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허스트의 자유교육론에 대한 대안적 논의 탐색

유재봉 1
Jae-Bong Yoo 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성균관대학교 교수
1Professor, Sungkyunkwan University

ⓒ Copyright 2004,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Oct 15, 2004 ; Revised: Nov 22, 2004 ; Accepted: Dec 3, 2004

Published Online: Dec 31, 2004

요약

허스트의 자유교육 아이디어는 (학교)교육의 표준적 의미로 오랫동안 영힘력을 미쳐왔다. 그의 아이디어는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다양한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허스트의 자유교육에 대한 비판 내지 대안을 두 가지, 즉 자유교육의 내적 대안과 자유교육의 외적 대안으로 나누어 검토한다. 전자는 ‘자유교육 안의 대안’으로서, 자유교육의 입장을 견지히편서 허스트 자유교육의 문제를 보완히려는 입장이다. 후자는 ‘자유교육의 대안’으로서. 자유교육의 입장을 근본적으로 문제 삼으며, 다른 교육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입장이다. 자유교육의 내적 대안은 희랍적 자유교육론과 중세의 종교적 자유교육론을 연속선상에서 해석하여 그것이 총체적 지식 혹은 마음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유교육의 외적 대안은 지식의 형식이 총체적 세계를 포괄할 수 없으며, 실지로 좋은 삶을 영위하는 데 무기력히다고 비판하며, 사회적 실제에의 입문을 통해 그러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ABSTRACT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wo alternative views on the Hirst’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ie. internal and external alternative view. The former can be called ‘an alternative for liberal education’, whereas the latter can be called ’the alternative to liberal education’. Religious views of liberal education belong to ‘an alternative for liberal education, while social practices view of education belongs to ‘the alternative to liberal education’.

Religious views of liberal education concern with justifying liberal education in terms of the cultivation of well-rounded mind through ‘redeemed reason’ and ‘revelation’ which are given by God’s grace. Social practices view of education addresses the promotion of the life as a whole. So to speak, it emphasises the flourishing life which maximises the overall desires satisfaction in the long run of the people engaged in the social practices and also underlines practical reason and practical knowledge as its elements.

Keywords: 자유교육; 종교적 자유교육; 지식의 형식; 사회적 실재; 허스트; 아퀴나스; 아우구스티누스; 뉴만
Keywords: liberal education; religious view of liberal education; forms of knowledge; social practices; Hirst; Aquinas; Augustine; New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