였다. 체육교과서는 삽화의 구성, 남녀 등장비율과 주연비율의 전체 변화와 종목 및 내용 영역별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첫째, 체육교과서 삽화는 6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까지 삽화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삽화구성의 형식에 있어서는 7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인쇄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진의 구성비율이 늘어났고, 색도의 명확성이 높아지는 등 양질의 성장을 거쳤다. 특히, 7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교과 판형이 커졌고 삽화의 크기 또한 커지는 변화가 있었다.

둘째, 여학생 등장 비율은 4차에서 7차까지 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다소 감소 추세를 보였다. 영역별로는 육상, 체조, 수상 및 빙상, 무용 등의 기초 종목은 양성평등적 관점에서 양호한 수준으로 진단되었으나, 체력운동, 투기운동, 구기운동 등의 영역의 경우는 양성평등적 관점에 부합하지 않는 수준이었다. 이것은 비단 체육교과 만의 문제는 아니어서 가정, 과학, 사회, 음악 등의 교과서를 양성평등적 관점에서 분석한 선행연구에서도 남녀의 역할이나 성적 편견, 관념 등이 마찬가지로 존재하고 있어 꾸준히 문제 제기 되어온 사안이다(김윤정, 이수희, 손상희, 2014; 신동희, 2000에서 재인용; 양찬호 외, 2014; 유지연 외; 윤문정, 승윤희, 2012; 최영선, 윤인경, 2008에서 재인용).

셋째, 여학생 주연비율과 삽화 사례분석 결과 영역별로 여전히 남성적 스포츠와 여성적 스포츠로 확연하게 구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구기와 투기스포츠, 근력 중심의 체력 영역은 전통적으로 남성 스포츠로 인식되어 왔으며, 그 중 본 연구에서 더욱 문제가 드러난 영역은 구기와 투기스포츠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체육 교과서에서 남학생은 도전적이고 경쟁 관련 내용에서 주연으로 등장하고 여학생은 표현활동 등의 영역에서 주로 등장하고 있어, 남성다운 스포츠와 여성다운 스포츠로의 이분법적 사고가 존재한다는 기존 연구와도 방향을 함께한다(김윤희, 유정애, 2004; 권치순, 김경희, 2008에서 재인용; 홍상완, 박재우, 2008에서 재인용).

2. 제언

본 연구와 관련하여 후속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7차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까지 점진적으로 늘어난 인물의 등장빈도는 2007 개정에 이르러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교과서 책자의 판형이 커져 확장된 공간 확보로 인해 커진 삽화 자료와도 관련이 깊다. 종전보다 커진 삽화자료는 삽화 인물등장 빈도가 늘어나는 계기가 되었고, 활력과 생동감이 높아진 질 높은 교과서 삽화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삽화 외형 양질의 성장 이면에는, 양성평등한 삽화 구성에 있어서는 기존의 추세와 비교하여 다소 역행하는 결과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확인하고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 요하다. 후속연구에서는 출판사 및 교과서별로 편차를 보이는가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연구방법의 다면적 해석과 관련한 제언이다. 본 연구는 교과서 삽화의 정량분석을 통한 양성평등의 변화와 흐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과 의의가 있었다면, 후속연구에서는 삽화 등장인물의 집계뿐만 아니라 내용분석을 통해 삽화의 내용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교과서 집필에 참여한 인물들의 진술을 바탕으로 분석한 질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양적연구를 수행한 기초연구 결과와 질적연구의 결과를 통해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집필의 배경과 변화의 과정에 대한 온전한 해석과 대안제시가 가능하다. 양성평등 관점에서 교과서 삽화의 분석연구 후에는 삽화의 성 편향정도가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양성평등한 삽화 및 교과내용으로 체육을 학습한 학생과 남성 중심의 삽화 및 교과내용으로 학습한 학생들의 체육활동이 학생들의 학습활동과 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문제를 분석하여야 한다. 교과서 삽화는 개발절차상 연구·집필진에 의해 집필된 원고를 바탕으로 하여 제작을의 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데, 내용의 선정과 조직에 있어서는 ‘단원의 구성 체제가 특정성이나 내용에 편중되지 않도록 한다(교육부, 1998)’, ‘남녀의 역할, 장애, 직업 등에 대한 편견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로 삽화 제작 지침에 있어서는 ‘등장인물의 성 비를 적절히 안배한다’는 정도로만 제시되어 있어 구체적인 기준 제시가 모호하였다(조미혜, 1998). 따라서 공정한 관점에서 양성평등한 삽화를 구성하기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양성평등적 교과서 집필을 위한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요청한다.

