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학습·교사교육

수업탐구 교사공동체를 통한 수업역량 강화 방안 연구

김희영 1 , *
Hee-Young Kim 1 ,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대전복수고등학교 교사
1Teacher, Daejeon Boksu High School
*제1저자 및 교신저자, hyoung1226@hanmail.net

© Copyright 2020,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ul 06, 2020; Revised: Jul 31, 2020; Accepted: Aug 12, 2020

Published Online: Aug 31, 2020

요약

최근 전국적으로 지역 교육청 단위에서 수업탐구 교사공동체를 통해 수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사지원을 점차적으로 늘리고 있다. 지금까지 수행된 국내 연구들은 주로 학교 밖에서 학교 안 교사공동체를 관찰함으로써 이루어졌기 때문에, 수업탐구 교사공동체가 수업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여주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로 활동하면서 대전 소재의 고등학교에서 실천한 영어 독서활동 중심의 수업탐구 교사공동체 활동이 교사들의 수업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수평적인 교사들 간의 관계 속에서 독서토론 등을 통해 상호협력관계가 구축될 때, 수업탐구공동체에서 주고 받는 수업에 대한 피드백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수업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들의 노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교사공동체가 잘 이뤄지기 위해서는 단위학교 교육과정 및 학교특색과 밀접한 주제 설정, 리더 교사의 지위와 역할 등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ABSTRACT

Recently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are continuously increasing support for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which can lead to improving teaching capacity. Because existing domestic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by observing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from outside the class, they have had limitation to show how to strengthen teaching capacity through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of class exploration. Therefore, this researcher participating in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s one of community members,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bout ‘English Books Reading’ in a high school located in Daejeon contributes to strengthen teachers’ teaching capac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mutual partnership between teachers through their community activities like book debates is built up based on horizontal relation, which leads to their effort for strengthening teaching capacity. In addition, teachers can naturally exchange feedback about teaching in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n particular, the study shows that the topic setting related to a school curriculum and feature and the role and position of teacher leaders are all essential to the community function.

Keywords: 영어독서; 수업탐구 교사공동체; 수업역량강화; 교사 상호협력관계
Keywords: English Books Reading; Teacher Learning Community of Class Exploration; Strengthening Teaching Capacities; Mutual Partnership Between Teachers

I. 서 론

요즈음 전국적으로 지역 교육청 단위에서 수업탐구 교사공동체를 통해 수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사지원을 점차적으로 늘리고 있다. 과거에는 학교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국가에서 시행하는 정책 위주로 교육부 주도하에 이뤄졌지만, 점차적으로 학교 안의 교사들에게로 변화의 방향이 옮겨지고 있다. 따라서 많은 시·도에서 수업탐구 교사공동체를 시행하고 있으며 지원 또한 아끼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 전문적 학습공동체(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의 개념은 개인주의, 과중한 행정업무 등으로 고립화되는 교사 문화와 비효율적인 장학 연수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었다(Newmann, 1996). 교사 학습공동체는 조직 문화에서 ‘공유된 비전 창출’과 ‘팀으로서의 협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효과적이며, 위로부터의 장학보다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Porter, 2014). 학교가 변화하기 위해서는 위로부터의 개혁이 아닌 가장 아래에 있는 학교 구성원에 의한 변화를 통해 실질적인 혁신이 일어날 수 있다는 주장이 많이 제기되고 있다. 교사가 과중한 업무 및 권위적인 학교 문화 등으로 고통스럽지만 소통하기보다는 고립되어 있고, 단지 전달연수 등으로 위로부터의 정책을 그저 따라가는 데 그치는 것으로는 학교가 실질적으로 변화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국내의 경우, 교사학습공동체와 관련된 연구는 지속적으로 계속되어 오고 있다. 단위학교 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수업컨설팅 사례 연구(홍정순, 장환영, 2017)에 따르면, 수업컨설팅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할 수 있으며 동료애를 고취시키고 교사간의 협력적인 자세를 배양하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의 특성과 과제(곽영순, 김종윤, 2016)는 5개 학교를 대상으로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고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교사학습공동체는 학업과 학교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내부로부터의 학교 변화: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의 형성 및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박나실, 장연우, 소경희, 2015)에 따르면, 한 중학교의 독서모임을 통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사례 연구를 통해, 교사학습공동체가 학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을 하는 데 중요한 토대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위의 연구들은 연구자가 학교 밖에서 교사공동체를 관찰하는 형식으로 간접적인 연구를 시행한 형태로, 구체적인 주제와 실천사례를 몸소 보여주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로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에서 직접 활동하면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교사공동체 활동이 교사들의 수업역량 및 교사들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교육역량과 영어독서와 관련하여 교사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사공동체와 수업 협의를 위한 수업공동체 두 갈래에 초점을 두고 보다 실질적인 사례를 보여주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수업탐구 교사공동체가 수행해야 할 구체적인 과제와 나아가야 할 성격 및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가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독서를 통한 학생참여중심 수업’을 주제로 하는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운영은 수업역량 강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리더 교사의 지위와 역할은 무엇인가?

셋째, 교사공동체를 통한 활동은 교사들 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II. 이론적 배경

수업탐구 교사공동체는 주제 설정에 맞춰 교사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사공동체와 수업탐구 및 협의를 위한 수업공동체 두 방향에 초점을 두고 운영되는 교사들 간의 모임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수업탐구 교사공동체는 세부적인 실천 과정에 따라 교사들 특색에 맞게 또는 학교 실정에 맞게 각기 다른 형태로 자유롭게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자의 학교는 영어독서학교이기 때문에 이러한 학교 특색 및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주제를 ‘영어독서를 통한 학생참여중심의 수업’으로 정하여 운영 하였다.

이 장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기 위하여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보고, 수업역량 강화와 수직적인 학교 문화의 변화를 위한 교사공동체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성격과 특징

교사공동체는 요즈음 학교 특성이나 구성원의 특색에 맞게 다양한 이름과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그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전문가학습공동체(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와 탐구공동체 (Inquiry Community)를 들 수 있다(박나실 외 2인, 2015). 전문가학습공동체란 그 초점을 특정 분야 전문가들의 ‘전문성’에 두는 것으로, 이 때의 전문성은 수요자를 위한 전문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Grossman, Wineburg, & Woolworth, 2001). 교육 장면에서 전문가는 교사이며, 교사의 전문성은 수요자인 학생들의 학습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가학습공동체라는 이름의 교사학습공동체는 학생의 학업 성취를 강조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다(박나실 외 2인, 2015).

한편 탐구공동체는 교사공동체의 한 유형으로, 공동체 구성원인 교사들이 함께 질문하고 그 문제에 대한 답을 함께 찾는 과정을 중시하는 것이다(Levine, 2010). 탐구공동체에서 교사들은 자신들이 선택한 연구주제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결과를 살펴보거나, 실제 수업의 문제점들을 간파하고 해결책을 제안한다거나, 자신들의 학생이나 교실, 학교 등을 연구한다거나,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재구성해 본다거나. 더 나아가 교실이나 학교, 사회 문제에 대한 건설적인 비판을 통해 더 나은 변화를 할 수 있는 방향을 찾게 되는 것이다. 탐구공동체는 이와 같은 협력적인 탐구 과정을 통해 교사들이 스스로 탐구한 것을 이론화하고, 이를 좀 더 큰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쟁점들과 연결시킴 으로써 수업 실제에 대한 수업역량 강화에 도움을 받기를 의도한다(곽덕주 외 6인, 2016).

