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교과서

고등학교 교육과정 전문교과I 개설 현황 분석을 통한 지원 방안 탐색1)

이주연1,*, 이민형2,**
Joo-Youn Lee1,*, Min-Hyoung Lee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한국교육과평가원 부연구위원
2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1Associate Research Fellow,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Associate Research Fellow,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제1저자, youn5504@kice.re.kr
**교신저자, lee327@kice.re.kr

© Copyright 2022,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pr 05, 2022; Revised: Apr 29, 2022; Accepted: May 11, 2022

Published Online: May 31, 2022

요약

본 연구는 특수 목적고와 일반고(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전문교과I의 과목을 어떻게 개설·운영하고 있는지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과목이 내실 있게 개설·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 하에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특수 목적고의 전문교과 I 개설 과목에 대한 나이스(NEIS)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현황은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수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수 목적고는 학교 설립의 목적에 따른 전문교과Ⅰ 과목을 주로 개설하고 있었으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일반고)에서는 모든 계열의 전문교과Ⅰ 과목을 상당수 개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부 전문교과I 과목의 경우 일반고뿐만 아니라 해당 계열의 특수 목적고에서도 개설되지 않은 과목들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일반고)에서는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으로 전문교과I 과목을 개설·운영하는 사례가 확인되었다. 현재 개정 작업이 추진되고 있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교학점제 도입 및 고교 체제 개편 정책에 따라 기존의 특수 목적고 대상 과목인 전문교과I 과목을 일반고 대상의 보통 교과로 이동·편입하는 변화를 시도하게 된다. 본 연구는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앞으로 전문교과I 과목이 보통교과로 통합될 경우 해당 과목의 개설 및 운영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In accordance wit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troduction and high school system reform policy, the current curriculum is being revis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pecialized subject I, which was previously subject to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will be transferred to and incorporated into general subjects for ordinary high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operational support plan of specialized subject I.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NEIS data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ubject I, while conducting a written survey on the opening and operation of specialized subject I for ordinary high school (high school credit research schoo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mainly opened and operated specialized subject I related to the purpose of school establishment. In the case of ordinary high schools, subjects of specialized subject I in all fields were actively opened, and among them, many subjects were found to be science and art. Both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ordinary high schools preferred to open subject I as an in-school curriculum, but it was confirmed that a number of general high schools opened and operated subject I as a joint curriculum between schools.

Keywords: 고등학교 교육과정; 전문교과; 고교학점제
Keywords: High School Credit System; High school curriculum; Specialized subject

1. 서 론

최근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은 새로운 교육 정책의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와 같이 고등학교의 변화를 촉구하는 외부 환경으로서 교육 정책의 변화는 크게 두 가지로 살펴볼 수 있는데, 하나는 일부 특수 목적고를 일반고로 전환하는 정책이며 다른 하나는 고등학교에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는 정책이다.

먼저, 정부는 고교서열화 해소 및 일반고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해 2025년부터 자사고, 외국어고, 국제고를 모두 일반고로 전환하고, 교육과정 다양화 등 일반고의 교육역량을 강화하여 고교학점제와 미래교육의 기반을 마련할 것을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9a: 1). 이렇게 고등학교 유형의 변화가 이루어질 경우, ‘보통교과’와 ‘전문교과’로 구성되어 있는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선택 과목 체제에도 변화가 요구된다. ‘보통교과’는 모든 학생이 이수해야 하는 공통과목과 학생들이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는 일반선택 과목 및 진로선택 과목으로 구성되며(교육부, 2018: 17), 전문교과의 경우 특수 목적 고등학교 대상 과목인 전문교과Ⅰ과 특성화고 대상 과목인 전문교과Ⅱ로 구성된다(교육부, 2018: 17-23). 이 중 전문교과Ⅰ 과목은 특수 목적고가 그 설립 목적에 맞게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할 수 있도록 계열별 이수 과목을 제시한 과목을 지칭하는 용어로서(교육부, 2015: 79), 현재 적용 중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전문교과I은 과학 계열, 체육 계열, 예술 계열, 외국어 계열, 국제 계열, 총 5개 계열의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교육부, 2018: 18). 이러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교과목 체제는 차후 특수 목적고 중에서 외국어고와 국제고가 일반고로 전환되고 3개 계열의 전문 고등학교(과학고, 체육고, 예술고)만 존재하게 된다면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교과목 재구조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편, 고등학교 전문교과Ⅰ은 고등학교 체제의 변화뿐만 아니라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에 따라서도 재구조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정부는 입시·경쟁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성장을 지원하는 맞춤형 교육 실현을 위해 고교교육 전반의 변화를 이끄는 고교학점제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데(교육부, 2019b: 3),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하여 학점을 누적해가는 방식으로 학습하게 된다. 고교학점제에서 ‘학생의 과목 선택’은 학점제 실행을 위한 필수조건이자 전제조건으로서 강조되기 때문에(이광우 외, 2017: 254), 일반고의 경우 보통교과(공통과목, 일반선택 과목, 진로선택 과목)를 중심으로 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나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면 일반고에서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해 특수 목적고의 전문교과Ⅰ 과목을 개설하는 사례들은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고등학교의 전문교과Ⅰ는 외국어고 및 국제고의 일반고 전환에 대응하면서도 고교학점제의 전면 도입에 따라 일반고 학생의 심화학습 요구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변화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2021년 11월 24일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을 통해 전문교과I를 보통교과로 통합하여 재구조화함으로써 일반고 학생들도 진로와 적성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도록 지침을 변경하는 방안을 발표하고(교육부, 2021: 29), 현재 그에 따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이와 같이 전문교과I 과목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교과목 재구조화 계획에 따라 보통교과로 통합되는 변화를 앞두고 있으나, 지금까지 전문교과I에 대한 논의는 정책의 변화나 교사 및 전문가들의 의견에 기초하여 논의되었으며, 실제 전문교과I 과목의 개설·운영 현황을 면밀하게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고교학점제에서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의 선택과목에 대한 논의는 주로 일반선택과 진로선택 과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왔으며(김진숙 외, 2018: 245-246),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과목 체제 개선에 대한 연구에서도 전문교과에 대한 논의를 심도 있게 다루지는 못하였다(이미숙 외, 2019: 103). 최근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시를 앞두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변화 방향을 모색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고등학교 교과목 재구조화의 변화 방향을 다루면서 전문교과I와 관련된 내용을 일부 다루었을 뿐이다(권오현 외, 2020; 홍원표 외, 2021). 한편, 고등학교 선택 과목 재구조화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로는 박순경 외(2011)의 연구를 살펴볼 수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교과별로 선택 과목의 구조를 점검하고 이에 따른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탐색하면서 전문교과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으나, 시기적으로 오래된 연구라는 아쉬움이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등학교의 전문교과I는 고등학교 체제의 개편과 고교학점제의 도입, 그리고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달라져야 하는 큰 변화를 마주하고 있다. 차후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전문교과I 과목이 일반고의 보통 교과에 통합되어 재구조화될 경우, 특수 목적고와 일반고에서는 해당 과목을 개설·운영할 때 여러 가지 혼란과 어려움을 당면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전문교과I 과목 개설·운영 현황 데이터에 근거하여 어떠한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지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 목적고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일반고)의 고등학교 전문교과I 과목 개설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전문교과I의 재구조화에 따른 과목 개설·운영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II. 고등학교 전문교과I의 특징과 변화

1.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전문교과I의 변천 과정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교과목의 체제는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질 때마다 크게 변화되어 왔다. 전문교과Ⅰ의 변천 과정은 학생의 과목 선택을 강조한 7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이전의 교육과정인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 이후의 2009 개정 교육과정,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목 체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학생의 과목 선택을 강조하기 이전인 6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과는 보통교과와 전문교과로 구성되며, 전문교과는 직업계고와 특수 목적고의 과목을 각각 구분하지 않고 전문교과라는 이름 아래 통합하여 제시되었다(교육부, 1992). 6차 교육과정에서는 직업계고 및 특수 목적고에서 전문교과 과목을 82단위 이상 이수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며, 전문교과 과목의 이수 단위는 시·도가 정하되 전문 분야별로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과목이 지정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교육부, 1992).

이후 1997년에 개정된 7차 교육과정은 ‘학생이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강조하며, 초등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 10년 동안의 교육과정을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으로 지칭하고, 고등학교 2~3학년의 2년간 교육과정을 선택 중심 교육과정으로 구분하였다(교육부, 1997).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과는 6차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보통교과와 전문교과로 구분하였고 전문교과의 경우 특수 목적고와 직업계고 대상 과목을 구분하지 않고 함께 제시하였다. 그런데 6차 교육과정에는 없었던 ‘국제에 관한 교과’가 새롭게 추가되어 이전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교육부, 1997). 또한 7차 교육과정의 경우 6차 교육과정과 동일하게 전문교육을 하는 고등학교에서 최소 82단위 이상의 전문교과 과목을 이수하도록 하고 있으며, 학교 특성별로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전문교과 필수 과목도 지정하여 제시하고 있다(교육부, 1997). 아울러, 보통교과는 국민 공통 기본 교과, 일반선택 과목, 심화선택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반고의 선택 과목 중에서 예체능(체육, 미술, 음악) 심화 과목의 경우 전문 교과에서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교육부, 1997).

한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2009년 개정 초반에는 교과를 보통교과와 전문교과로 구분하고 전문교과는 직업계고와 특수 목적고의 과목들로 구성하여 발표하였으나(교육과학기술부, 2009), 2011년 수시 개정을 통해 기존의 고등학교 교과목 체제에 큰 변화를 시도하였다. 곧, 교과를 보통교과와 전문교과로 구분한 다음, 보통교과는 기본 과목과 일반 과목, 심화 과목으로 구성하고, 전문교과는 특수 목적고 대상 과목을 제외한 직업 계열 고등학교의 과목만으로 구성한 것이 그것이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이에 따라 기존의 전문교과 영역에 있던 특수 목적고 대상의 과목들은 보통 교과로 이동하여 심화과목의 형태로 제시되었으며, 일반고에서도 기본 과목과 일반 과목뿐만 아니라 특수 목적고에서 배웠던 심화 과목도 활발히 개설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특수 목적고에서는 보통교과의 심화 과목을 이전보다 2단위 축소된 80단위 이상 편성하도록 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과목 구조에 또다시 큰 변화가 있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수시 개정을 통해 전문교과를 보통교과에 포함시켜 심화 과목으로 제시하였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다시 특수 목적고 대상 과목을 보통교과와 분리하고 전문교과로 이동시켰다. 그러나 이전에는 전문교과라는 명칭 아래 특수 목적고 대상 과목과 직업계고 대상 과목을 서로 구분하지 않고 함께 제시하였던 반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특수 목적고 대상 과목을 ‘전문교과Ⅰ’로 명명하고 특성화고 대상 과목은 ‘전문교과Ⅱ’로 구분하여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수 목적고 대상의 전문교과Ⅰ 과목은 과학 계열(16개), 체육 계열(14개), 예술 계열(49개), 외국어 계열(56개), 국제 계열(11개), 총 5개 계열의 146개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문교과Ⅰ 과목은 주로 각 계열과 관련된 특수 목적고(과학고, 체육고, 예술고, 외국어고, 국제고)에서 72단위 이상 편성하게 된다(교육부, 2020: 26). 아울러 개별 전문교과Ⅰ 과목의 이수 단위는 이전의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시‧도 교육감이 정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처럼 전문교과Ⅰ 과목의 이수 단위를 국가 교육과정에서 결정하지 않고 시·도 교육감이 정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 및 학교의 필요와 요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을 확대함으로써 특수 목적고가 그 설립 취지에 맞는 차별화된 교육과정을 편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논의된다(교육부, 2017: 79).