Notes

1) 이 연구는 인하대학교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음.

2) 본 논문은 한국여성체육100년사(100인의 여성체육인, 2014)집필과정의 예비연구와 학술세미나 발표 자료(Cho, M & Lee, Y., 2015)를 수정·보완한 것임

3) 이 연구는 2014년 출판된 100인의 여성체육인 집필을 위한 자료수집 및 분석을 예비연구로 시작되어 1회의 국제학술대회 발표 후 학자들간의 토론을 통해 연구방법 및 결과분석의 보완을 거쳐 수행되었다. 따라서 2015년에 출판된 2009 개정 초등 5학년 교과서는 분석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음을 밝힌다.

4) 2007 개정 교육과정 내용영역 구성에 따라 초등학교 5학년 체육교과서에서는 체조 영역을 다루지 않고 있으므로, 삽화 사례분석을 위해 6학년 체육교과서 삽화 사례를 분석하여 변화흐름을 파악하였음.

5) 2007 개정 교육과정 내용영역 구성에 따라 초등학교 5학년 체육교과서에서는 수영 및 빙상 영역을 다 루지 않고 있으므로, 사례분석을 위해 3학년 체육교과서 삽화 사례를 분석하여 변화흐름을 파악하였음.

6) 2007 개정 교육과정 내용영역 구성에 따라 초등학교 5학년 체육교과서에서는 투기운동 영역을 다루 지 않고 있으므로, 사례분석을 위해 4학년 체육교과서 삽화 사례를 분석하여 변화흐름을 파악하였음.

참고문헌

1.

100인의 여성체육인(2014). 한국여성체육 100년사 - 여성과 학교체육. 서울: 대경북스..

2.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http://stdweb2.korean.go.kr(검색일 2015. 12. 10).

3.

교육부(1997). 6차 교육과정 시기 초등 5학년 체육교과서. 서울: 교육부..

4.

교육부(1998). 집필상의 유의점(초등학교). 서울: 교육부..

5.

교육부(1999). 양성평등 학교문화 선생님이 만듭니다. 서울: 교육부 여성교육 정책담당관실..

6.

교육인적자원부(2002). 7차 교육과정 시기 초등 5학년 체육교과서.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7.

김낭규(2009). 뉴스포츠의 혼성체육수업 적용 가능성 탐색: 학생체험을 중심으로. 한국스포 츠교육학회지, 16(3), 17-34..

8.

김미정, 유태명(2004). 양성평등적 관점에 기초한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家政 교과서 삽화의 단원별 계량적 내용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6(4), 27-41..

9.

김선욱(2000).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과 한국여성입법정책. 법학논집, 4(4), 139-162..

10.

김수진(2015. 11. 19). 한국 양성평등 수준 115위…캄보디아 네팔보다 뒤져 아직 ‘조선시 대?’. 동아일보 보도자료..

11.

김윤정, 이수희, 손상희(2014).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의 변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6(2), 31-49..

12.

김윤희, 유정애(2004). 초중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성 정형화 및 성 역할 실태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8(2), 11-22..

13.

권치순, 김경희(2008). 양성평등 관점에 기초한 초등학교 교과서 삽화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 14-27..

14.

노태희, 차정호, 왕혜남(2004). 7차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초등과학교육, 23(1), 85-91..

15.

두산동아(2011). 2007 개정 초등 3학년 체육교과서. 서울: 두산동아..

16.

두산동아(2011). 2007 개정 초등 4학년 체육교과서. 서울: 두산동아..

17.

두산동아(2011). 2007 개정 초등 5학년 체육교과서. 서울: 두산동아..

18.

두산동아(2011). 2007 개정 초등 6학년 체육교과서. 서울: 두산동아..

19.

류태호, 이병준(2006). 뉴스포츠(New Sports)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3(1), 67-81..

20.

문교부(1987). 4차 교육과정 시기 초등 5학년 체육교과서. 서울: 문교부..