교사학습공동체가 갖는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과정연구(박나실, 장연우, 소경희, 2015)에 따르면, 학자들의 논의를 토대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들 간의 평등한 관계에 바탕을 둔 협력을 토대로 한다. 교사학습공동체의 핵심은 교사들 간의 협력을 통해 서로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며 교사의 고립을 완화시키고 상생하는 것이다(Scribner et al., 1999; Servage, 2008).

교사학습공동체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교사들의 끊임없는 반성과 실천 사이의 순환 노력을 들 수 있다.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교사들은 서로 다른 교사들의 생각을 자신들의 관점에서 섣불리 규정짓고 판단하기보다 신념, 지식, 실천에 대한 서로 간의 차이를 인정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과정에서 교사들은 새로운 시각 및 관점에 대한 개방적인 마음으로 호기심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함께 문제에 대한 답을 함께 찾아가는 과정의 중요성도 깨닫게 된다(Dufour & Eaker, 1998).

교사학습공동체의 마지막 특징은 구성원들간에 공통되는 가치와 목적을 함께 나누는 특징을 지닌다는 것이다. 교사학습공동체가 일반적인 학교 조직과 구별되는 점은 공동체 구성원이 추구해야 하는 가치에 있어서 서로 이끌어주는 공통의 원리와 방향성이 있다는 것이다(Dufour & Eaker, 1998). 교사학습공동체에서는 구성원들 간에 학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 지향해야 하는 가치 등이 공유되며 이것에 따라 각 구성원들은 자신의 수업 및 학교생활의 실천의 바탕으로 삼는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러한 공통의 가치와 목적은 특정 구성원이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이 그 공동체 안에서 함께 논의하여 합의한 가치와 신념이라는 것이다.

2. 수업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홍정순, 장환영의 연구(2017)에 따르면, 단위학교 학습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수업컨설팅은 교사 개인에게 수업 전문성 신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단위학교 학습공동체에서 공동체 구성원들이 동료들과 협의하고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구성원 간 결속력이 강화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Stamper(2015)의 분석에 의하면 교사학습공동체의 모체가 되는 학습공동체 개념은 1920년대 위스콘신 대학의 Meiklejohn(1932)이 제시한 용어로, 학생들과 교사가 협력하여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학생들의 잠재력을 발현하여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교육적 실천 경험이라고 정의 내리고, 교사들끼리 협업하면 학생을 위한 좀 더 의미 있는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교사들끼리 협업하여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그에 따라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내용을 나누며 서로 피드백을 공유하며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이 교사학습공동체이다.

수업은 학교에서 학생과 직결된 가장 중요한 전문적인 일이기 때문에 교육과정 속에서의 수업은 학교의 그 어떤 일보다도 등한시 되어서는 안 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교사공동체에서 다뤄질 부분이 교육과정과 수업이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 없는 것이다.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사토 마나부, 2006)’에 따르면, 교실을 배움의 공동체로 재구축하는 일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배움공동체로서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 교내연수’의 정착이 시급하다고 한다. 교내연수의 목적이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있다면 그 전문성은 다름 아닌 ‘수업 전문성’으로 결집되어야 하며 수업전문성은 이론이 아닌 전문가 교사들이 매일 실천하고 있는, 즉 수업사례로부터 쌓아가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다양한 수업사례를 통해 연구하고 협의할 수 있는 수업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공동체 구축의 필요성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3. 수직적인 학교 문화의 변화와 이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역할

전문적 학습공동체(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의 개념은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 개인주의, 과중한 행정업무 등으로 자칫 고립되기 쉬운 교사 문화와 장학 연수의 비효율성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었다(곽영순, 김종윤, 2016). Hord(1997)의 연구에 따르면,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성공적인 구축원리를 “협의적이고 공유된 리더쉽, 협력적 창의성, 공유된 가치와 비전, 지원적 환경, 공유된 개인적 수업 실천”으로 요약될 수 있음을 밝혔다. 이처럼, 교사공동체는 평등한 협력을 바탕으로 한 리더쉽이 존재할 때 공통의 가치를 공유하며 형식에 구애없이 창의성에 바탕을 두고 서로 지원하며 교육활동을 함께 실천함으로써 잘 운영될 수 있는 것이다. McLaughlin & Talbert(2006)은 학교 내 학습공동체 조직 시,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초기 단계에서 ‘공동체 조정자(community coordinator)’의 역할을 강조한 바 있다. 따라서 교사공동체가 효율적으로 운영되려면 수평적인 교사 문화 속에서의 리더쉽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교사공동체 조정자’로서의 리더 교사의 지위와 역할에 대해 깊게 논의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국의 학교 환경은 서구와는 다른데, 예를 들어 한국의 학교는 서구처럼 행정업무와 수업이 분리되어 있지 않아 교사가 많은 행정업무와 수업을 함께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수업을 등한시 할 수 밖에 없는 환경에 처하기도 한다. 또한 권위적이고 수직적인 교사 문화 속에서 소통이 잘 되지 않고 고립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교사들은 교사 학습공동체를 통해 수업과 학습에 대한 고민을 일차적으로 나누며, 또한 학교문화, 학생과의 갈등 또는 동료 교사 및 관리자와의 갈등, 개인 관심사, 학교의 개선사항 등을 나누며 조금씩 새로운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그 동안의 국내의 교사 학습공동체에 관한 이론적 논의가 아직까지 주로 외국의 상황 맥락에 기대고 있기 때문에, 한국 교육의 현실과 동떨어진 경우가 많다. 예컨대, 외국에서의 학습공동체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교사의 ‘학습’에 주목하지만 한국에서의 학습공동체는 학습 이외에 교사의 생활, 학교의 문화를 개혁하고자 하는 교사 운동적 성격, 교육 정책적 성격도 포함하여 내포하기 때문이다(곽영순, 2015; 경기도 교육청, 2012). 곽영순 외(2014)에서는 이러한 한국의 교사 학습공동체의 특징을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공동체, 윤리적 실천의 생활공동체, 협력과 성장의 학습공동체”로 제시하며 한국적 특성에 맞게 학습공동체가 진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교사공동체의 방향은 계속적으로 진화하면서 조금씩 발전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수직적인 학교 문화 속에서 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교사공동체의 역할과 그 안의 리더 교사의 지위와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III.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영어독서학교라는 학교 특색에 맞게 ‘영어독서를 통한 학생참여중심 수업’을 주제로 본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로 활동하면서 대전 소재의 고등학교에서 실천한 수업탐구 교사공동체 활동이 교사들의 수업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수업탐구 교사공동체가 수행해야 할 구체적인 과제와 나아가야 할 성격 및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이다. 연구자가 근무하는 대전 소재 고등학교는 한 학년당 8학급이며 교과교실제 학교로 학생참여 중심의 수업을 실천하고 있는 학교이다. 또한 영어독서학교를 3년간 운영하여 영어독서라는 체계가 교육과정 속에서 안정적으로 정착되었으며, 유네스코 결연학교로 매년 외국에서 교환학생이 오는 등 선진적인 정책 및 수업을 실현하고 있는 학교이다. 2019년 연구자의 학교는 교육청에서 지원받는 수업탐구 교사공동체를 국어과, 영어과, 사회과 이렇게 세 교과군이 운영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영어과 사례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자가 참여한 교사공동체에서 목적하는 바는 첫째, 도서 읽기 교사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교원전문성 강화이다. 교사들이 직접 독서를 함께 해 봄으로써 학생들이 독서를 진행하는 데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 공감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사들이 책을 읽고 토론함으로써 자칫 고립될 수 있는 교사 문화 속에서 다른 이들과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다. 둘째, 영어독서-수행평가 연계를 통한 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를 위한 방안을 구축하는 등의 내용으로 수업 공개 및 협의회를 위한 수업공동체를 운영하는 것이다. 수업탐구 교사공동체 속에서 논의하고 연구한 바가 교육과정과 연계되고, 기록으로 남겨져 학생의 진로 진학에 도움이 되는 것은 이전에 조금은 추상적인 교사공동체에서 한 발짝 나아간 것이다. 셋째, 학생참여중심 영어독서 관련 수업방법과 자료 개발 및 공유를 위한 협의회를 열어 교사 상호협력관계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교과교실제의 특성상 수준별 수업(2+1)을 운영하기 때문에 다수의 교사가 함께 같은 학년을 맡고 있어 학년별 교사 상호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수업탐구 교사공동체를 통해 정해진 예산을 활용해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공유하며, 다과회를 열어 교사들끼리 수업에 대한 고민을 나누면서 상호협력관계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그 외 영어독서동아리를 교사공동체 교사들이 함께 운영함으로써 수업에서는 시행하기 어려웠던 프로젝트 활동을 이끌고 지도하고자 하였다.

