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초등 교사의 사회과 수행평가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박인옥1, 김왕근2, 은지용3
In-Ock Park1, Wang-Geun Kim2, Ji-Yong Eun3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강원대학교 강사
2춘천교육대학교 교수
3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원
1Lecturer, Lecturer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Professor,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Research Fellow,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Copyright 2005,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pr 15, 2005 ; Revised: May 17, 2005 ; Accepted: Jun 2, 2005

Published Online: Jun 30, 2005

요약

본 연구는 사회과 수행평가에 관한 초등 교사의 실행 과정을 밝힘으로써 현실 적합성을 충족하는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 교사들은 사회과교육의 측면에서 수행평가의 의미를 개념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수행평가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사회과 교육과 관련해서 초등 교사들이 구체적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전략은 무엇인가? 이며,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명의 초등 교사와의 심층 면담과 수업 관찰을 통한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연구 결과, 첫째, 사례 교사들은 수행평가에 대응하는 학습관과 발달주의적 평가관을 지니며, 학습과 평가의 관계가 동형적이고 재귀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수업에서의 실천은 그들의 인식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제 사회과 수업에서의 수행평가 실행은 교사의 개념적 인식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교사 나름대로의 전략을 가지고 복합적인 교육 현장의 문제에 대응해 나갔다. 즉, 사례 교사들은 현실적인 제약 속에서 수행평가 실행을 위해 수업을 준비계획하는 과정과 평가 전략과 방법을 고안하는 과정 그리고 척도 및 결과 처리 과정에서 그들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며 대응해나가고 있었다. 이와 같이 사회과 수행평가 실행 과정에서 사례 교사들은 교육현장의 복합적인 문제에 대응하며, 여기에 일차적인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aw data for performance assessment policy defining teachers’ execution on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is purpose, we adapt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s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about teacher execu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execution on performance assessment isn’t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ir conceptual awareness of performance assessment. Second, in practicing strategies and methods in performance assessment, teachers devised their own assessment methods such as selective presentation, interrogatory method of teaching on the task pertormance, and task performance homework, Rega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olicy and teachers' execution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ractice, teachers seemed to have th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situations with complicated practical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that practicality must take precedence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olicy. Secondly,internal validity needs to be fulfilled in establish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policy. Finally, institutional support must be achieved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Keywords: 초등 사회과; 수행평가; 교사의 인식; 실천적 지식; 수행평가 실행; 실행된 교육과정
Keywords: social studies in an elementary school; viewpoint of teacher; practical knowledge; performance assessment policy; enacted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