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of Articles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Vol. 25, No. 2, 2022
        교육과정·교과서      
      
	    
        
	        		        Exploring the Mathematics Structure and Course Pathways in Accordanc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수학 교과목 체계와 이수 경로 탐색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수학 교과목 체계와 이수 경로 탐색
                J. Curric. Eval. 2022;25(2):1-29.
https://doi.org/10.29221/jce.2022.25.2.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2.25.2.1
        
	        		        Exploring the support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high school specialized subject I
고등학교 교육과정 전문교과I 개설 현황 분석을 통한 지원 방안 탐색
		        
	        
	        
	        
      고등학교 교육과정 전문교과I 개설 현황 분석을 통한 지원 방안 탐색
                J. Curric. Eval. 2022;25(2):31-58.
https://doi.org/10.29221/jce.2022.25.2.3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2.25.2.31
        
	        		        An analysis on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framework for educational contents: Focusing on the IB PYP
국제 바칼로레아 교육내용 프레임워크 분석: IB PYP를 중심으로
		        
	        
	        
	        
      국제 바칼로레아 교육내용 프레임워크 분석: IB PYP를 중심으로
                J. Curric. Eval. 2022;25(2):59-87.
https://doi.org/10.29221/jce.2022.25.2.5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2.25.2.59
        
	        		        Analysis of proof content in Korea, Japan, and IB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우리나라, 일본, IB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증명 내용 분석
		        
	        
	        
	        
      우리나라, 일본, IB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증명 내용 분석
                J. Curric. Eval. 2022;25(2):89-117.
https://doi.org/10.29221/jce.2022.25.2.8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2.25.2.89
	        		        Analysis of concept connectivity in stimulus and response unit by Science Curriculum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자극과 반응 단원의 개념 연계성 분석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자극과 반응 단원의 개념 연계성 분석
                J. Curric. Eval. 2022;25(2):119-137.
https://doi.org/10.29221/jce.2022.25.2.11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2.25.2.119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cess-focused assessment policy practice and implementation types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실천 방식과 수행 유형 분석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실천 방식과 수행 유형 분석
                J. Curric. Eval. 2022;25(2):139-166.
https://doi.org/10.29221/jce.2022.25.2.13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2.25.2.139
        교사교육      
      
	    
	        		        Delphi about Exploring Knowledge of Math Teachers for Competency Education
역량 교육을 위한 수학 교사 지식 탐색 델파이 연구
		        
	        
	        
	        
      역량 교육을 위한 수학 교사 지식 탐색 델파이 연구
                J. Curric. Eval. 2022;25(2):167-194.
https://doi.org/10.29221/jce.2022.25.2.16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2.25.2.167
        교육평가      
      
	    
	        		        A study analyzing the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about mathematic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분석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분석
                J. Curric. Eval. 2022;25(2):195-224.
https://doi.org/10.29221/jce.2022.25.2.19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22.25.2.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