이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모임은 총 9명의 교사들이 모여 실시하였으며, 교사 독서 동아리와 수업탐구 교사공동체 이렇게 두 갈래로 운영하였다.

표 1. 참여자 명단
성명 과목 역할
1 문○○ 영어 부장
2 심○○ 영어Ⅰ 부장
3 리○○ 영어Ⅱ 3학년 담임
4 이○○ 영어Ⅱ 3학년 담임
5 김○○ 영어Ⅰ 수업공개대표교사
6 박○○ 영어Ⅰ 유네스코 국제교류 담당 교사
7 이○○ 영어 영어과 업무 담당 교사
8 김○○ 영어 다락방 대표교사
9 김○○ 영어 수업공개대표교사
Download Excel Table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구체적인 활동은 두 명의 선생님이 1, 2차에 걸쳐 ‘영어독서를 통한 학생참여중심 수업’에 대한 공개수업을 각각 실시하였고, 1차 수업은 본 연구자의 학교 교사를 포함하여 수업 컨설턴트를 비롯한 대전 전체 교사에게 공개하였으며 수업 후 협의회를 실시하였다. 2차 수업은 본교 교사들에게 공개하였으며, 이후 본교 교사 및 컨설턴트와 함께 수업 후 협의회를 실시하였다. 이 때 수업 컨설턴트는 공개 수업 뿐만 아니라 교사공동체 운영 전반에 대해 함께 토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외에도 교사공동체 회원은 모두 영어독서에 관하여 탐구주제를 갖고 수업공개를 함으로써 자신의 수업에 대한 고민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교사공동체 회원 세 명이 함께 영어독서동아리를 운영함으로써 수업에서는 하기에 제약이 있었던 한계에서 벗어나 문화와 독서를 결합하여 프로젝트 형태의 활동으로 운영하였다.

우선 교사 독서 동아리는 개별책과 공동책을 선정하여 금요일 4교시(영어 교사 모두 수업이 없는 공강 시간)를 활용하여 독서 토론을 하였다.독서토론을 위한 교사공동체는 교사독서동아리로 명명하며 1차는 학생들 심리 파악을 위한 추천책으로 시작하였고, 다음으로는 학생들의 영어독서 과정을 이해하고 ‘편견’이라는 주제에 대해 생각하고 토의할 수 있는 책을 선정하여 함께 읽었다. 마지막 활동으로는 교사 자신의 흥미에 맞는 개별도서를 읽고 독서 후기를 소개하며 책을 나누는 활동을 하였다.

표 2. ‘수업탐구 교사공동체 활동’ 실시 현황
구분 일자 수업주제 및 독서토론 주제 활동내용
수업탐구공동체(1차) 5.8(수) 영어원서를 활용한 교과서 표현 익히기 수업 공개
수업 후 협의회
수업탐구공동체 (2차) 11.1(금) 장기간 영어독서프로젝트 시행 수업 공개
11.4(월) 수업후 협의회 (다락방 운영 점검 포함)
수업탐구공동체 (1~9차) 수시 교사공동체 전교사 수업공개 수업 공개
교사공동체 (독서토론) (1차) 5.24(금) ‘아들러의 심리학을 읽는 밤’ 독서 후기 독서 토론
교사공동체 (독서토론) (2차) 7.12(금) ‘No Talking’ 독서 후기 독서 토론
교사공동체 (독서토론) (3차) 수시 개별도서 독서 토론 및 독서 후기 남기기
수업탐구공동체 동아리 운영시간(연간) 영어독서와 문화를 결합한 동아리 운영 팀티칭
Download Excel Table

본 연구는 교사들이 교사공동체를 통해 전문성 향상 및 심리적 지원 측면에서 얻을 수 있는 것과 수업탐구공동체를 통해 수업 측면에서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눠 협의 및 토의 하는 내용을 교사공동체 총무 교사가 기록하는 방법과 교사공동체 대표 교사가 관찰하는 방법의 질적 연구를 하였다. 수업협의록, 교사독서공동체 협의록 등을 활용하여 기록하였고, 사진, 동영상 자료, 교사공동체 일지 등으로 관찰 기록을 남겼다.

자료 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했다. 먼저, 기록한 자료들과 관찰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연구문제와 관련된 진술들을 추출하여 분류했다. 또한,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주제인 ‘영어독서를 위한 학생참여 중심수업’의 세부요소인 ‘학생 참여’, ‘영어독서 수업’, ‘창의적이고 참신한 수업방법 및 자료 개발’ 목표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 실시한 ‘수업 공개 및 교과협의회’, ‘수업자료 개발 및 공유’, ‘영어독서 동아리 활동’이 각각 기여한 바를 중심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IV. 연구 결과

이 장에서는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대전 소재 고등학교의 수업탐구 교사공동체가 ‘수업탐구’와 ‘교사공동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학교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에 대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인 ‘수업탐구 교사공동체가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수업탐구 교사공동체 안의 리더교사의 지위와 역할’, ‘수업탐구 교사공동체가 교사들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특히 ‘영어독서를 위한 학생참여 중심 수업’이라는 주제에 해당하는 세부 요소들과 관련하여 교사공동체가 학교에 가져온 변화를 중점적으로 살펴 볼 것이다. 여기서 세부 요소는 ‘학생참여’, ‘영어독서수업’, ‘창의적이고 참신한 수업방법 및 자료 개발’이다.