한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일반고에서도 전문교과Ⅰ 과목 개설을 허용하고 있으나 “필요한 경우”에 한해 개설할 수 있는 과목으로 제한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교육부, 2020: 25). 이렇게 일반고에서 전문교과를 개설할 경우 이를 ‘진로선택’ 과목으로 편성하고 해당 과목의 성격, 목표, 내용 등을 국가 수준의 기준에 맞게 운영하도록 안내하고 있으며, 선택 과목 간 위계가 있는 교과의 경우 전문교과를 개설하기 전에 보통교과의 선택 과목(일반선택 과목, 진로선택 과목)을 먼저 이수하도록 권고하고 있다(교육부, 2017: 102-103).

지금까지 살펴본 전문교과I 과목의 변천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교육과정의 전문교과의 변천
구분 6차 교육과정 (1992) 7차 교육과정 (1997) 2009 개정 교육과정 (2011년 수시 개정) 2015 개정 교육과정 (2015)
특수 목적고 대상 전문교과의 구조와 특징 교과목 구조 및 명칭 • 고등학교 교과목은 보통교과와 전문교과로 구분
• 전문교과에 직업계고와 특수 목적고 과목을 함께 제시
•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기본 구조 유지 •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기본 구조 유지. 단, 특수 목적고의 전문교과를 보통교과로 이동하여 ‘심화 과목’으로 제시
• 전문교과는 직업고 대상 과목으로 한정
•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기본 구조 유지. 단, 보통교과의 ‘심화 과목’을 다시 전문교과로 이동
• 전문교과를 특수 목적고 대상의 ‘전문교과I’과목과 특성화고 대상의 ‘전문교과II’ 과목으로 구분
전문 교과의 계열 구성 • 특수 목적고 대상 전문교과는 총 4개 교과로 구성
- 과학, 체육, 예술, 외국어에 관한 교과
• 특수 목적고 대상 전문교과 총 5개 교과로 수정
- 국제에 관한 교과 추가
• 보통교과의 ‘교과(군)’에 따라 기존의 특수목적고 대상이었던 전문교과 과목을 배치함 • 전문교과I 과목을 총 5개 계열로 구분하여 제시
- 과학 계열
- 체육 계열
- 예술 계열
- 외국어 계열
- 국제 계열
특수 목적고 대상 전문교과 과목의 이수 지침 전문교과 총 이수 단위 특수 목적고 • 전문교과 과목 82단위 이상 • 전문교과 과목 82단위 이상 • 보통교과의 심화 과목 80단위 이상 • 전문교과I 과목을 72단위 이상
일반고 - • 체육, 음악, 미술 교과의 심화선택 과목은 체육, 예술에 관한 전문교과 과목에서 선택 • 보통교과(기본과목, 일반과목, 심화과목) 중심으로 개설 • 필요에 따라 전문교과I 과목 개설 가능
전문교과 과목별 이수 단위 • 과학, 체육, 예술에 관한 과목의 이수단위는 시·도에서 정함.
• 외국어에 관한 교과는 8단위
• 과목의 이수 단위는 시·도에서 정함.
• 외국어와 국제 관한 교과는 8단위 이하로 제한
• 심화 과목의 이수 단위는 시·도 교육감이 정함 • 전문교과I 과목의 이수 단위는 시·도 교육감이 정함
필수 이수 과목 여부 • 계열별 필수 이수 과목 제시 • 계열별 필수 이수 과목 제시 • 필수 과목 지침 생략 • 필수 과목 지침 생략
Download Excel Table
2.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전문교과I의 변화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고교학점제라는 변화의 목전에 서 있는 상황이다. 고교학점제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2017년부터 시작되어 2018년부터 고교학점제 연구학교가 운영되기 시작하였으며, 2022년 단계적 이행의 시기를 거쳐 2025년에는 전면적으로 모든 고등학교에 적용될 예정이다(교육부, 2021: 3).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기초 소양과 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진로·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취득·누적하여 졸업하는 제도로서(교육부, 2021: 9), 이러한 고교학점제가 취지에 따라 운영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보장해주는 일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고의 경우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보통교과의 과목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경우 선택 과목을 확대·개설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실제로 전문교과I 과목을 개설하는 사례가 상당수 증가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전국단위의 고등학교 교사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인 일반고에서 전문교과I 과목을 편성하였다는 응답(92.7%)이 연구학교가 아닌 일반고의 응답(72.3%)보다 높았으며(이주연 외, 2020: 160), 일반고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평균 11.1개 과목)가 연구학교가 아닌 학교보다(평균 5.2개 과목) 더욱 많은 전문교과I 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이미숙 외, 2019: 27). 특히, 전문교과I 과목을 일반고에서 개설할 때 여러 학교에서 공동으로 개설하여 운영하는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하는 사례도 많았는데,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되는 과목에서 전문교과I 과목(61.4%)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에서도 전문교과I 과목(43.9%)이 가장 많이 개설되고 있었다(이주연 외, 2021: 132). 이와 같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전문교과I 과목 개설·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앞으로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도입될 경우 일반고에서 과목 선택권을 확대할 때 전문교과I 과목을 활발하게 활용할 가능성을 말해준다.

한편, 고교학점제 도입과 관련하여 교육부의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 사항(시안)(2021. 11 .24)’을 살펴보면, 고교학점제의 전면 도입 등을 고려하여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과목의 구조에 변화를 시도하고 있어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곧, 개정되는 교육과정에서는 다음의 [그림 1]과 같이 특수 목적고 대상의 전문교과I를 보통 교과로 편입·통합하고 융합 선택 과목을 신설하는 방식으로 고등학교 교과목을 재구조화함으로써, 일반고의 학생들도 진로·적성에 따라 기존의 전문교과I 과목을 선택 가능하도록 하였다(교육부, 2021: 28-29).

jce-25-2-31-g1
그림 1.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변화 ※ 출처: 교육부(2017: 62; 2021: 29)
Download Original Figure

이와 같이 고등학교 교과목 구조에 변화가 있을 경우, 특수 목적고 및 일반고에서 기존의 전문교과I 과목을 내실 있게 개설·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전문교과I 과목의 개설·운영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로부터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이 요구된다.

III.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고교 체제의 변화와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전문교과Ⅰ 과목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특수 목적고와 일반고의 전문교과Ⅰ 과목 개설 현황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 연구는 전문교과I의 과목이 특수 목적고뿐만 아니라 일반고에서도 개설 가능하다는 점과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 일반고에서 전문교과I 과목을 확대 개설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고려하여, 특수 목적고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일반고)의 전문교과I 과목의 개설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문교과I 과목의 개설 현황을 가장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은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이하 ‘나이스 시스템’ 또는 ‘나이스’로 지칭)의 학생들의 과목 이수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수 목적고의 전문교과I 과목 개설 현황을 더욱 명확하게 살펴보기 위해, 17개 시·도 교육청의 전국 특수 목적고를 대상으로 2020년 특수 목적고 졸업생의 나이스 테이터를 수합하여 전수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합한 데이터는 다음의 <표 2>와 같이 과학고 20개교, 체육고 16개교, 예술고 27개교, 외국어고 31개교, 국제고 6개교의 총 100개교의 전문교과I 과목의 개설 과목 자료였다.

표 2. 특수 목적고의 분석 대상 학교(2020년 특수 목적고 졸업생의 나이스 데이터 분석)
학교 구분 분석 대상 학교 수
과학고등학교 20개교
체육고등학교 16개교
예술고등학교 27개교
외국어고등학교 31개교
국제고등학교 6개교
합계 100개교
Download Excel Table

한편, 본 연구는 특수 목적고뿐만 아니라 고교학점제를 운영하고 있는 일반고의 전문교과I 과목의 개설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가 2018년부터 일부 소수 학교(26개교)에 한해 지정·운영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앞서 특수 목적고와 마찬가지로 2020년 졸업생(2018년 입학생)의 나이스 데이터로 분석할 경우 고교학점제 운영에 따른 최근의 전문교과I 과목 개설의 변화를 양적 데이터로 살펴보는 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20년 기준으로 전국에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로 지정·운영되고 있는 90개교를 대상으로 전문교과I 과목 개설에 대한 서면 형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설문조사에 참여한 일반고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표 3.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일반고)의 설문조사 참여 학교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연차 학교 수 참여 학교 수 응답률(%)
1년차 (2020년 지정) 31개교 19개교 61.3%
2년차 (2019년 지정) 33개교 29개교 87.9%
3년차 (2018년 지정) 26개교 18개교 69.2%
합계 90개교 66개교 73.3%
Download Excel Table

2020년 기준으로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운영한 일반고 90개교 가운데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3년차 학교 18개교, 2년차 학교 29개교, 1년차 학교 19개교, 총 66개교가 설문조사에 참여하여 73.3%의 응답률을 보였다.

2. 조사 및 분석 방법

본 연구는 특수 목적고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일반고)의 전문교과I 과목 개설·운영 실태를 각각 나이스 시스템의 데이터 분석과 서면 형식의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조사하였다. 이는 앞서 진술하였듯이 특수 목적고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일반고)에서의 전문교과I 운영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적용한 것이다.

먼저 특수 목적고의 경우 2020년 12월에서부터 2021년 1월까지 17개 시·도 교육청에 요청하여 소속 지역 특목고의 2020년 졸업생(2018년 입학생)의 전문교과Ⅰ개설 과목의 나이스 데이터를 수합하였다. 또한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일반고)의 경우 2020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로 지정된 90개교의 고교학점제 업무 또는 교육과정 업무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2021년 1~2월에 서술형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응답에 대한 증빙 자료로서 학교 교육과정 편제표도 함께 제출하도록 하였다.

