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저출산 시대에 대비하는 중학교 교과서의 인구 관련 내용 개선 방향

김태헌1, 박강용2, 권부경3, 강정애4, 이수영5
Tai-Hun Kim1, Gang-Yong Park2, Poo-Kyoung Kwon3, Jeong-Ae Kang4, Sou-Young Lee5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한국교원대학교 교수
2경기도율곡교육연수원 교육연구사
3청주상당고등학교 교사
4한국교원대학교부설고등학교 교사
5서울방학중학교 교사
1Professor,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Supervisor, Gyeonggi-do Yulgog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
3Teacher, Sangdang High School
4Teacher, Affiliated High School With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5Teacher, Banghak Middle School

ⓒ Copyright 2006,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Oct 15, 2006 ; Revised: Nov 15, 2006 ; Accepted: Nov 27, 2006

Published Online: Dec 31, 2006

요약

우리나라 합계출산율(total fertility rate)은 1970년 4.53명의 높은 수준에서 2004년 1.16명으로 급 격히 감소해 OECD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의 심각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생산가능인구가 감소되고 노동력이 고령화되면서 노동생산성이 저하되어 경제 사회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저출산 및 인구고령화 문제는 본질적으로 교육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교교육의 시사점을 찾기 위해 중학교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구, 가족 및 성평등 관련 교과내용은 사회, 도덕, 가정, 체육, 국어, 환경 등 교과목에서 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인구 영역은 주로 사회, 가정, 체육, 환경 과목 등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가족 및 성평등 영역과 관련된 교과내용은 다양한 교과목에서 다루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사회와 도덕 교과목에 치중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인구, 가족, 성평등 영역의 교과내용이 고루 분포되지 못하고, 특정 학년에 편중되어 있어 교육의 연속성이 다소 결여되어 있다. 또한 교육내용 자체도 피상적 수준에 머물러 있어, 학생들이 학습을 통해 스스로 이해하고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구교육은 다양한 인구 관련 내용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구 관련 교과내용에 저출산 현상과 고령화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교과서 상당부분의 수정․보완이 필요하다. 동시에 교사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교사 교육을 수행하여야 한다.

ABSTRACT

The total fertility rate of Korea is lowest among OECD countries, decreasing from 4.53 in 1970 to 1.08 in 2005.

This phenomenon adequately shows the seriousness of the low fertility problem in Korea. If this phenomenon continues, it will impose a negative affect on society by dropping productive manpower, and aging the population as a whole.

This problem may not be solved in the short term. Therefore, I have analysed the text 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find some suggestions and ways to solve the low fertility issues.

The themes of population, family, and gender equality are usually covered in various subjects such as social studies, ethics, home management, physical education, and environment. Among these subjects, social studies and ethics cover the most area of the themes. Because the study of population, family, and gender equality are usually concentrated on specific grades, the continuance of education in these subjects is lacking.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available education is on superficial level. Therefore it appears that students are limited in their understanding appreciation of the problems at hand.

Toward this end, we should approach the presentation of population-related education in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way. I propose altering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to include the seriousness of Korea's aging population and low fertility rate. In conjunction, appropriate development training programs, and practice for teachers should also occur.

Keywords: 인구교육; 가치교육; 중학교 교과서; 저출산; 합계출산율
Keywords: population education; value education; middle school textbook; low fertility; total fertility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