1. 수업탐구 측면에서의 교사공동체
가. 수업공개 및 교과협의회

1차 수업 공개 대상 교사는 본 연구자의 학교에 신규로 발령이 나 5년간 근무하면서 수업에 매우 열의를 갖고 자기계발을 아끼지 않는 교사이다. 2018학년도에 영어교사 심화연수(6개월)를 다녀오고 학생 참여형 수업에 많은 관심이 있는 교사로, 이번 수업 공개 때에는 심화연수에서 경험해 본 학습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표 3. 수업자의 의도 및 방향
대전○○고등학교는 교과교실제의 형태의 일반계 고등학교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학생들은 대학진학에 학교생활기록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내신과 수능, 특히 좋은 내신 등급을 받고자 하는 것에 대한 욕구가 많다. 이로 인하여 기초 교과목에 대한 관심도가 높지만, 사실은 내신 시험에 좀 더 많이 신경을 쓰다 보니 영어 교과 수업은 그동안 진도와 시험을 위한 강의식 수업에 치중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영어 독서학교로 지정이 되고 이를 수업탐구교사공동체 수업에도 적용하게 되면서 단계별 수행평가에 영어 원서 읽기를 적용해 2학기 수행평가로 ‘영어 원서 읽고 난 후 감상평쓰기’를 계획하였다.
Download Excel Table

수업장면에 대해 관찰한 바에 따르면, 평소 학생들이 다독을 한 후에 각자 자신의 책에 나오는 등장인물에 대해 수업시간에 차분하게 떠올리면서 그림과 함께 ‘개요(profile)’를 작성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자신이 정한 책의 등장인물에 대해 정리하는 기회를 주는 개별활동이었다. 개요(profile)에는 등장인물의 이름, 직업, 외모, 성격, 주변사람들, 주요사건 또는 스토리가 포함되며, 인물중심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주사위 게임(dice game)’을 통해 학습지를 채우면서 자신의 ‘개요(profile)’을 한 번 더 복습하도록 하며 친구들의 개요(profile)에 있는 내용까지 다 포함하여 적을 수 있도록 하여 책에 관한 내용을 서로 공유하였다. 또한, 게임을 통해 재미를 주어 학생들이 몰입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다음 활동으로 ‘이야기 각색 활동’은 ‘주사위 판’에 채운 인물들에 관한 정보들로 빈 칸을 범주에 맞게 무작위로 채워 이야기가 새롭게 구성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책 읽기’부터 ‘프로파일 작성’, ‘주사위 게임’, ‘이야기 각색’까지 학생들의 다독 활동이 일관성 있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진행되었다.

jce-23-3-51-g1
그림 1. 영어원서 읽기와 연계된 수업활동(1차 수업공개)
Download Original Figure

본교 교사(9명)을 포함하여 21명의 대전시 교사가 모여 수업을 관찰하였으며, 수업에 대한 협의회를 실시하였다. 컨설턴트(수석교사)와 원어민 교사(수업대표교사 심화연수 지도 원어민)를 포함하여 15년 이상의 경력 교사들이 대부분이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위 <표 4>와 같이 전반적으로 수업에 대한 협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도입-전개-결말의 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창의적인 독후활동(등장인물 프로파일 만들기, 주사위 던져 이야기 창의적으로 만들기 등)으로 학생들의 참여를 유발한 수업이었으며, 수업정리활동으로 학생성과물을 발표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학생 참여를 극대화시킬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수업협의회를 통해 수업공개 교사를 격려하고 칭찬하며 진실한 피드백을 통해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표 4. 수업협의회 내용(1차)
•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재미있고 흥미롭게 디자인 된 실용영어 중심의 훌륭한 수업모델이었음. 교사의 적절하고 친절한 설명 및 시범과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태도가 매우 인상적이었음. 좋은 수업을 위한 교사의 열정이 보임.(배운점)
•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창의적인 학습지와 주사위 등의 다양한 방법의 수업도구를 활용한 점이 좋음. 또한 선생님의 명확한 발음과 속도가 좋음.(배운점)
• 다독을 활용한 수업으로, 각 모둠 안에서 학생마다 자신이 흥미를 갖는 책을 선정하여 읽고 각자의 책 내용에 관한 대략적인 내용을 요약·정리하였으며 ‘주사위 던져 내용 공유하기’를 통해 서로의 책 내용에 대해 알게 됨으로써 다양한 책에 관해 흥미를 불러올 수 있는 활동이었음. 이를 통해 책 읽기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임.(배운점)
• 데스크탑을 사용하다 보니 다소 어려움이 있어 보였고 활동을 다 완수하기에 시간이 부족하였음. 아이들의 구성한 문장의 오류를 잡아주는 방법에 대한 연구와, 학생들의 발표를 통해 모든 모둠원들이 서로의 내용을 경청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추가적인 활동이 필요함을 느꼈음.(도움말)
Download Excel Table

수업공개 교사의 수업은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주제인 ‘영어독서를 통한 학생참여중심 수업’에 잘 부합하는 수업내용이었다. 수업공개자는 본 연구자의 학교에 5년째 근무하며, 영어독서학교 관련하여 동아리 및 수업에 관한 연구를 꾸준히 한 교사로, 그 성과가 그대로 수업에 나타나 편안하게 주제에 부합한 수업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올 해 교사공동체에 속해 있으면서 교사들과 영어독서에 관해 계속적으로 토의 및 협의를 하는 데 기여하는 바가 매우 컸다. 교사공동체 대표수업으로 시작하여 영어독서동아리, 교육과정 속에 녹여낸 영어독서를 활용한 과정형 수행평가 등에서 모두 교사의 열정과 창의성을 엿볼 수 있었다.

교사공동체 교사들은 이처럼 영어독서에 관한 창의성 있는 수업 방법과 수업자료를 개발하여 학생참여 중심의 수업을 이끌어 내는 한 교사의 모습을 관찰하고, 이후에 협의회를 통해 이러한 방법들에 대해 토의하고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서로에게 많은 것들을 배우고 얻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렇듯 1차 수업공개 및 협의회는 교사공동체의 주제인 ‘영어독서를 위한 학생참여 중심 수업’의 세부요소인 학생참여, 영어독서수업, 창의적이고 참신한 수업 방법 및 자료 개발에 모두 기여하였다. 수업공개 교사의 교실에서 일년 동안 시행된 영어독서 과정형 수행평가는 단위학교 교육과정 및 학교특색과도 밀접하여 교사공동체의 필요성을 더욱 자각할 수 있도록 하였다.

2차 수업 공개 대상 교사는 본 연구자의 학교에 3년간 근무하면서 주로 3학년 담임을 맡아 대학수학능력 시험 준비를 주로 시키느라, 영어독서 또는 학생참여중심 수업보다는 주로 강의식 수업을 주로 하는 편이었다. 2019학년도 1학년 담임을 본 연구자와 함께 맡으면서, 학생참여형 수업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으며 영어독서동아리를 함께 운영하는 등 매우 적극적으로 수업연구에 임하였다. 또한 수직적이고 권위적인 학교문화로 인해 힘들어하였으며, 변화와 개혁을 바라는 교사였다.

표 5. 수업자의 의도 및 방향
학교생활 및 개인 인성함양과 상당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여 R.J. Palacio의 ‘Wonder’를 주교재로 선정하고, 독서(원서)활동을 통한 학습동기 신장 방안을 수업 주제로 설정하여 주 1회씩 총 12차시의 프로젝트 수업을 실시하는 과정임. 시험을 통한 평가가 이뤄지지 않는 수업이기 때문에 내신 성적을 매우 중시하는 학생들을 독서활동 수업으로 유도하는 것이 다소 어려웠으나 진정성 있는 영어실력 향상을 근거로 설득하였고 학생들이 잘 따라주었음.
Download Excel Table