이때 전문교과Ⅰ 과목명, 개설 년도·학기, 이수 단위 수, 개설 학급 수, 수강 학생 수, 공동교육과정으로의 개설 여부 등을 중심으로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후 특수 목적고의 나이스 데이터는 수합하여 정련하고,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일반고)의 서면조사 결과는 분석이 가능하도록 모두 코딩하였다. 이 두 범주의 데이터는 분석 항목의 특성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 등의 통계 분석을 거쳤으며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특징과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IV. 연구 결과

연구 결과는 특수 목적고의 전문교과I 과목의 개설 현황과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일반고)의 개설 현황을 나누어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특수 목적고의 전문교과Ⅰ 과목 개설 현황
가. 특수 목적고의 전문교과I 계열별 과목 개설 현황

특수 목적고의 전문교과Ⅰ 과목 개설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전문교과Ⅰ 계열별로 해당 계열의 과목을 개설한 학교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4>와 같다.

표 4. 전문교과Ⅰ 계열별 과목 개설 학교 현황 단위: 개교(%)
전문교과Ⅰ 계열 특수 목적 고등학교
과학고(N=20) 체육고(N=16) 예술고(N=27) 외국어고(N=31) 국제고(N=6)
과학 계열 20(100.0) - - - -
체육 계열 - 16(100.0) - - -
예술 계열 - - 27(100.0) - -
외국어 계열 4( 20.0) - - 31(100.0) 6(100.0)
국제 계열 - - 1( 3.7) 3( 9.7) 6(100.0)
Download Excel Table

<표 4>는 해당 계열의 과목을 1개 과목이라도 개설한 특수 목적 고등학교를 제시한 것이다. 전문교과Ⅰ 계열별로 과목 개설 학교 현황을 살펴보았을 때, 특수 목적고는 학교의 고유한 설립 목적과 연관된 전문교과Ⅰ 과목을 주로 개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곧 과학 계열 과목은 과학고에서, 체육 계열 과목은 체육고에서, 예술 계열 과목은 예술고에서 개설하고 있었으며, 해당 계열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특수 목적고에서는 이러한 과목을 개설한 학교 사례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교과I 과목 중 외국어 계열의 과목은 모든 외국어고와 국제고에서 개설하는 동시에 과학고의 20%(4개교)에서도 개설되고 있었으며, 국제 계열 과목의 경우 모든 국제고에서 개설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3개(9.7%)의 외국어고와 1개(3.7%)의 예술고에서도 개설되고 있었다.

한편, 앞서 분석한 것이 하나의 전문교과I 과목이라고 개설한 특수 목적고의 학교수를 분석한 것이라면, 개별 학교에서 각 계열의 과목을 평균 몇 개 정도 개설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수 목적고를 대상으로 각 학교에서 전문교과Ⅰ 계열별로 개설된 평균 과목 수 분석은 <표 5>와 같다.

표 5. 특수 목적고의 전문교과Ⅰ 계열별 평균 개설 과목 수 단위: 1개 학교당 평균 개설 과목 수(표준편차)
전문교과Ⅰ 계열 (조사 대상 학교의 총 개설 과목 수) 특수 목적고의 전문교과Ⅰ 개열별 평균 개설 과목 수
과학고(N=20) 체육고(N=16) 예술고(N=27) 외국어고(N=31) 국제고(N=6)
과학 계열 과목(421개) 21.1(4.39) - - - -
체육 계열 과목(1,439개) - 89.9(71.34) - - -
예술 계열 과목(4,629개) - - 171.4(90.99) - -
외국어 계열 과목(1,563개) 0.4(0.82) - - 47.7(20.72) 12.5( 5.58)
국제 계열 과목(177개) - - 0.1( 0.38) 0.4( 1.59) 27.0(18.67)
Download Excel Table

특수 목적고의 전문교과Ⅰ의 계열별 평균 개설 과목 수를 분석한 결과, 과학고에서는 1개 학교 당 평균 21.1개의 과학 계열 과목을 개설하고 있었던 반면, 체육고의 경우 학교 당 평균 체육 계열 과목을 89.9개, 예술고의 경우 예술 계열 과목을 평균 171.4개 개설한 것으로 나타나 세부 전공별로 과목을 세분화하여 많이 개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술 계열과 체육 계열은 피아노, 국악, 조소, 육상 등 각 계열 안 세부 전공이 확립되어 있어, 각 학교가 세부 전공 학습자들의 요구에 발맞추어 과목 개설을 확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외국어고의 경우 평균 47.7개의 외국어 계열 과목과 0.4개의 국제 계열 과목을 개설하고 있었으며, 국제고의 경우 평균 27.0개의 국제 계열 과목과 12.5개의 외국어 계열 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전문교과Ⅰ 계열별 과목의 이수 단위

국가 교육과정에서 선택 과목의 기본 단위 수는 5단위이며 과목의 성격에 따라 2 또는 3단위 정도를 증감하여 편성·운영할 수 있는데 반해, 전문교과의 경우에는 시·도 교육감이 이수 단위를 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특수 목적고의 전문교과I의 이수 단위는 지역 및 학교에 따라 다양한 편차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분석 결과는 다음의 <표 6>과 같다.

표 6. 전문교과Ⅰ 개설별 과목의 이수 단위 단위: 과목 수(%)
전문 교과Ⅰ 계열 학교 구분 해당 계열 과목의 이수 단위 총 개설 과목 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8 합계
과학 계열 과학고 (N=20) - 48 (11.4) 144 (34.2) 147 (34.9) 9 (2.1) 42 (10.0) 26 (6.2) 5 (1.2) - - - - - - - - 421 (100.0)
체육 계열 체육고 (N=16) 13 (0.9) 65 (4.5) 5 (0.3) 91 (6.3) - 12 (0.8) 168 (11.7) - - - - 67 (4.7) 8 (0.6) 759 (52.7) 251 (17.4) 1,439 (100.0)
예술 계열 예술고 (N=27) 203 (4.4) 832 (18.0) 603 (13.0) 813 (17.6) 426 (9.2) 720 (15.6) 386 (8.3) 304 (6.6) 80 (1.7) 119 (2.6) 40 (0.9) 66 (1.4) 13 (0.3) 8 (0.2) 10 (0.2) 6 (0.1) 4,629 (100.0)
외국어 계열 외국어고 (N=31) 3 (0.2) 76 (5.1) 264 (17.8) 606 (40.9) 162 (10.9) 135 (9.1) 94 (6.4) 140 (9.5) - - - - - - - - 1,480 (100.0)
국제고 (N=6) - 18 (24.0) 28 (37.3) 11 (14.7) 12 (16.0) 4 (5.3) 2 (2.7) - - - - - - - - - 75 (100.0)
과학고 (N=4) - 1 (12.5) 4 (50.0) 3 (37.5) - - - - - - - - - - - - 8 (100.0)
국제 계열 국제고 (N=6) - 28 (17.3) 34 (21.0) 96 (59.3) 4 (2.5) - - - - - - - - - - - 162 (100.0)
예술고 (N=1) - - 2 (100.0) - - - - - - - - - - - - - 2 (100.0)
외국어고 (N=3) - 13 (100.0) - - - - - - - - - - - - - - 13 (100.0)
Download Excel Table

계열별 과목들의 이수 단위 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문교과I의 계열에 따라 이수 단위에 큰 편차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과학 계열 과목의 경우, 과학고에서 총 개설된 과학 계열 과목들은 4단위(34.9%)와 3단위(34.2%)로 개설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계열 과목과 예체능 계열 과목의 이수 단위를 분석한 결과, 이를 중점적으로 가르치는 체육고와 예술고에서는 1단위부터 18단위까지 이수 단위의 범위가 광범위하게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체육고에서는 52.7%의 과목이 15단위로 설정되어 있어 다른 계열 과목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이수 단위로 편성하고 있었다. 또한 예술고에서 개설한 예술 관련 전문교과Ⅰ 과목의 이수 단위는 1단위부터 18단위까지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단위로 이수 단위를 책정한 학교가 17.6%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15.6%를 차지한 6단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어 계열 과목의 경우는 외국어고가 해당 계열 과목을 1~7단위까지 개설하고 있었는데, 이때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4단위(40.9%)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어고 다음으로 외국어 계열 과목을 많이 개설하는 국제고에서는 37.3%의 과목이 3단위로 이수 단위를 설정하고 있었다. 국제 계열 과목의 경우, 국제고는 59.3%의 과목을 4단위로 개설하고 있었으며 예술고는 2개의 과목을 모두 3단위, 외국어고는 13개의 과목을 모두 2단위로 개설하고 있었다.

다. 전문교과Ⅰ 계열별 과목 개설 현황 분석 결과

앞서 전문교과Ⅰ의 계열별 과목 개설 현황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면, 구체적으로 개별 과목의 개설 현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전문교과Ⅰ의 계열별로 각각의 과목들의 개설 실태를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과학 계열 전문교과Ⅰ의 과목별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7>과 같다.

표 7. 과학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별 개설 현황* 단위: 개교(%)
No. 과학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해당 과목 개설 학교
과학고(N=20) 체육고(-) 예술고(-) 외국어고(-) 국제고(-)
1 심화 수학I 9 ( 45.0) - - - -
2 심화 수학Ⅱ 18 ( 90.0) - - - -
3 고급 수학I 16 ( 80.0) - - - -
4 고급 수학Ⅱ 14 ( 70.0) - - - -
5 고급 물리학 19 ( 95.0) - - - -
6 고급 화학 20 (100.0) - - - -
7 고급 생명과학 20 (100.0) - - - -
8 고급 지구과학 20 (100.0) - - - -
9 물리학 실험 16 ( 80.0) - - - -
10 화학 실험 15 ( 75.0) - - - -
11 생명과학 실험 17 ( 85.0) - - - -
12 지구과학 실험 15 ( 75.0) - - - -
13 정보과학 9 ( 45.0) - - - -
14 융합과학 탐구 3 ( 15.0) - - - -
15 과학과제 연구 4 ( 20.0) - - - -
16 생태와 환경 1 ( 5.0) - - - -

* 개설 현황의 경우 동일한 과목이 한 학교에서 두 학기 이상 개설된 경우에도 한 번으로 보았음.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에 따르면, 과학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중 ‘고급 화학’, ‘고급 생명과학’, ‘고급 지구과학’의 경우 모든 과학고에서 개설하고 있었으며, ‘과학과제 연구’, ‘융합과학 탐구’, ‘생태와 환경’과 같은 과목은 가장 낮은 개설률을 보였다. ‘생태와 환경’ 같은 경우 과학고 중 1곳만 개설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낮은 개설률을 보이는 개설과목은 특정 과목 연계가 아닌 융합형 과목이라는 특징이 있다.