21.

문교부(1990). 5차 교육과정 시기 초등 5학년 체육교과서. 서울: 문교부..

22.

박영혜(1993). 한국 여성의 교육문화적 지위. 아시아여성연구, 32, 39-61..

23.

백일우, 임정준(2013). 여성교육투자에 대한 교육경제학적 탐색. 서울: 집문당..

24.

성기훈(1998). 초등학교 체육교과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체육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스포츠교육학회 세미나 자료집, 19-29..

25.

송천홍(1998).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덧붙여. 체육 교과서의 문제 점과 개선 방향. 한국스포츠교육학회 세미나 자료집, 38-42..

26.

신동희(2000). 양성 (兩性) 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희지, 20(2), 193-199..

27.

안횡균, 이병기, 신승윤, 최의창, 이한조(1996). 현행 체육교과서 내용 및 체제 분석. 서울: 한국체육과학연구원..

28.

양찬호, 박재성, 김유진, 노태희(2014).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 화에 제시된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분석. 대한화학회지, 58(2), 210-220..

29.

오재림(2006). 교육부문에서 성평등에 관한 국내연구의 동향과 과제. 아시아여성연구, 45(1), 235-265..

30.

유영미(2004). 과학교과서에 내재된 성별 지배이데올로기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4(1), 39-67..

31.

유지연, 이지현, 조준모, 노태희(2012).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대한화학회지, 5(4), 509-517..

32.

윤문정, 승윤희(2012). 초등학교 5-6학년 음악 교과서의 삽화 비교 분석: 양성평등교육과 교육적 패러다임 변화의 관점에서. 예술교육연구, 10(1), 31-48..

33.

윤석희(2004). 중학교 사회 교과서 지리 영역의 Gender Bias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8(1), 83-103..

34.

이광성(2010). 양성평등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및 효과 연구. 법교육연구, 5(2), 53-73..

35.

이윤경, 조미혜(2014). 스포츠 양성평등법 제정에 대한 소고. 한국체육학회지, 53(4), 481-494..

36.

이종목, 최흥섭(2009). 즐거운 체육수업을 위한 뉴스포츠 지도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5(3), 23-34..

37.

정현백(2007). 여성사 다시쓰기. 서울: 당대..

38.

정해숙, 정경아(1998). 성인지적 관점에 기초한 제 6차 교육과정 운영 및 교과서분석.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39.

조미혜(1998). 체육 교과서의 개발에 관한 연구. 체육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스포츠교육학회 세미나 자료집, 1-18..

40.

조성식(2003). 성평등을 위한 장(場)으로서의 스포츠변화. 한국체육학회지, 42(4), 247-257..

41.

최영금, 하웅용(2010). 여성의 삶과 사람됨에 대한 편견의 개선과제 : 여학생 야구선수의 시련을 중심으로. 인격교육, 4(2), 111-133..

42.

최영선, 윤인경(2008). 양성평등적 관점에 기초한 실과(기술·가정)교과서의 사진 및 삽화 계 량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1), 85-100..

43.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4.

한국여성개발원(1998). 성인지적 관점에 기초한 제6차 교육과정 운영 및 교과서 분석.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45.

홍상완, 박재우(2008). 양성평등교육 관점에서의 초등학교 체육교과서 삽화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4(1), 125-136..

46.

황미경, 백성수(2008). 여성의 생활체육 참여 실태 분석. 한국운동재활학회지, 4(2), 1-11..

47.

Baumgartner, T. A. & Jackson, A. S. (1999). Measurement for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science(6th ed). Dubuque, LA: WCB/McGraw-Hill Companies..

48.

Cho, M. & Lee, Y.(2015). A Study on Physical Activity of Girls through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in Korea: 1980-2010. 2015 The impact of university sports on the global community, 119..

49.

Scott. K. P. & Schau. C.(1985). Sex equality and sex bias in instructional materials. In S. S. Klein(Eds). Handbook for achieving sex equity through education.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0.

Sadker, D., Sadker, M., Long, L.(1997). Gender and educational equality. In J.A. Bank & C.A. Bank(Eds). Multi 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Needham Heights, MA: A Viacom Company..

51.

Tesch, R. (1990).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types and software tools. Bristol, PA: Falmer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