수업장면에 대해 관찰한 바에 따르면, 한 달여간 12차시에 걸친 영어독서 장기 프로젝트 수업이었다. 영어원서읽기를 위해 양질의 원서를 소개할 필요성을 느낀 교사는 교재로 ‘Wonder’를 정하였으며, 모든 학생들이 읽기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모둠을 통한 ‘Jigsaw reading’ 을 함으로써 모둠 내에서 무임승차하는 학생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한 개의 반을 4개의 모둠으로 나눠 챕터를 할당하여 빠른 읽기(speed reading)을 하도록 하였으며, 다시 흩어져서 자신이 원모둠에서 읽은 챕터를 새롭게 설명하고 학습지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이 때에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독서 습관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팝송을 틀어 학생들이 잔잔한 음악과 함께 읽기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자연스럽게 만들었다. 학습 전과 학습 후 어휘 소개 및 확인을 하였으며, 원서 이해를 위해 필요한 중요한 핵심단어 위주로 소개하였으며, 학생들이 스스로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책 속의 음식문화를 소개함으로 문화 요소를 습득하도록 하였다. 이렇듯 이 교사의 변화는 매우 컸다. 고등학교 3학년 강의식 수업을 주로 하고 영어교사들과 별다른 교류가 없던 이 교사는 교사공동체를 통해 주입식· 강의식 수업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의 형태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영어독서에 매우 무관심하던 교사에서 영어독서 수업에 임하는 자세가 열정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jce-23-3-51-g2
그림 2. 영어원서 읽기와 연계된 수업활동(2차 수업공개)
Download Original Figure

본교 교사들(6명)이 수업을 관찰하였으며 이후 컨설턴트의 학교 방문일정에 맞춰 본교 영어교사 전원(9명)과 컨설턴트와 함께 모여 수업영상을 한 번 더 보고 수업 협의회를 실시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위 <표 6>와 같이 전반적으로 수업에 대한 협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원서읽기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Jigsaw reading’을 실시한 것과 학생 모두가 한 명도 도태되지 않도록 원서읽기 프로젝트에 참여하도록 이끌어 간 부분에 대한 지지와 격려의 내용이었다. 또한 도움말로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내용 확인 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활동 또한 부가되었으면 하는 바람과 영어수준이 낮은 학생들까지 포용할 수 있는 원서 읽기 수업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졌다.

표 6. 수업협의회 내용(2차)
• 한 달여간 장기 프로젝트인 ‘영어도서 원더 읽기’를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참여를 유발하는 것이 힘든 부분이었음에도, 계속적으로 학생들의 격려를 독려한 점이 매우 좋음.(배운점)
• ‘Jigsaw reading’을 통해 ‘전문가 그룹’을 형성하여 모둠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독서를 함께 하는 습관을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립해 나갔다는 면에서 매우 의미가 있음.(배운점)
• 아쉬웠던 점으로 블록으로 수업시수가 확보되었더라면 좀 더 학생들의 독서수업을 원활하게 이끌 수 있었을 것으로 사료됨.(도움말)
• 한 권의 장편을 읽어 나아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수업의 대부분이 내용확인에 치중되어 있음. 또한 교재로 선정된 책에 사용된 어휘 및 문장구조의 수준이 학생들에게 다소 어려울 수 있어 학생들이 좀 더 쉽고 편안하게 영어 독서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구상할 필요성을 느낌.(도움말)
Download Excel Table

수업공개 교사의 수업은 단지 일회성으로 보여주기 위한 수업이 아니라, 12회에 걸친 장기 프로젝트의 결실이었다. 따라서 교사의 프로젝트를 이끌어가는 열정과 끈기와 인내 뿐만 아니라, 수업에서 고안한 읽기를 위한 장치와 주변 인물 선정, 핵심단어 선정 등을 보았을 때 수업에 대한 오랜 고민을 느낄 수 있었다. 이 교사는 그동안 고등학교 3학년의 강의식 수업을 할 때보다 더욱 생동감 있는 모습을 보였으며,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한 자심감을 보이며 본인 스스로에게 유익한 경험이 됐다고 이야기하였다. 수직적인 학교 문화에는 매우 불편함을 보였던 교사가 수평적인 관계에서의 교사공동체를 통해 별다른 거부감없이 자신의 수업 발전을 위해 스스럼없이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본 연구자가 제시한 교사공동체를 통한 활동이 교사들 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 중요한 단초를 제공하였다.

1, 2차에 걸친 수업공개 외에도 교사공동체 영어과 전교사가 수업공개를 하였으며 관련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위 <표 7>과 같이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에 속한 교사들은 1년 동안 ‘영어독서를 통한 학생참여중심 수업’이라는 주제에 부합한 수업을 하기 위해 고민하며 연구하는 자세를 보였다. 수업탐구공동체와 관련하여 자신이 연구할 주제를 정하여 능동적으로 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3학년 교과 담임 교사는 대학수학능력 시험을 준비를 시키느라 여념이 없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진로와 기본 면접질문과 관련지어 학생활동 중심의 수업을 하려는 노력이 엿보였다. 1, 2학년 교사들의 경우, 도서나 교과서에 중심을 두고 한 단계 더 나아가 창의적이고 참신한 활동 중심의 수업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표 7. 수업탐구 교사공동체 수업공개 활성화
성명 과목 학년 날짜 내용요약
1 문○○ 영어 1학년 6/11 환경오염과 관련된 짧은 영어동화를 시청하고 자원재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토론 후 자원재활용 아이디어 물건의 게시물을 만들어 발표함
2 심○○ 영어Ⅰ 2학년 6/5 책을 읽고 줄거리, 주인공, 사건, 작가, 감상평 등을 중심으로 ‘book report’를 작성함
3 리○○ 영어Ⅱ 3학년 5/16 비슷한 진로를 선택한 학생들끼리 모둠을 형성해 진로를 소개하는 내용을 작성하고 발표함
4 이○○ 영어Ⅱ 3학년 7/12 기본 면접질문(자기소개, 지원동기 등)에 대한 대답을 작성해보고 말해보기 활동을 함
5 김○○ 영어Ⅰ 2학년 5/8 영어 독서활동 후, Reading Log를 작성하게 하고 이에 대해서 감상평과 줄거리를 발표하는 수업을 함
6 박○○ 영어Ⅰ 2학년 5/17 모둠내 협동학습을 통해 글의 순서 및 주제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 제공함
7 이○○ 영어 1학년 11/5 ‘화성에서의 생존’을 주제로 생존필수물품의 순위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그것을 논리적으로 설명해보는 토론수업을 함
8 김○○ 영어 1학년 5/13 자신의 진로희망을 구체화하기 위해 ‘미래 직업 세계’에 대한 토론학습을 통해 모둠별 ‘진로지도(커리어맵)’을 작성함
9 김○○ 영어 1학년 6/7 수업을 통해 영어독서활동을 실시하기 위해 원서를 선정하고 모둠을 구성하여 학생들이 협력을 하며 과업을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책에 대한 더욱 깊이 있는 이해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Download Excel Table
나. 수업 방법 및 자료 개발과 공유