둘째, 체육 계열 전문교과Ⅰ의 세부 과목별로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8>과 같다.

표 8. 체육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별 개설 현황* 단위: 개교(%)
No. 체육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해당 과목 개설 학교
과학고(-) 체육고(N=12) 예술고(-) 외국어고(-) 국제고(-)
1 스포츠 개론 - 2(16.7) - - -
2 체육과 진로 탐구 - 4(33.3) - - -
3 체육 지도법 - - - - -
4 육상 운동 - 5(41.7) - - -
5 체조 운동 - 5(41.7) - - -
6 수상 운동 - 6(50.0) - - -
7 개인・대인운동 - 4(33.3) - - -
8 단체 운동 - 2(16.7) - - -
9 체육 전공 실기 기초 - 6(50.0) - - -
10 체육 전공 실기 심화 - 5(41.7) - - -
11 체육 전공 실기 응용 - 6(50.0) - - -
12 스포츠 경기 체력 - - - - -
13 스포츠 경기 실습 - - - - -
14 스포츠 경기 분석 - - - - -

* 개설 현황의 경우 동일한 과목이 한 학교에서 두 학기 이상 개설된 경우에도 한 번으로 보았음.

Download Excel Table

체육 계열 전문교과Ⅰ의 과목별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 12개교의 체육고 중 가장 많이 채택한 과목은 ‘체육 전공 실기 기초’와 ‘응용’, 그리고 ‘수상 운동’으로서, 절반인 6개교가 채택하여 개설하고 있었다. 또한 체육고 중 한 학교에서도 개설하지 않은 과목도 있었는데 ‘스포츠 경기 체력’, ‘실습’, ‘분석’의 3개 과목이다.

셋째, 전문교과Ⅰ 중 예술 계열의 세부 과목별로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9>와 같다.

표 9. 예술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별 개설 현황* 단위: 개교(%)
No. 예술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해당 과목 개설 학교
과학고(-) 체육고(-) 예술고(N=27) 외국어고(-) 국제고(-)
1 음악 이론 - - 20 (74.1) - -
2 음악사 - - 16 (59.3) - -
3 시창·청음 - - 25 (92.6) - -
4 음악 전공 실기 - - 10 (37.0) - -
5 합창 - - 15 (55.6) - -
6 합주 - - 17 (63.0) - -
7 공연 실습 - - 25 (92.6) - -
8 미술 이론 - - 12 (44.4) - -
9 미술사 - - 11 (40.7) - -
10 드로잉 - - 23 (85.2) - -
11 평면 조형 - - 13 (48.1) - -
12 입체 조형 - - 9 (33.3) - -
13 매체 미술 - - 9 (33.3) - -
14 미술 전공 실기 - - 14 (51.9) - -
15 무용의 이해 - - 16 (59.3) - -
16 무용과 몸 - - 2 ( 7.4) - -
17 무용 기초 실기 - - 10 (37.0) - -
18 무용 전공 실기 - - 9 (33.3) - -
19 무용 음악 실습 - - 7 (25.9) - -
20 안무 - - 18 (66.7) - -
21 무용과 매체 - - - - -
22 무용 감상과 비평 - - 8 (29.6) - -
23 문예 창작 입문 - - 1 ( 3.7) - -
24 문학 개론 - - 2 ( 7.4) - -
25 문장론 - - 1 ( 3.7) - -
26 문학과 매체 - - 2 ( 7.4) - -
27 고전문학 감상 - - 2 ( 7.4) - -
28 현대문학 감상 - - 2 ( 7.4) - -
29 시 창작 - - 2 ( 7.4) - -
30 소설 창작 - - 2 ( 7.4) - -
31 극 창작 - - 1 ( 3.7) - -
32 연극의 이해 - - 8 (29.6) - -
33 연기 - - 9 (33.3) - -
34 무대기술 - - 6 (22.2) - -
35 연극 제작 실습 - - 7 (25.9) - -
36 연극 감상과 비평 - - 5 (18.5) - -
37 영화의 이해 - - 4 (14.8) - -
38 영화기술 - - 4 (14.8) - -
39 시나리오 - - 2 ( 7.4) - -
40 영화 제작 실습 - - 3 (11.1) - -
41 영화 감상과 비평 - - 4 (14.8) - -
42 사진의 이해 - - 2 ( 7.4) - -
43 기초 촬영 - - 2 ( 7.4) - -
44 암실 실기 - - - - -
45 중급 촬영 - - 1 ( 3.7) - -
46 사진 표현 기법 - - 1 ( 3.7) - -
47 영상 제작의 이해 - - 3 (11.1) - -
48 사진 영상 편집 - - - - -
49 사진 감상과 비평 - - - - -

* 개설 현황의 경우 동일한 과목이 한 학교에서 두 학기 이상 개설된 경우에도 한 번으로 보았음.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를 볼 때, 예술고등학교에서 가장 많이 개설한 과목은 ‘공연 실습’으로 25개 학교(92.6%)가 개설하였던 반면, ‘무용과 매체’, ‘암실 실기’, ‘사진 영상 편집’, ‘사진 감상과 비평’은 개설한 학교가 없어 차이를 보였다.

넷째, 외국어 계열 전문교과Ⅰ의 세부 과목별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10>과 같다.

표 10. 외국어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별 개설 현황 단위: 개교(%)
No. 외국어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해당 과목 개설 학교
과학고(N=4) 체육고(-) 예술고(-) 외국어고(N=31) 국제고(N=6)
1 심화 영어 회화Ⅰ 1(25.0) - - 26 (83.9) -
2 심화 영어 회화Ⅱ - - - 27 (87.1) -
3 심화 영어Ⅰ 2(50.0) - - 29 (93.5) 4(66.7)
4 심화 영어Ⅱ 1(25.0) - - 20 (64.5) 5(83.3)
5 심화 영어 독해Ⅰ 2(50.0) - - 29 (93.5) 4(66.7)
6 심화 영어 독해Ⅱ - - - 27 (87.1) 2(33.3)
7 심화 영어 작문Ⅰ - - - 25 (80.6) 3(50.0)
8 심화 영어 작문Ⅱ - - - 12 (38.7) 1(16.7)
9 전공 기초 독일어 - - - 13 (41.9) -
10 독일어 회화Ⅰ - - - 13 (41.9) -
11 독일어 회화Ⅱ - - - 13 (41.9) -
12 독일어 독해와 작문Ⅰ - - - 12 (38.7) -
13 독일어 독해와 작문Ⅱ - - - 12 (38.7) -
14 독일어권 문화 - - - 13 (41.9) -
15 전공 기초 프랑스어 - - - 13 (41.9) -
16 프랑스어 회화Ⅰ - - - 14 (45.2) 1(16.7)
17 프랑스어 회화Ⅱ - - - 14 (45.2) 1(16.7)
18 프랑스어 독해와 작문Ⅰ - - - 14 (45.2) -
19 프랑스어 독해와 작문Ⅱ - - - 14 (45.2) -
20 프랑스어권 문화 - - - 13 (41.9) -
21 전공 기초 스페인어 - - - 8 (25.8) 1(16.7)
22 스페인어 회화Ⅰ - - - 9 (29.0) 2(33.3)
23 스페인어 회화Ⅱ - - - 10 (32.3) 3(50.0)
24 스페인어 독해와 작문Ⅰ - - - 11 (35.5) -
25 스페인어 독해와 작문Ⅱ - - - 11 (35.5) 1(16.7)
26 스페인어권 문화 - - - 10 (32.3) 2(33.3)
27 전공 기초 중국어 - - - 26 (83.9) 1(16.7)
28 중국어 회화Ⅰ - - - 28 (90.3) 3(50.0)
29 중국어 회화Ⅱ - - - 31 (100.0) 3(50.0)
30 중국어 독해와 작문Ⅰ - - - 30 (96.8) -
31 중국어 독해와 작문Ⅱ - - - 28 (90.3) 1(16.7)
32 중국 문화 - - - 29 (93.5) 1(16.7)
33 전공 기초 일본어 - - - 24 (77.4) 1(16.7)
34 일본어 회화Ⅰ - - - 26 (83.9) 1(16.7)
35 일본어 회화Ⅱ - - - 29 (93.5) 1(16.7)
36 일본어 독해와 작문Ⅰ - - - 28 (90.3) -
37 일본어 독해와 작문Ⅱ - - - 26 (83.9) -
38 일본 문화 - - - 27 (87.1) 1(16.7)
39 전공 기초 러시아어 - - - 6 (19.4) -
40 러시아어 회화Ⅰ - - - 6 (19.4) -
41 러시아어 회화Ⅱ - - - 5 (16.1) -
42 러시아어 독해와 작문Ⅰ - - - 6 (19.4) -
43 러시아어 독해와 작문Ⅱ - - - 6 (19.4) -
44 러시아 문화 - - - 6 (19.4) -
45 전공 기초 아랍어 - - - 1 ( 3.2) -
46 아랍어 회화Ⅰ - - - 1 ( 3.2) -
47 아랍어 회화Ⅱ - - - 1 ( 3.2) -
48 아랍어 독해와 작문Ⅰ - - - 1 ( 3.2) -
49 아랍어 독해와 작문Ⅱ - - - 1 ( 3.2) -
50 아랍 문화 - - - - -
51 전공 기초 베트남어 - - - 1 ( 3.2) -
52 베트남어 회화Ⅰ - - - 1 ( 3.2) -
53 베트남어 회화Ⅱ - - - 1 ( 3.2) -
54 베트남어 독해와 작문Ⅰ - - - 1 ( 3.2) -
55 베트남어 독해와 작문Ⅱ - - - 1 ( 3.2) -
56 베트남 문화 - - - 1 ( 3.2) -

* 개설 현황의 경우 동일한 과목이 한 학교에서 두 학기 이상 개설된 경우에도 한 번으로 보았음

Download Excel Table

외국어 계열 전문교과Ⅰ의 세부 과목별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심화 영어Ⅰ’(93.5%), ‘심화 영어 독해 Ⅰ’(93.5%) 등 전반적으로 영어 관련 전문교과Ⅰ 과목이 가장 많이 개설되어 있었으며, ‘중국어 회화Ⅱ’(100.0%)와 ‘중국어 독해와 작문Ⅰ’(96.8%)도 많이 개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문교과Ⅰ의 국제 계열 과목별로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11>과 같다.

표 11. 국제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별 개설 현황* 단위: 개교(%)
No. 국제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해당 과목 개설 학교
과학고(-) 체육고(-) 예술고(N=1) 외국어고(N=4) 국제고(N=6)
1 국제 정치 - - - 1(25.0) 5(83.3)
2 국제 경제 - - - 3(75.0) 4(66.7)
3 국제법 - - - 1(25.0) 5(83.3)
4 지역 이해 - - - 1(25.0) 3(50.0)
5 한국 사회의 이해 - - - 1(25.0) 3(50.0)
6 비교 문화 - - - 2(50.0) 2(33.3)
7 세계 문제와 미래 사회 - - - 1(25.0) 6(100.0)
8 국제 관계와 국제기구 - - - 2(50.0) 1(16.7)
9 현대 세계의 변화 - - 1(100.0) 2(50.0) 2(33.3)
10 사회 탐구 방법 - - - 2(50.0) 2(33.3)
11 사회과제 연구 - - - 1(25.0) 2(33.3)

* 개설 현황의 경우 동일한 과목이 한 학교에서 두 학기 이상 개설된 경우에도 한 번으로 보았음.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의 분석 결과를 보면, 국제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은 대체로 국제고와 외국어고에 개설되어 있었다. 특히 ‘세계문제와 미래 사회’는 모든 국제고가 개설하고 있어 가장 개설률이 높은 과목이었다.

2.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전문교과Ⅰ 과목 개설 현황 분석 결과
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전문교과Ⅰ과목 개설 현황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전문교과Ⅰ 개설 과목 수를 연구학교 운영 연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12>와 같다.

표 12.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전문교과Ⅰ 개설 과목 수
고교학점제 연구 학교 운영 연차 (연구학교 시작 년도) 전문교과Ⅰ 과목 개설 여부 전문교과Ⅰ 과목 평균 개설 과목 수
개설한 학교(A) 미개설한 학교 합계 총 개설 과목 수(B) 1개 학교당 평균 전문교과Ⅰ 개설 과목 수(B/A) 표준 편차 최댓값 최솟값
1년차(2020) 18(94.7) 1( 5.3) 19(100.0) 313( 37.4) 17.39 8.72 34 1
2년차(2019) 28(96.6) 1( 3.4) 29(100.0) 350( 41.9) 12.50 5.65 25 1
3년차(2018) 16(88.9) 2(11.1) 18(100.0) 173( 20.7) 10.81 5.09 20 3
합계 62(93.9) 4( 6.1) 66(100.0) 836(100.0) 13.48 6.96 34 1
Download Excel Table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일반고)의 경우 대부분(93.9%)의 고등학교에서 전문교과I의 과목을 개설하고 있었으며, 1개 학교 당 평균적으로 13.48개의 전문교과I 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고교학점제 운영 연차에 따라 전문교과Ⅰ 과목의 개설 비율과 개설 과목 수의 차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3년차 연구학교의 88.9%에서 전문교과Ⅰ 과목을 개설한 반면, 1년차 학교의 94.7%, 2년차 연구학교의 96.6%의 학교에서 전문교과Ⅰ 과목을 개설한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위의 표에 제시된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전문교과Ⅰ 개설 과목 수를 분석한 결과, 무엇보다 1개 학교당 평균 전문교과 개설 과목 수가 연차별로 달랐는데, 17.39개(1년차), 12.50개(2년차), 10.81개(3년차)로 나타나 고교학점제를 오래 운영한 연구학교일수록 전문교과Ⅰ의 개설 과목 수가 줄어드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운영 연차별로 보면 전문교과Ⅰ의 개설 비율과 개설 과목 수에서 3년차 학교가 모두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이유로 추측해 볼 수 있는 것은, 연구학교 운영을 개시한 지 얼마 안 되는 신규 연구학교인 경우,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전문교과Ⅰ 과목 개설을 확대하는 반면, 운영 연차가 더 오래된 학교인 경우, 그간 축적된 학생의 과목 선택 정보와 경향에 맞춰 더 전문교과Ⅰ 개설을 초점화하는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고교학점제에서는 선택 과목을 확대·개설해야 하는데, 단위학교에서 학생이 요구하는 모든 과목을 개설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많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는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으로 선택 과목을 개설하고 여러 학교의 학생들이 함께 이를 수강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는데, 이러한 공동교육과정은 대면 수업 중심의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과 쌍방향 소통의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도 운영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일반고인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전문교과Ⅰ 과목을 어떠한 방식으로 개설하는지 운영 연차별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표 13>).

표 13.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전문교과Ⅰ 과목의 개설 유형 단위: 개(%)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연차 전문교과Ⅰ 과목 개설 학교 수 개설한 전문 교과Ⅰ 총 과목 수 전문교과Ⅰ 과목의 개설 방식
본교 정규 교육과정으로 개설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 무응답 합계
1년차 18개교 313( 37.4) 259(82.7) 37(11.8) 17(5.4) 0(0.0) 313(100.0)
2년차 28개교 350( 41.9) 244(69.7) 81(23.1) 19(5.4) 6(1.7) 350(100.0)
3년차 16개교 173( 20.7) 131(75.7) 30(17.3) 7(4.0) 5(2.9) 173(100.0)
합계 62개교 836(100.0) 634(75.8) 148(17.7) 43(5.1) 11(1.3) 836(100.0)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고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는 특수 목적고 대상 과목인 전문교과I 과목을 본교의 정규 교육과정으로 개설하는 사례가 가장 많았으며(75.8%), 일부 연구학교에서는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17.7%)과 온라인 공동교육과정(5.1%)으로 전문교과I 과목을 개설·운영하고 이었다. 고교학점제 운영 연차별로 살펴보면, 연차 모두 82.7%(1년차), 69.7%(2년차), 75.7%(3년차)로 본교 정규 교육과정으로 개설하는 비율이 높은 가운데,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전문교과Ⅰ 과목을 개설하는 비율은 11.8%(1년차), 23.1%(2년차), 17.3%(3년차)로 2년차 학교가 가장 높았던 반면,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의 경우 1, 2년차 연구학교가 5.4% 개설 비율을 보였으며 3년차 학교는 이보다 약간 낮은 4.0%의 개설 비율을 보였다.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어떠한 계열의 전문교과Ⅰ 과목을 많이 개설하는지 전문교과I 계열별 과목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14>와 같다.

표 14.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계열별 전문교과Ⅰ 과목 개설 실태
계열별 전문교과Ⅰ 과목 계열 해당 계열의 전문교과Ⅰ 과목 개설 여부 전문교과Ⅰ 과목 평균 개설 과목 수
개설한 학교(A) 미개설한 학교 합계 총 개설 과목 수(B) 평균 전문교과Ⅰ 개설 과목 수 (B/A) 표준편차 최댓값 최소값
과학 계열 56(84.8) 10(15.2) 66(100.0) 271 4.84 3.04 11 1
체육 계열 36(54.5) 30(45.5) 66(100.0) 94 2.61 2.18 11 1
예술 계열 53(80.3) 13(19.7) 66(100.0) 208 3.92 3.06 15 1
외국어 계열 55(83.3) 11(16.7) 66(100.0) 146 2.65 1.67 8 1
국제 계열 48(72.7) 18(27.3) 66(100.0) 117 2.44 1.35 6 1
합계 62(93.9) 4( 6.1) 66(100.0) 836 13.48 6.96 34 1
Download Excel Table

위의 분석 결과를 살펴볼 때, 일반고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가 가장 많이 개설한 전문교과I 과목은 과학 계열의 과목으로서 연구학교의 84.8%가 개설하고 있었으며, 그다음으로 외국어 계열(83.3%), 예술 계열(80.3%) , 국제 계열(72.7%) , 체육 계열(54.5%) 과목 순으로 많이 개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전문교과Ⅰ 계열별 과목 개설 현황

일반고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어떠한 전문교과I 과목을 개설하는지 구체적인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계열별 전문교과I 과목별로 개설 현황을 분석하였다. 첫째,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개설한 과학 계열 전문교과Ⅰ 교과목의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15>와 같다.

표 15.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과학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개설 실태(개설 비율 순) 단위: 개교(%)
개설비율 순위 과학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해당 과목 개설 학교 전문교과Ⅰ 과목의 개설 방식
개설 미개설 합계 본교 정규 교육과정으로 개설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 무응답 합계
1 심화 수학I 38(57.6) 28(42.4) 66(100.0) 36( 94.7) 0( 0.0) 1( 2.6) 1(2.6) 38(100.0)
2 과학과제 연구 30(45.5) 36(54.5) 66(100.0) 26( 86.7) 3(10.0) 0( 0.0) 1(3.3) 30(100.0)
3 생명과학 실험 23(34.8) 43(65.2) 66(100.0) 14( 60.9) 7(30.4) 0( 0.0) 2(8.7) 23(100.0)
3 정보과학 23(34.8) 43(65.2) 66(100.0) 19( 82.6) 2( 8.7) 1( 4.3) 1(4.3) 23(100.0)
5 화학 실험 22(33.3) 44(66.7) 66(100.0) 13( 59.1) 8(36.4) 0( 0.0) 1(4.5) 22(100.0)
6 생태와 환경 19(28.8) 47(71.2) 66(100.0) 17( 89.5) 1( 5.3) 1( 5.3) 0(0.0) 19(100.0)
7 물리학 실험 18(27.3) 48(72.7) 66(100.0) 11( 61.1) 7(38.9) 0( 0.0) 0(0.0) 18(100.0)
8 고급 생명과학 17(25.8) 49(74.2) 66(100.0) 7( 41.2) 6(35.3) 3(17.6) 1(5.9) 17(100.0)
9 고급 물리학 14(21.2) 52(78.8) 66(100.0) 7( 50.0) 3(21.4) 3(21.4) 1(7.1) 14(100.0)
10 심화 수학Ⅱ 13(19.7) 53(80.3) 66(100.0) 13(100.0) 0( 0.0) 0( 0.0) 0(0.0) 13(100.0)
11 고급 화학 13(19.7) 53(80.3) 66(100.0) 7( 53.8) 3(23.1) 3(23.1) 0(0.0) 13(100.0)
12 지구과학 실험 12(18.2) 54(81.8) 66(100.0) 12(100.0) 0( 0.0) 0( 0.0) 0(0.0) 12(100.0)
13 고급 수학I 9(13.6) 57(86.4) 66(100.0) 4( 44.4) 3(33.3) 2(22.2) 0(0.0) 9(100.0)
14 고급 지구과학 9(13.6) 57(86.4) 66(100.0) 7( 77.8) 1(11.1) 1(11.1) 0(0.0) 9(100.0)
15 융합과학 탐구 8(12.1) 58(87.9) 66(100.0) 5( 62.5) 2(25.0) 1(12.5) 0(0.0) 8(100.0)
16 고급 수학Ⅱ 3( 4.5) 63(95.5) 66(100.0) 2( 66.7) 0( 0.0) 1(33.3) 0(0.0) 3(100.0)
Download Excel Table