본 연구자의 학교는 2015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라 과정형 수행평가를 3년간 실시하였으며, 이제는 안정적으로 정착되어 학생들이 익숙하게 과정형 수행평가에 임하고 있었다. 수업탐구 교사공동체 에서는 이러한 학교특색에 맞도록 단위학교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영어독서와 학생활동 중심의 수업과 연결지어 과정형 수행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에 속한 2학년 교사들은 자주 협의회를 열어 과정형 수행평가 방안을 고민하며 토의한 결과, 일주일에 한 번씩 학생들을 교내도서관으로 데리고 가서 학생들에게 자신의 수준에 맞는 책을 고르고 책을 조금씩 자신의 속도에 맞게 읽도록 한 뒤 ‘독서일지(reading log)’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수행평가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꾸준한 독서를 유도하였으며, 중간중간 학생 중심의 흥미로운 독서 관련 활동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참여를 극대화하였다. 이러한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활동은 그 주제인 ‘영어독서를 위한 학생참여 중심 수업’의 세부요소들에 모두 기여하는 것이었다.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에 속한 1학년 교사들 또한 협의회를 자주 열고 그 결과에 따라, 1학년 학생들은 고등학교 입학으로 새로운 환경에 접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소 생소할 수도 있는 영어독서활동은 2학기 때 실시하기로 하였다. 1학기에는 진로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기 위해 ‘미래 직업 세계’에 대해 탐색하고 토론학습을 실시하고, 이에 따라 모둠별 ‘진로지도(커리어 맵)’을 작성하고 자신만의 진로희망을 소개하는 말하기 및 쓰기 수행평가를 실시하였다. 2학기에는 과정형 수행평가로서 ‘책 소개하기’ 말하기 수행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도서의 등장인물 중 인상 깊은 이에게 편지 작성하기’ 활동을 쓰기 수행평가로 실시하였다. 이처럼 모든 과정은 수업탐구 교사공동체를 통한 민주적인 논의를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결정된 사항에 따라 모두 능동적으로 움직이고 서로 도움을 주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수업탐구 교사공동체는 영어독서학교라는 학교특색에 맞게 단위학교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그림 3>, <그림 4>와 같은 수업자료를 교사들간의 협력으로 함께 개발하여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과정형 수행평가가 보다 특색있고 창의적으로 이뤄지고, 교사들 간의 상호협력관계가 안착되는 것을 지켜볼 수 있었다.

jce-23-3-51-g3
그림 3. 영어원서 읽기와 연계된 영어쓰기 수업자료(과정형 수행평가)
Download Original Figure
jce-23-3-51-g4
그림 4. 영어원서 읽기와 연계된 영어말하기 수업자료(과정형 수행평가)
Download Original Figure
다. 영어독서 동아리 활동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에 속한 교사 중 영어독서동아리를 맡게 된 교사는 본 연구자(경력 18년)와 10년여 경력의 교사와 본교에 신규교사로 부임하여 5년 경력의 교사 이렇게 3인의 교사이다. 영어독서학교이기 때문에 이전부터 영어독서 자율동아리 등의 형태로 매년 본 연구자가 담당해왔으나, 올해는 정규 교육과정 속의 동아리 형태로 운영하기 위해 정규 동아리로서 학생들을 모집하였다.

본교는 학생들의 영어능력이 높지 않은 편으로 영어독서동아리에 들어와서 영어원서를 읽을 만큼 영어에 대한 열의가 높은 학생이 많지 않은 편이다. 그동안은 영어를 잘하고 학업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정규 동아리 외에 자율동아리로서 영어독서동아리 활동을 했기 때문에 수요가 있었지만, 막상 정규 동아리로 모집했을 때에는 영어능력이 높은 학생들이 지원한 것이 아니라, 대부분 영어에 대한 호감 때문에 온 것이었다.

교사 3인은 이번 동아리의 운영 방향과 동아리 연간 계획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자는 그동안의 경험에 바탕을 두고 동아리 연간 계획 구상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었다. 학생들의 영어능력을 고려할 때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를 유지· 발전시키기 위하여 영어원서읽기와 함께 문화 관련 활동 중심의 동아리 연간 계획을 제안하였다. 예를 들어, 영미문화와 우리 문화의 차이점과 공통점, 추수감사절, 할로윈, 크리스마스 등을 다루기로 하였다. 또한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리더로서 서로의 아이디어를 경청하고 수용하는 분위기로 이끌었으며,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주제인 ‘영어독서를 통한 학생참여 중심 수업’의 세부요소에 따라 학생참여, 영어독서, 창의적이고 참신한 수업방법 및 자료 개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른 두 교사를 이끌었다. 이에 따라 경력이 가장 적은 교사는 영·미권 문화에 관심을 갖고 창의적인 톡톡 튀는 활동을 고안해 내었으며 1년간 동아리 활동에서 실질적인 기여를 많이 하였다. 10년여 경력의 교사는 학생들의 ‘영어읽기 능력 향상’에 관심이 많아 학생들이 조금이라도 더 시간을 내어 책을 차분하게 읽도록 하는 데 기여하였다.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교사 3인의 팀티칭으로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하여 혼자서 동아리를 이끌고 지도했을 때보다 훨씬 효율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2. 교사독서동아리로서의 교사공동체

현재 많은 시도에서 교사공동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교사공동체 운영 방안 중 많은 방법 중 하나가 ‘독서모임’의 운영이다. 본 연구자가 교사연구회, 교사공동체, 연구학교 등에 몸담고 있으면서 관찰한 바로는 리더 역할을 하는 교사가 회원들에게 주제에 관련된 책을 예산 등을 이용해 사도록 하고 그 책에 대해 읽고 토론하는 형식의 모임이다. 하지만 주제가 명료하지 않거나, 명료한 주제가 있다 하더라도 교사들이 불가피하게 정한 주제로 주제 자체에 관심이 없는 경우에는 독서모임의 운영이 명목상으로만 이뤄지기 쉬운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교사독서동아리에 대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교사공동체의 리더로서 교사들이 읽어야 할 필요가 있는 도서 분야와 그에 따른 도서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교사공동체를 위해 고려한 도서 분야는 심리, 독서교육, 교육방법, 수업, 교육혁신 등이었으며, 이러한 분야를 선정한 이유는 모두 교사공동체의 주제와 맞닿아 있는 주제들이고 교육, 학생, 수업과 밀접한 분야이기 때문이다.

1차 교사공동체 독서모임에서 다수의 교사가 읽고자 하여 정한 책은 ‘아들러의 심리학을 읽는 밤’이었다. 이 책의 선정이유는 학생들의 행동 기저에 있는 심리상태를 파악하는 데에 대한 조언을 얻고, 이를 통해 학생들과 생기는 갈등을 심리학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해결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위 <표 8>와 같이 교사들은 이 책을 통해 학생을 바라보는 다른 시각에 신선한 충격을 받고, 그동안 지녀왔던 학생들을 바라보는 관점이 조금씩 변화되는 내용에 대해 토의하였다. 1차 독서모임을 통해 교사공동체 교사들은 책을 통해 배운 점을 수업에 적용하며 학생들의 심리를 파악하고 존중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후기를 남겼다.

표 8. 독서토론실시 결과(1차)
참석자 독서 후기 내용
김○○ 지금껏 학생들에게 교사 중심의 사고를 갖고 행동함으로써 학생의 문제행동 기저에 있는 원인에는 관심을 갖지 못했다는 점을 반성하게 됨.
이○○ 학생의 행동을 바라볼 때 원인론이 아닌 목적론을 바탕으로 바라보는 아들러의 시각이 교육의 영향력과 가능성을 크게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줌.
문○○ 책을 읽고 학생을 바라보는 시각이 바뀌는 것을 경험하였고, 수업이나 지도하는 과정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줄어들면서 교사와 학생 모두가 행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됨.
김○○ 일반적인 심리학 지침서와는 달리 칭찬을 긍정적으로 보지 않는 아들러의 관점이 상당히 흥미로우며 성격이라는 용어 대신 ‘라이프스타일’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사람의 개인적 특성과 행동도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함.
심○○ 아들러의 생애와 그의 가치관에 대해 읽으면서 그는 학자이기에 앞서 마음이 따듯하며 다른 사람들의 마음에 진심으로 관심을 갖고 도와주고 싶어하는 사람이라고 느낌.
Download Excel Table

2차 교사공동체 독서모임 협의 계획은 학생지도와 교사의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될 만한 책을 추천받아 선정하여 소감을 공유하기로 하였다. 그동안 교사들이 지녀왔던 학생들을 대하는 방법에 대한 선입견을 깰 수 있는 책이며 학생들의 원서 읽기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기 위해 청소년 소설인 원서 ‘No Talking’으로 선정하였다. 이 도서의 내용은 학교에서 학생들이 벌인 침묵의 시합을 통해 말의 힘과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이야기이다.