과학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별로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연구학교에서 가장 많이 개설한 과학 계열 전문교과는 ‘심화 수학Ⅰ’으로서 57.6%가 개설하였다. 그다음이 ‘과학과제 연구’(45.5%), ‘생명과학 실험’(34.8%)과 ‘정보과학’(34.8%) 등이었다. 예를 들어 가장 많은 개설 비율을 보인 ‘심화 수학Ⅰ’은 공통 과목인 ‘수학’ 이후 전문적인 심화 학습을 위한 것으로, 이러한 개설 실태 결과는 수학이나 과학에 대해 보다 본격적이고 심화된 학습을 원하는 학생의 요구가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과학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의 개설 형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고급 생명과학’(41.2%), ‘고급 수학Ⅰ’(44.4%)을 제외하고는 모두 50%가 넘게 학교 자체적으로 개설하고 있었다. 또한 개설된 과목 중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가장 많이 개설한 과목은 ‘물리학 실험’(38.9%), ‘화학 실험’(36.4%)이었으며,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의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활용이 저조하여 1~3개교 정도에서 과목 개설에 활용하는 것에 그쳤다.

둘째, 일반고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체육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의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16>과 같다.

표 16.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체육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개설 실태 단위: 개교(%)
개설비율 순위 체육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해당 과목의 개설 여부 전문교과Ⅰ 과목의 개설 방식
개설한 학교 미개설한 학교 합계 본교 정규 교육과정으로 개설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 무응답 합계
1 체육 전공 실기 기초 22(33.3) 44( 66.7) 66(100.0) 14( 63.6) 7(31.8) 0(0.0) 1(4.5) 22(100.0)
2 스포츠 경기 체력 12(18.2) 54( 81.8) 66(100.0) 8( 66.7) 4(33.3) 0(0.0) 0(0.0) 12(100.0)
3 체육 전공 실기 심화 11(16.7) 55( 83.3) 66(100.0) 9( 81.8) 2(18.2) 0(0.0) 0(0.0) 11(100.0)
4 체육과 진로 탐구 10(15.2) 56( 84.8) 66(100.0) 8( 80.0) 2(20.0) 0(0.0) 0(0.0) 10(100.0)
5 단체 운동 9(13.6) 57( 86.4) 66(100.0) 8( 88.9) 1(11.1) 0(0.0) 0(0.0) 9(100.0)
6 스포츠 경기 실습 8(12.1) 58( 87.9) 66(100.0) 6( 75.0) 2(25.0) 0(0.0) 0(0.0) 8(100.0)
7 개인・대인운동 6( 9.1) 60( 90.9) 66(100.0) 2( 33.3) 4(66.7) 0(0.0) 0(0.0) 6(100.0)
8 체육 전공 실기 응용 5( 7.6) 61( 92.4) 66(100.0) 3( 60.0) 2(40.0) 0(0.0) 0(0.0) 5(100.0)
9 스포츠 개론 4( 6.1) 62( 93.9) 66(100.0) 4(100.0) 0( 0.0) 0(0.0) 0(0.0) 4(100.0)
10 육상 운동 3( 4.5) 63( 95.5) 66(100.0) 2( 66.7) 1(33.3) 0(0.0) 0(0.0) 3(100.0)
11 체육 지도법 2( 3.0) 64( 97.0) 66(100.0) 2(100.0) 0( 0.0) 0(0.0) 0(0.0) 2(100.0)
12 스포츠 경기 분석 2( 3.0) 64( 97.0) 66(100.0) 1( 50.0) 1(50.0) 0(0.0) 0(0.0) 2(100.0)

* 체육 계열의 총 14개 전문교과I 과목 중 모든 학교에서 미개설한 2개 과목은 생략함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는 체육 계열 전문교과I 과목 중 ‘체육 전공 실기 기초’(33.3%) 과목을 가장 많이 개설하고 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스포츠 경기 체력’(18.2%), ‘체육 전공 실기 심화’(16.7%) 과목을 많이 개설하고 있었다. 한편, 일반고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대부분의 체육 계열 전문교과 과목을 본교 정규 교육과정으로 개설하고 있었고, 일부 학교의 경우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실기 중심의 체육 계열 과목의 특성상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한 사례는 없었다.

셋째,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개설한 예술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의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17>과 같다.

표 17.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예술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개설 실태 단위: 개교(%)
개설비율 순위 예술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해당 과목의 개설 여부 전문교과Ⅰ 과목의 개설 방식
개설한 학교 미개설한 학교 합계 본교 정규 교육과정으로 개설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 무응답 합계
1 현대문학 감상 24(36.4) 42( 63.6) 66(100.0) 21( 87.5) 0( 0.0) 3(12.5) 0(0.0) 24(100.0)
2 미술 전공 실기 18(27.3) 48( 72.7) 66(100.0) 16( 88.9) 2(11.1) 0( 0.0) 0(0.0) 18(100.0)
3 고전문학 감상 14(21.2) 52( 78.8) 66(100.0) 13( 92.9) 0( 0.0) 1( 7.1) 0(0.0) 14(100.0)
4 드로잉 13(19.7) 53( 80.3) 66(100.0) 9( 69.2) 4(30.8) 0( 0.0) 0(0.0) 13(100.0)
5 문학과 매체 13(19.7) 53( 80.3) 66(100.0) 11( 84.6) 2(15.4) 0( 0.0) 0(0.0) 13(100.0)
6 음악사 11(16.7) 55( 83.3) 66(100.0) 9( 81.8) 1( 9.1) 1( 9.1) 0(0.0) 11(100.0)
7 음악 전공 실기 8(12.1) 58( 87.9) 66(100.0) 8(100.0) 0( 0.0) 0( 0.0) 0(0.0) 8(100.0)
8 미술사 8(12.1) 58( 87.9) 66(100.0) 6( 75.0) 0( 0.0) 2(25.0) 0(0.0) 8(100.0)
9 시창·청음 7(10.6) 59( 89.4) 66(100.0) 5( 71.4) 2(28.6) 0( 0.0) 0(0.0) 7(100.0)
10 평면 조형 7(10.6) 59( 89.4) 66(100.0) 6( 85.7) 1(14.3) 0( 0.0) 0(0.0) 7(100.0)
11 매체 미술 7(10.6) 59( 89.4) 66(100.0) 5( 71.4) 2(28.6) 0( 0.0) 0(0.0) 7(100.0)
12 영상 제작의 이해 7(10.6) 59( 89.4) 66(100.0) 3( 42.9) 4(57.1) 0( 0.0) 0(0.0) 7(100.0)
13 음악 이론 6( 9.1) 60( 90.9) 66(100.0) 5( 83.3) 0( 0.0) 1(16.7) 0(0.0) 6(100.0)
14 연극의 이해 6( 9.1) 60( 90.9) 66(100.0) 4( 66.7) 2(33.3) 0( 0.0) 0(0.0) 6(100.0)
15 영화 감상과 비평 6( 9.1) 60( 90.9) 66(100.0) 5( 83.3) 1(16.7) 0( 0.0) 0(0.0) 6(100.0)
16 미술 이론 5( 7.6) 61( 92.4) 66(100.0) 5(100.0) 0( 0.0) 0( 0.0) 0(0.0) 5(100.0)
17 공연 실습 4( 6.1) 62( 93.9) 66(100.0) 3( 75.0) 1(25.0) 0( 0.0) 0(0.0) 4(100.0)
18 입체 조형 4( 6.1) 62( 93.9) 66(100.0) 4(100.0) 0( 0.0) 0( 0.0) 0(0.0) 4(100.0)
19 문예 창작 입문 4( 6.1) 62( 93.9) 66(100.0) 4(100.0) 0( 0.0) 0( 0.0) 0(0.0) 4(100.0)
20 문학 개론 4( 6.1) 62( 93.9) 66(100.0) 4(100.0) 0( 0.0) 0( 0.0) 0(0.0) 4(100.0)
21 문장론 4( 6.1) 62( 93.9) 66(100.0) 2( 50.0) 1(25.0) 1(25.0) 0(0.0) 4(100.0)
22 영화 제작 실습 4( 6.1) 62( 93.9) 66(100.0) 2( 50.0) 2(50.0) 0( 0.0) 0(0.0) 4(100.0)
23 합창 3( 4.5) 63( 95.5) 66(100.0) 3(100.0) 0( 0.0) 0( 0.0) 0(0.0) 3(100.0)
24 영화의 이해 3( 4.5) 63( 95.5) 66(100.0) 1( 33.3) 2(66.7) 0(0.0) 0(0.0) 3(100.0)
25 사진 영상 편집 3( 4.5) 63( 95.5) 66(100.0) 3(100.0) 0( 0.0) 0(0.0) 0(0.0) 3(100.0)
26 합주 2( 3.0) 64( 97.0) 66(100.0) 1( 50.0) 0( 0.0) 0(0.0) 1(50.0) 2(100.0)
27 시 창작 2( 3.0) 64( 97.0) 66(100.0) 1( 50.0) 1(50.0) 0(0.0) 0(0.0) 2(100.0)
28 소설 창작 2( 3.0) 64( 97.0) 66(100.0) 1( 50.0) 1(50.0) 0(0.0) 0(0.0) 2(100.0)
29 영화기술 2( 3.0) 64( 97.0) 66(100.0) 1( 50.0) 1(50.0) 0(0.0) 0(0.0) 2(100.0)
30 기초 촬영 2( 3.0) 64( 97.0) 66(100.0) 1( 50.0) 1(50.0) 0(0.0) 0(0.0) 2(100.0)
31 극 창작 1( 1.5) 65( 98.5) 66(100.0) 1(100.0) 0( 0.0) 0(0.0) 0(0.0) 1(100.0)
32 연극 제작 실습 1( 1.5) 65( 98.5) 66(100.0) 1(100.0) 0( 0.0) 0(0.0) 0(0.0) 1(100.0)
33 연극 감상과 비평 1( 1.5) 65( 98.5) 66(100.0) 1(100.0) 0( 0.0) 0(0.0) 0(0.0) 1(100.0)
34 시나리오 1( 1.5) 65( 98.5) 66(100.0) (100.0) 0( 0.0) 0(0.0) 0(0.0) 1(100.0)
35 사진의 이해 1( 1.5) 65( 98.5) 66(100.0) 1(100.0) 0( 0.0) 0(0.0) 0(0.0) 1(100.0)

* 예술 계열의 총 49개 전문교과I 과목 중 모든 학교에서 미개설한 14개 과목은 생략함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에 제시된 예술 계열 전문교과Ⅰ 개설 현황 분석 결과를 보면, 일반고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는 예술 계열 과목 중 ‘현대문학 감상’(36.4%)을 가장 많이 개설하고 이었으며, 그다음은 ‘미술 전공 실기’(27.3%), ‘고전문학 감상’(21.2%) 등의 과목을 개설하고 있었다. 예술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들은 대부분의 경우 본교 정규교육과정의 과목으로 개설하고 있었으며, 실시를 강조하는 과목의 특성 상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개설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넷째, 일반고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외국어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의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18>과 같다.

표 18.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외국어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개설 실태 단위: 개교(%)
개설비율 순위 외국어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해당 과목의 개설 여부 전문교과Ⅰ 과목의 개설 방식
개설한 학교 미개설한 학교 합계 본교 정규 교육 과정으로 개설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 무응답 합계
1 심화 영어 독해Ⅰ 25(37.9) 41( 62.1) 66(100.0) 22( 88.0) 2( 8.0) 1( 4.0) 0(0.0) 25(100.0)
2 심화 영어Ⅰ 23(34.8) 43( 65.2) 66(100.0) 23(100.0) 0( 0.0) 0( 0.0) 0(0.0) 23(100.0)
3 일본어 회화Ⅰ 17(25.8) 49( 74.2) 66(100.0) 15( 88.2) 2(11.8) 0( 0.0) 0(0.0) 17(100.0)
4 중국어 회화Ⅰ 14(21.2) 52( 78.8) 66(100.0) 11( 78.6) 2(14.3) 1( 7.1) 0(0.0) 14(100.0)
5 일본 문화 12(18.2) 54( 81.8) 66(100.0) 12(100.0) 0( 0.0) 0( 0.0) 0(0.0) 12(100.0)
6 중국 문화 9(13.6) 57( 86.4) 66(100.0) 9(100.0) 0( 0.0) 0( 0.0) 0(0.0) 9(100.0)
7 심화 영어 독해Ⅱ 7(10.6) 59( 89.4) 66(100.0) 7(100.0) 0( 0.0) 0( 0.0) 0(0.0) 7(100.0)
8 심화 영어 작문Ⅰ 7(10.6) 59( 89.4) 66(100.0) 5( 71.4) 1(14.3) 1(14.3) 0(0.0) 7(100.0)
9 심화 영어 회화Ⅰ 5( 7.6) 61( 92.4) 66(100.0) 3( 60.0) 1(20.0) 1(20.0) 0(0.0) 5(100.0)
10 중국어 독해와 작문Ⅰ 4( 6.1) 62( 93.9) 66(100.0) 4(100.0) 0( 0.0) 0( 0.0) 0(0.0) 4(100.0)
11 심화 영어Ⅱ 3( 4.5) 63( 95.5) 66(100.0) 3(100.0) 0( 0.0) 0( 0.0) 0(0.0) 3(100.0)
12 프랑스어 회화Ⅰ 3( 4.5) 63( 95.5) 66(100.0) 2( 66.7) 0( 0.0) 1(33.3) 0(0.0) 3(100.0)
13 스페인어 회화Ⅰ 3( 4.5) 63( 95.5) 66(100.0) 2( 66.7) 0( 0.0) 1(33.3) 0(0.0) 3(100.0)
14 일본어 독해와 작문Ⅰ 3( 4.5) 63( 95.5) 66(100.0) 3(100.0) 0( 0.0) 0( 0.0) 0(0.0) 3(100.0)
15 심화 영어 회화Ⅱ 1( 1.5) 65( 98.5) 66(100.0) 0( 0.0) 1(100.0) 0( 0.0) 0(0.0) 1(100.0)
16 전공 기초 독일어 1( 1.5) 65( 98.5) 66(100.0) 1(100.0) 0( 0.0) 0( 0.0) 0(0.0) 1(100.0)
17 독일어 회화Ⅰ 1( 1.5) 65( 98.5) 66(100.0) 1(100.0) 0( 0.0) 0( 0.0) 0(0.0) 1(100.0)
18 독일어 독해와 작문Ⅰ 1( 1.5) 65( 98.5) 66(100.0) 1(100.0) 0( 0.0) 0( 0.0) 0(0.0) 1(100.0)
19 독일어 독해와 작문Ⅱ 1( 1.5) 65( 98.5) 66(100.0) 1(100.0) 0( 0.0) 0( 0.0) 0(0.0) 1(100.0)
20 독일어권 문화 1( 1.5) 65( 98.5) 66(100.0) 0( 0.0) 1(100.0) 0( 0.0) 0(0.0) 1(100.0)
21 프랑스어 독해와 작문Ⅰ 1( 1.5) 65( 98.5) 66(100.0) 1(100.0) 0( 0.0) 0( 0.0) 0(0.0) 1(100.0)
22 프랑스어권 문화 1( 1.5) 65( 98.5) 66(100.0) 0( 0.0) 1(100.0) 0( 0.0) 0(0.0) 1(100.0)
23 전공 기초 스페인어 1( 1.5) 65( 98.5) 66(100.0) 0( 0.0) 0( 0.0) 1(100.0) 0(0.0) 1(100.0)
24 전공 기초 중국어 1( 1.5) 65( 98.5) 66(100.0) 0( 0.0) 0( 0.0) 1(100.0) 0(0.0) 1(100.0)
25 러시아어 회화Ⅰ 1( 1.5) 65( 98.5) 66(100.0) 0( 0.0) 0( 0.0) 1(100.0) 0(0.0) 1(100.0)

* 외국어 계열의 총 56개 전문교과I 과목 중 모든 학교에서 미개설한 31개 과목은 생략함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고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외국어 계열 전문교과Ⅰ에서 가장 많이 개설된 과목은 ‘심화 영어 독해Ⅰ’(37.9%)이며, 그다음이 ‘심화 영어Ⅰ’(34.8%), ‘일본어 회화Ⅰ’(25.8%) 등이다. 아울러 다른 계열과 마찬가지로 외국어 계열 과목 또한 본교 정규 교육과정으로 주고 개설하고 있었으며, 소수의 몇 개 과목만 오프라인 및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마지막으로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국제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을 개설한 비율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의 <표 19>와 같다.

표 19.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국제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개설 실태 단위: 개교(%)
개설 비율 순위 국제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 해당 과목의 개설 여부 전문교과Ⅰ 과목의 개설 방식
개설한 학교 미개설한 학교 합계 본교 정규 교육과정으로 개설 오프라인 공동교육 과정으로 개설 온라인 공동교육 과정으로 개설 무응답 합계
1 사회과제 연구 21(31.8) 45(68.2) 66(100.0) 16( 76.2) 5(23.8) 0( 0.0) 0(0.0) 21(100.0)
2 국제 경제 18(27.3) 48(72.7) 66(100.0) 6( 33.3) 8(44.4) 4(22.2) 0(0.0) 18(100.0)
3 세계 문제와 미래 사회 16(24.2) 50(75.8) 66(100.0) 10( 62.5) 5(31.3) 1( 6.3) 0(0.0) 16(100.0)
4 현대 세계의 변화 14(21.2) 52(78.8) 66(100.0) 13( 92.9) 1( 7.1) 0( 0.0) 0(0.0) 14(100.0)
5 지역 이해 13(19.7) 53(80.3) 66(100.0) 9( 69.2) 4(30.8) 0( 0.0) 0(0.0) 13(100.0)
6 한국 사회의 이해 11(16.7) 55(83.3) 66(100.0) 6( 54.5) 2(18.2) 2(18.2) 1(9.1) 11(100.0)
7 사회 탐구 방법 7(10.6) 59(89.4) 66(100.0) 5( 71.4) 1(14.3) 1(14.3) 0(0.0) 7(100.0)
8 국제 정치 6( 9.1) 60(90.9) 66(100.0) 3( 50.0) 3(50.0) 0(0.0) 0(0.0) 6(100.0)
9 비교 문화 5( 7.6) 61(92.4) 66(100.0) 4( 80.0) 1(20.0) 0(0.0) 0(0.0) 5(100.0)
10 국제 관계와 국제기구 5( 7.6) 61(92.4) 66(100.0) 1( 20.0) 4(80.0) 0(0.0) 0(0.0) 5(100.0)
11 국제법 1( 1.5) 65(98.5) 66(100.0) 1(100.0) 0( 0.0) 0(0.0) 0(0.0) 1(100.0)
Download Excel Table

이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고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개설한 국제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을 분석한 결과, ‘사회과제 연구’(31.8%)와 ‘국제 경제’(27.3%)가 가장 높은 개설 비율을 나타내었다. 국제 계열 전문교과Ⅰ 과목도 다른 계열 과목과 마찬가지로 본교 개설 과목이 대다수였다. 단, ‘국제 경제’ 과목의 경우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한 학교가 본교 교육과정으로 개설한 학교보다 더 많았으나, 대상 학교가 소수라는 점을 감안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V. 논의