위 <표 9>와 같이 교사가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규칙 준수를 요구하고 교사와 같은 생각을 강요하는 것에 대한 경종을 울리는 책이며, 이를 지시적으로 전달하는 책이 아니라 이야기를 통해 간접적인 경험담을 들려주기 때문에 교사들 모두 느끼는 바가 많았다는 것이 이번 독서모임의 후기였다. 또한 원서읽기를 직접 함으로써 학생들이 원서를 읽는 데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예상하고, 수업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교사들이 북클럽을 만들어 함께 원서를 읽고 모여서 감상을 나누는 등의 독서토론을 함으로써, 창의적인 사고과정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여러 수업 방안 예를 들어 토의 토론, 프로젝트 활동, 문화 체험 등에 대해서도 모색할 수 있었다. 또한 영어원서를 통한 독서토론의 수업방향이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즉 비판적 사고능력, 창의성, 소통능력, 협업능력과 부합한다는 것도 발견할 수 있었다.

표 9. 독서토론실시 결과(2차)
참석자 독서후기 내용
박○○ 학생들이 스스로 만든 규칙에 책임의식을 갖고 지켜나가는 모습이 인상 깊었음.
리○○ 교사라는 이유로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규칙 준수를 강요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행동하기를 바라는 것은 부당하다고 느낌.
이○○ 학생들은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깊은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책임감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됨.
Download Excel Table

3차 독서모임은 개별도서를 선정하여 각자의 책 후기를 공유하는 활동이었다. 1, 2차 모임을 통해 서로 마음을 열고 마음 편하게 토의를 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된 뒤이기 때문에 어려움 없이 진행되었다.

표 10. 독서모임 후기(3차)
성명 도서명 소감
1 문○○ 한 권으로 읽는 4차 산업혁명 바쁜 학교생활에서 여유가 없을 때, 교사들과 함께 책 이야기를 나누면서 학교에서 항시 급박하게 처리하는 행정업무에서 벗어나 힐링 받는 경험을 함.
2 심○○ 아들러의 인간이해 심리에 관한 책을 읽고, 교실에서 겪은 학생들과의 갈등 상황에 대해 교사공동체 내에서 이야기하면서 학생들 입장에서 그들의 심리를 이해해 보려는 노력을 함께 모색해 봄. 교사공동체 독서토론을 통해 학생과의 갈등 고민은 나만의 고민이 아니고 모두가 겪는 문제라는 것을 느끼게 됨으로써 위로와 위안을 받음.
3 리○○ 아이를 위한 하루 한 줄 인문학 아이에게 매일 한 줄씩 읽어주기 위한 인문학 도서를 구매하고 이러한 방법을 실천한 내용을 교사공동체 내에서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아이 키우는 노하우가 동료교사들에게 힘이 되었다는 점에 뿌듯함을 느낌.
4 이○○ Cicada 사회현실을 반영한 영어 동화를 교사공동체 내의 교사들에게 소개함으로써 창의적이고 참신한 소재와 그림의 세계를 나누게 됨. 학교에서 일적인 부분이 아닌 책을 읽고 토의하는 만남이 교직생활에서 처음 겪는 새로운 경험이었으며 이런 모임을 자주 갖고 싶다는 소회를 밝힘.
6 이○○ We need to talk: How to have conversations that matter 평소 학생과의 대화에서 나의 의도를 정확히 전달하고 불필요한 오해를 유발하지 않으려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어려움을 느꼈음. 교사들과의 관계에서도 어려움을 느꼈으나, 교사공동체를 통해 지속적인 만남을 유지함으로써 오해가 조금씩 풀리는 경험을 하게 됨.
7 김○○ 사춘기로 성장하는 아이 사춘기로 어긋나는 아이 사춘기 아이들을 키우면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는 책을 읽고 교사공동체 내에서 함께 그에 관한 방법을 공유하면서 그동안 교사들 간에 쌓였던 벽이 허물어지고 진솔한 내면의 고민을 함께 나누는 경험을 함.
Download Excel Table

특히 가정에서 아이들을 키우면서 겪는 어려움을 나누며 서로 조언을 주고 받으면서 더욱 허물없이 얘기를 터놓고 할 수 있었으며, 서로의 개별 관심사를 알게 됨으로써 활발한 대화의 물꼬를 트는 또 하나의 기회가 되었다.

교사공동체의 한 교사(경력 4년)는 교직사회에서 행정일과 수업 외에 이렇게 독서모임을 통해 힐링받는 경험은 처음이었다는 소감을 밝히며, 독서모임을 통해 교사가 위로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 교사는 본교에 부임하여 계속 3학년 담임을 맡고 동료 교사와의 갈등, 학생과의 갈등 속에서 고뇌하면서도 교사간의 소통의 부재 속에서 고립되어 있는 모습을 보였으나, 교사공동체의 모임을 통해 차분하게 자신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나누는 과정에서 조금씩 치유되는 모습을 보였다. 처음에는 마음의 문을 닫고 교사공동체에 대한 강한 회의감을 비쳤던 경력 교사들도 이러한 독서모임 교사공동체를 통해 마음의 위안을 얻고 다시 교육 현장에서 부딪치며 나아갈 힘을 얻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처럼 교사독서동아리로서의 교사공동체는 교사 개인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여러 갈등과 어려움을 토로하고 함께 나눔으로써 이를 통해 교사들 간의 벽이 허물어지고 서로 가까워지는 계기의 장이 되는 것이다.