본 연구에서 전문교과I 과목의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문교과Ⅰ 과목은 특수 목적고에서 일반적으로 운영되면서도 고교학점제의 확대와 더불어 연구학교를 포함한 일반고에 전격 도입되어 본질적인 성격 변화를 겪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주요하게 나타난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본 후, 기존의 전문교과I 과목의 개설·운영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 목적고의 나이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특수 목적고에서 개설될 것이라고 예측되는 전문교과I 과목 중에서 실제로 활발하게 편성·운영되지 않는 과목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계열 과목 중 ‘생태와 환경’은 1개의 과학고에서만 개설하고 있었으며, 체육 계열의 과목 중에서 4개 과목(‘스포츠 경기 체력’, ‘체육 지도법’, ‘스포츠 경기 분석’, ‘스포츠 경기 실습’)을 개설한 사례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술 계열의 경우에도 5개 과목(‘문예 창작 입문’, ‘문장론’, ‘극 창작’, ‘중급 촬영’, ‘사진 표현 기법’)은 1개의 예술고에 한해 개설되고 있었으며, 4개 과목(‘무용과 매체’, ‘암실 실기’, ‘사진 영상 편집’, ‘사진 감상과 비평’)은 예술고에서 개설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어 계열의 경우 11개의 과목은 1개의 외국어고에서만 개설하였으며, 모든 외국어고에서 개설하지 않는 과목(‘아랍 문화’)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전문교과I 과목이 각 계열과 관련된 특수 목적고에서 개설·운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관련된 특수 목적고에서 활발하게 활용되지 않거나 개설조자 되지 않는 과목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해당 과목들이 왜 특수 목적고에서 개설·운영되지 않는지 그 원인을 파악하고, 그러한 원인에 기초하여 과목 재구조화 방안과 과목 개설·운영을 위한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수 목적고의 경우 해당 학교의 설립 목적에 부합하는 전문교과I 과목을 중심으로 개설하고 있었으나, 학교별로 개설한 전문교과I의 이수 단위에는 상당한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보통교과 선택 과목의 기본 단위는 5단위로서, 일반선택 과목은 2단위 범위 내에서, 교양 교과목과 진로선택 과목은 3단위를 증감하여 편성할 수 있다. 그러나 특수 목적고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교과Ⅰ 과목의 경우, 이수 단위는 시・도 교육감이 정하도록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2018년 입학생(2020년 졸업생)의 3개 학년 나이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특수 목적고의 경우에는 전문교과Ⅰ 과목을 적게는 1~2단위에서부터 많게는 15단위나 18단위까지 편성하는 사례들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이러한 경향은 실기를 강조하며 세부 전공이 나누어져 있는 체육고와 예술고에서 두드러졌다. 이처럼 특수 목적고에서 편성·운영하는 전문교과Ⅰ의 이수 단위에 실제로 이렇게 큰 편차가 있는 이유는 현재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목이 현실적인 학교의 필요에 부합하지 않은 데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과목을 18단위까지 편성하여 운영하도록 하기보다 개별 학교에서 필요로 하는 과목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일반고)는 이미 모든 계열의 전문교과Ⅰ 과목을 활발하게 개설·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무엇보다 일반고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는 전문교과I 과목 중에서도 진로를 탐색하기 위한 과목이나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과목이 많이 개설되는 것으로 나타난 점은 주의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예컨대 일반고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는 과학 계열 과목(88.0%)과 외국어 계열 과목(75.9%)을 많이 개설하고 있었는데, 이 중에서도 ‘심화 수학’, ‘심화 영어 독해’ 등과 같이 현실적으로 대학 입시 준비와 관련된 과목들이 실제 개설ㆍ운영되는 비율도 높았다. 또한 예술 계열이나 체육 계열의 경우 세부 전공이 나누어져 있는 전문적인 과목보다는 ‘체육 진로 탐구’ 등과 같이 진로를 탐색하거나 준비할 수 있는 포괄적인 과목들이 개설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도입될 경우 일반고에서도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해 전문교과I 과목을 개설하는 사례들이 더욱 확대될 것을 말해준다. 따라서 고교학점제 체제에서는 전문교과Ⅰ 과목을 특수 목적고만의 과목이 아닌 일반고에서도 활발하게 개설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며, 전문교과Ⅰ 과목이 일반고에서 개설·운영되기 위해서는 대학 입시 준비와 관련된 현실적 필요성, 그리고 특수 목적고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진로가 가변적이고 다양한 일반고 학생들의 수요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대체로 단위학교들은 공동교육과정보다 단위학교 내 교육과정 개설을 선호하고 있었으나, 일반고에서 전문교과Ⅰ 과목을 여러 학교가 함께 개설·운영하는 공동교육과정으로 개설하는 경우도 일정 정도 관찰되었다. 곧, 분석 결과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는 단위학교 내 자체적으로 전문교과Ⅰ을 개설하는 비율(75.8%)이 높았으나,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17.7%)과 온라인 공동교육과정(5.1%)으로 개설하는 사례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교육과정은 일반고가 전문교과Ⅰ을 도입할 때 직면하는 전문성을 갖춘 강사 구인의 문제, 학생 수요의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이지만, 학생의 수업 장소로의 이동 및 수업 시간의 조율 등의 현실적인 문제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전문교과I 과목을 단위학교에서 개설·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공동교육과정을 이용할 수 있도록 내실 있는 공동교육과정의 운영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VI. 제언

본 연구에서는 특수 목적고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전문교과I 과목의 개설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전문교과I의 재구조화에 따른 과목 개설·운영 지원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전문교과I 과목의 개설 현황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차후 고등학교 교과목의 재구조화에 따른 과목 개설·운영 지원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교과에 대한 일반고 교원의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차후 전문교과Ⅰ를 일반고의 교과 편제인 보통교과의 진로선택 및 융합선택 과목으로 재구조화할 경우, 현행 특수 목적 고등학교에 주로 개설되는 이 과목을 일반고에서는 누가 어떻게 가르칠 것이라는 관점에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현재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인 일반고에서 전문교과Ⅰ을 활발하게 편성·운영하고 있지만 정규 교육과정이 아닌 공동교육과정에 의존하여 개설·운영하는 경우도 상당수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문교과I가 심화된 내용에 대한 지식이나 특수한 분야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과목인데 반해 상대적으로 일반고 교사들이 평상시 가르쳐 본 경험이 많지 과목이기 때문에, 기존의 전문교과I 과목이 일반고 대상의 보통교과로 통합될 경우 교사들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으며 실제 과목을 운영할 때 교사의 역량에 따라 수업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볼 때, 보통교과로 재구조화되는 전문교과 과목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는 해당 과목에 대한 교사 연수의 형태로 기획될 수 있으며, 해당 과목의 개설·운영에 대해 관심 있는 교사들의 자발적 연구와 집단 학습을 독려하는 방식의 교사 학습 공동체 지원 방식으로 접근할 수도 있다. 아울러, 중장기적으로는 예비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통해 전문교과에 대한 교원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고에서 기존의 전문교과Ⅰ 과목을 내실 있게 개설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필요로 하는 인적·물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 특수 목적고 뿐만 아니라 일반고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도 전문교과Ⅰ 과목을 활발하게 개설하고 있었는데, 실제로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되고 전문교과I이 보통교과의 과목으로 개편될 경우 일부 일반고에서는 해당 과목을 가르칠 교‧강사 및 설비와 시설이 부족하여 과목의 개설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전문교과Ⅰ 과목을 보통교과로 통합하여 일반고에서도 이 과목을 활발하게 개설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갖춘 강사, 시설, 설비 등을 지원하여 이러한 과목들이 실제적으로 개설되고 학생의 과목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예컨대, 현재 정부에서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운영을 통해 전문교과 과목 개설에 대한 지원 및 지구 내 유관 기관들(대학 등)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이나, 전문교과 과목을 가르칠 수 있는 교‧강사 인력풀을 구축하고 특수한 전문성이 요구되는 교원의 경우에는 교육청 소속 순회교사를 확보하여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특히 일반고에서 전문교과I 과목을 개설·운영할 충분한 준비가 부족한 고교학점제 도입 초기에는 전문교과Ⅰ 과목에 대한 오프라인과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을 활성화하고 이 과목의 운영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방안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일반고와 달리 특수 목적고의 경우에는 필요로 하는 고시 외 과목을 효율적으로 개설·운영할 수 있도록 과목 개설의 유연화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특수 목적고의 경우 전문교과Ⅰ이 보통교과로 통합될 경우, 특수 목적고만의 전문적인 심화 과목을 새롭게 필요로 할 수 있다. 전문교육이나 심화교육을 요구하는 특수 목적고의 경우 미래 사회의 빠른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며 학습해야 하는데, 이러한 필요를 국가 교육과정에 새로운 과목으로 신설하기에는 다소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특수 목적고에서는 전문 분야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탄력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고시 외 과목의 개설·운영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특수 목적고의 경우 학교장 개설 과목에 대한 승인 절차를 간소화하고 필요로 하는 전문 과목을 발굴하여 개설·운영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원 방안이 고교학점제 도입 및 전문교과Ⅰ 구성 방안 적용 시기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마련된다면, 일반고에서 전문교과Ⅰ 과목을 유의미하게 개설‧활용하는 사례들이 증가하며 전문교과Ⅰ 구성 방안도 교육 현장에 정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otes

1) 본 연구는 이주연, 이광우, 최정순, 이민형, 유금복, 최성희, 윤기준, 김석영(2021), ‘고교학점제 대비 학생 선택권 확대를 위한 전문교과 구성 방안 연구’의 일부분을 발췌, 재구성한 것임을 밝힌다.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별책1].

2.

교육과학기술부(201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3.

교육부(1992). 고등학교 교육과정(Ⅰ). 교육부 고시 제1992-19호.

4.

교육부(1997). 제7차 교육과정 총론 해설 고등학교. 교육부.

5.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

6.

교육부(2016).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 교육부 보도자료(2016. 12. 23).

7.

교육부(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교육부.

8.

교육부(2018).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1]

9.

교육부(2019a). 고교서열화 해소 및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방안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2019.11.7.).

10.

교육부(2019b). 2019 고교학점제 지원 사업 계획. 교육부 내부 자료(2019. 3).

11.

교육부(2020).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20-225호.

12.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시안). 교육부 보도자료 별첨(2021. 11. 24).

13.

권오현, 김용진, 박동열, 백민아, 이주연, 진동섭, 최종선(2020). 고등학교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교육부·서울대학교 보고서.

14.

김진숙, 이광우, 조보경, 이민형, 임유나(2018). 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8-8.

15.

박순경, 김미영, 김선아, 남민우, 박선화, 백경선, 유정애, 윤현진, 이경언, 이근님, 진경애, 한혜정, 정지영(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선택 과목 재구조화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1-1.

16.

이광우, 김진숙, 이근호, 한혜정, 이주연, 김경자, 형인이(2017). 지능정보사회 대응을 위한 중장기 고교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 학습자 중심 고교학점제 실행 방향 및 과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7-9.

17.

이미숙, 이광우, 김진숙, 백경선, 이주연, 김영은, 이수정, 이민형, 이상아, 임유나, 김정빈(2019).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9-8.

18.

이주연, 이광우, 진경애, 이미숙, 이민형, 장현진(2020).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육과정 이수 지도 방안 탐색: 학생의 진로·학업 설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20-9.

19.

이주연, 이광우, 권점례, 백경선, 배화순, 전호재(2021).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공동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21-5.

20.

이주연, 이광우, 최정순, 이민형, 유금복, 최성희, 윤기준, 김석영(2021). 고교학점제 대비 학생 선택권 확대를 위한 전문교과 구성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21-14.

21.

홍원표, 임유나, 김용진, 박시영, 이문경, 박영섭(2021).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 연구. 교육부 정책 연구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