V.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자는 대전 소재 고등학교에서 수업탐구 교사공동체 연구 참여자로 활동하면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면서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영어 독서활동 중심의 수업탐구 교사공동체 활동이 교사들의 수업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가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에서 연구 참여자로 활동하면서 주안점을 두었던 ‘교사공동체의 운영방법에 따른 수업역량 강화에 미친 영향’, ‘리더교사의 지위와 역할’, ‘교사들 간의 관계 형성’ 등에 대해 나타난 연구 결과를 언급하고, 앞으로 교사공동체가 나아가야 할 성격과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수업탐구 교사공동체 활동 운영이 교사들의 수업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학교의 교육과정 속에서 이뤄지는 수업은 학생의 배움과 직결된 가장 중요한 일이며 학교의 그 어떤 일보다도 등한시 되어서는 안 되는 부분이다.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사토 마나부, 2006)’에 따르면, 교실을 배움의 공동체로 재구축하는 일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배움공동체로서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 교내연수’의 정착이 시급하다고 한다. 교내연수의 목적이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있다면 그 전문성은 다름 아닌 ‘수업 전문성’으로 결집 되어야 하며 수업 전문성은 이론이 아닌 전문가 교사들이 매일 실천하고 있는, 즉 수업사례로부터 쌓아가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다양한 수업사례를 통해 연구하고 협의함으로써 수업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는 교사공동체 구축의 필요성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 공개 및 협의회, 수업 방법 및 자료 개발, 학생동아리 활동을 교사공동체 구축을 통해 교사들이 함께 해 나감으로써, ‘영어독서를 토한 학생참여중심 수업’을 주제로 하는 교사공동체의 세부요소인 ‘학생참여’, ‘영어독서수업’, ‘창의적이고 참신한 수업방법 및 자료개발’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었다. 이는 영어독서와 관련된 수업역량에 있어서 교사공동체에 속한 교사들이 서로 성장할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바에 따르면 교사공동체의 수평적인 교사 관계를 통해 교사들은 수업을 공개하는 데 있어 압박감이 아닌 자발적으로 열의를 갖고 임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교사공동체에서 열린 협의회에서 민주적인 의사 결정 절차에 따라 과정형 평가인 영어독서 활동의 논의가 이뤄짐에 따라 교사들이 더욱 적극적인 참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교사공동체에 속한 전 교사가 교사공동체의 방향에 따라 수업 주제를 정하고 그에 맞도록 일관성 있게 일 년 동안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줌에 따라, 수업탐구 교사공동체는 수업 역량 강화에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독서동아리 운영에 있어서 교사공동체 3인의 교사가 함께 맡아 서로의 생각을 경청하고 수용하는 방식으로 팀티칭을 함으로써 각자의 수업역량의 장·단점을 보완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둘째, 수업탐구 교사공동체 운영에 있어서 리더 교사의 지위와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수업탐구 교사공동체는 의지가 없고 방법을 모르는 리더가 맡아서 운영하게 되면, 사실상 명목상으로만 운영되기 쉬운 사각지대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운영에 있어서 이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리더가 절실한 상황이다. 그렇다면 리더 교사의 역할은 무엇일까? McLaughlin & Talbert (2006)은 학교 내 학습공동체 조직 시,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초기 단계에서 ‘공동체 조정자 (community coordinator)’의 역할을 강조한 바 있다. 단위학교 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수업컨설팅 사례 연구(홍정순, 장환영, 2017)에 따르면 참여형 수업연구를 위해 실시했던 많은 협의회에서 보여지는 개별 책임, 동등한 참여, 판단유보를 통한 비판 금지, 균형있는 관찰 태도 등은 기존의 권위적이고 소극적이던 협의 분위기를 하나씩 변화시키고 있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자가 참여한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에서 리더의 지위는 단지 교과부장으로 학교의 부장 보직을 담당하지도 않았고 1학년 담임교사를 맡고 있었기 때문에 타 교사들과 수평적인 관계에 있었다. 같은 교사공동체에 속한 교사들은 지위에 의한 권위에 대해 불편을 느낄 필요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보다 수평적인 교사 간의 관계 속에서 교사독서동아리 활동을 통한 심리적인 지원을 통해 교사들은 경직되었던 마음을 열 수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바는, 본 연구의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에서 다뤄진 수업공개 및 교과협의회, 수업방법과 자료개발, 동아리 활동은 리더교사가 단위학교 특색 및 교육과정에 따라 전체적인 틀을 짜고 계획과 방향을 제시하여 이끌어간 것으로, 리더교사의 전문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공동체를 통한 교사독서동아리 활동이 교사들 간의 관계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교사의 일은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특징을 지니는 것으로, 학생들을 만나고 수업을 하고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등의 과업이 반복된다(Fullman & Hargreaves, 1996). 이러한 반복적인 일상 업무를 처리하다 보면 교사들은 매너리즘에 빠지고 매사에 의욕과 헌신이 낮아질 수 있다. 내부로부터의 학교 변화: 학교 안 교사공동체의 형성 및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박나실외 2인, 2015)에 따르면,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인 독서모임을 통해 형성된 교사들 간의 연대 의식이나 동료 의식은 교사들에게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해 볼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며, 학교를 변화시키는 데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교사독서동아리에서 함께 책을 읽는 토론하는 경험을 통해 공통의 관심사를 구축하고 이러한 신뢰감에 바탕을 두고 자신의 이야기까지 풀어낼 수 있는 장을 만듦으로써, 교사들의 관계 형성 및 회복에 기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새롭게 밝혀진 바는, 교사들이 북클럽을 만들어 함께 영어원서를 읽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과정을 이끌어낼 수 있는 여러 수업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으며, 이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이는 교사독서동아리와 수업탐구 공동체가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교사공동체가 구축될 때, 교사공동체가 효율적으로 수업역량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자의 연구가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하나의 예시가 되어 앞으로의 교사공동체의 발전 방향에 기여할 수 있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학교 안의 영어과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에 초점을 두어 사례 연구를 하였기 때문에 타 과목의 교사공동체를 포괄하여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본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로 교사공동체에 참여했기 때문에 자료 분석 과정에서 분석의 타당도가 신뢰도가 확보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추후 더욱 다양한 수업탐구 교사공동체의 연구가 지속되어 수업탐구 교사공동체를 전문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는 바이다.

참고문헌

1.

경기도교육청(2012). 혁신학교 기본문서. 경기: 경기도교육청.

2.

곽덕주, 강대중, 박현정, 소경희, 이선영, 정동욱, 조영환(2016).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 서울: 교육과학사.

3.

곽영순(2015). 교사 학습공동체의 발달 단계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8(2), 83-104.

4.

곽영순, 임수연, 민재원, 백인화, 안수해(2014). 교사의 학교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강화 방안(Ⅱ) (연구보고 RRC 2014-9).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곽영순, 김종윤(2016).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의 특성과 과제. 교육과정평가연구, 19(1), 179-198.

6.

박나실, 장연우, 소경희(2015). 내부로부터의 학교 변화: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의 형성 및 발달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과정연구, 33(4), 91-114.

7.

사토 마나부(2006).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에듀케어.

8.

홍정순, 장환영(2017). 단위학교 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수업컨설팅 사례 연구. 교육공학연구, 33(1), 173-205.

9.

Dufour, R., & Eaker, R.(1998).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t work: Best practices for enhancing student achievement. Indiana: National Educational Service.

10.

Dufour, R. (2004). What is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Educational Leadership, 61(8), 46-53.

11.

Fullan, M., & Hargreaves, A.(1996). What’s worth fighting for in your school.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2.

Grossman, P., Wineburg, S., & Woolworth, S. (2001). Toward a theory of teacher community. Teachers College Record, 103(6), 942-1012.

13.

Hord, S. M. (1997).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What are they and why are they important? Austin, TX.: Southwest Educational Development Laboratory (SEDL).

14.

Levein, T. (2010). Tools for the study and design of collaborative teacher learning: the affordances of difference conceptions of teacher community and activity theory. Teacher Education Quarterly, 37(1), 109-130.

15.

McLaughlin, W., & Talbert, J.(2006). Building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fessional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6.

Meiklejohn, A. (1932). The experimental college. New York: Harper & Row.

17.

Newmann, F. M. (1996). Authentic achievement: Restructuring schools for intellectual quality. San Francisco: Jossey-Bass.

18.

Porter, T. (2014).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teacher self-efficacy. Doctoral dissertation at the Georgy Fox University.

19.

Scribner, J., Cockrell, K., Cockrell D., & Valentine, J. (1999). Creating professional communities in schools through organizational learning: an evaluation of a school improvement process.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35(1), 130-160.

20.

Servage, L.(2008). Critical and transformative practice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eacher Education Quarterly, 35(1), 63-77.

21.

Stamper, J. C. (2015). A study of teacher and principal perception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Doctoral Dissertation at the University of Kentuc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