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교사의 실행도 종단연구1)

구경호1, 김석우2,
Kyung-Ho Koo1, Suk-Woo Kim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부산대학교 박사과정
2부산대학교 교수
1Doctoral Candidate, Pusan National University
2Professor, Pusa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Suk-Woo Kim, swkim@pusan.ac.kr

ⓒ Copyright 2017,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an 04, 2017 ; Revised: Feb 03, 2017 ; Accepted: Feb 14, 2017

Published Online: Feb 28, 2017

요약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 운영을 직간접적으로 3회 이상 담당하여 실시한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3년 동안 종단자료를 수집하고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의 자유학기제 실행도 변화궤적에 영향을 주는 교사관련 변인으로 자유학기제 운영경험, 보직여부, 교직경력, 자유학기제 관련 인식차이, 그리고 연수유무 등을 설정하고 이 변인들이 자유학기제 실행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교사들은 2014부터 2016년까지 설문에 참여한 104명 이었으며, 매년 이들의 자유학기제 실행도를 조사하여 시작값(intercept)과 변화값(slope)을 구하였다. 그리고 예측변인에 따라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 기울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무조건 모형을 통해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는 매년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조건모형을 통해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과 변화값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교사의 자유학기제 필요에 대한 인식과 연수유무 및 자유학기제 운영 경험은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에 영향을 미쳤으나 변화값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 외 교사의 보직여부 및 교직경력은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와 변화값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즉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자유학기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이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연수경험, 운영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에 미치는 교사관련 변인을 종단적으로 연구하여 성공적인 자유학기제 실행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s levels of use for ‘free semester’ based on latent growth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4 middle school teachers in Busan and Changwon who were admitted in 2014 and took 3 consecutive year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average of middle school teachers’ levels of use for ‘free semester’ changes as the number of completed years increases based on the estimates of intercept and slope. More precisely, it was analyzed if intercept and slope of average levels of use for ‘free semester’ were different between perception for ‘free semester’, training frequency, experience of operation for ‘free semester’, educational career and higher job pos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cept was different between perception for ‘free semester’, training frequency, and experience of operation for ‘free semester’, but teacher’s educational career and higher job positio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raising the improvement on the teacher’s levels of use for ‘free semester’.

Keywords: 자유학기제; 실행도; 종단연구
Keywords: free semester; middle school teacher’s levels of use; longitudinal study

Ⅰ. 서론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인 국제 수학·과학 학업 경향에서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의 학업성취는 수학 세계 1위, 과학 3위였고 학습 흥미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수학의 경우 8%, 과학의 경우 11%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교육부, 2013). 2012년 OECD의 PISA(The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에서 65개 회원국의 15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업성취도 연구결과에서 우라나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수학과 읽기는 3~5위, 과학 5~8위 등의 상위권 지표를 보였으나 학습 흥미도와 학생 생활 행복도 등의 정의적 영역에서는 하위권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OECD, 2014). 이는 초등학교 이후 중학교 교육과정에 들어선 학생들이 자기이해와 탐색을 바탕으로 직업과 자아성장을 추구하기 보다 입시위주의 전통적인 교육방식과 과도한 서열화 경쟁에 내몰리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성취위주의 교육방식은 학생의 낮은 행복도와 학습 무기력 문제 등의 발달적 문제를 일으키며(김대현, 김현주, 2003; 남궁지영, 김위정, 김양분, 2012),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과 같은 미래역량강화에 초점을 맞추는 세계적 흐름에도 맞지 않아 교육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맞춰 등장한 것이 중학교 자유학기제이다.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교육과정 중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중간·기말고사 등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수업 운영을 토론, 실습 등 학생 참여형으로 개선하고 진로탐색 활동 등 다양한 체험 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제도이다(교육부, 2013). 일반학기와 다른 자유학기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가 맞춤형 학습을 통해 자신의 성장을 최대한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학생들의 다양성을 존중하며, 배려와 협력의 학습 환경에서 학생들의 꿈과 끼를 살려주는 행복교육과 창의교육을 실천하고자 추진되었다(교육부, 2013). 중학교 교육과정을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시험 부담과 평가를 경감하여 학생이 학습의 중심이 되는 수업을 실시하고 자신들의 적성과 진로를 찾아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려는 것이다. 즉, 자유학기제의 목표는 학생이 학습의 주체가 되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와 정체성을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있다.

학생의 진로탐색과 다양한 체험활동을 위해 자유학기제의 교과과정은 일반학기와 달리 교과 학습이 중심인 공통과정과 학생의 흥미와 관심사에 기초한 창의적 체험활동이 중심을 이루는 자율과정으로 구성된다. 자율과정은 자유학기제로 인하여 새롭게 도입된 개념이다. 자율 과정은 기본적으로 교과 수업에서 다루지 않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학생의 학습 내용 범위를 확대하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교육부 정책 시범학교 운영 계획에서는 자유학기제의 자율과정 구성을 단위학교별로 초점을 두는 활동이 무엇인가에 따라서 진로탐색 활동, 동아리 활동, 학생선택 프로그램, 예술․체육 활동 등으로 초점을 두어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중점 활동유형과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4가지 중점 모형으로 나눈다. 즉, 진로탐색활동, 예술 및 체육활동, 동아리활동, 학생선택 프로그램 모형 등으로 특화하여 운영되어 왔다(교육부, 2015).

자유학기제는 시행 초기부터 4가지 중점 모형을 운영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프로그램과 부실한 커리큘럼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다양한 커리큘럼과 프로그램을 유지하기에는 외부강사, 협력기관 및 프로그램 등이 매우 부족하여 부실한 운영, 성과주의 운영이라는 지적도 있었다. 이런 부분을 해소하고자 교육부는 중앙부처, 민간기관, 대학 등과 자유학기제 진로체험협의회를 구성하고 진로 체험처와 프로그램을 확충하고 내실화 하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그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은 여전히 지역에 따른 프로그램의 질적·양적 차이로 인해 여전히 일선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순수한 선택권이 보장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프로그램 공급자의 참여가 강요당하는 경우도 없지 않다(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15). 시행 4년차를 맞이하여 2016년부터 모든 중학에서 전면 시행되고 있는 자유학기제는 이러한 일련의 문제들로 인해 일선 담당 교사들에게 업무 부담을 안기고 있다. 이러한 일선 교사들의 겪는 문제들은 자유학기제라는 새로운 교육정책에 대해 교사들이 긍정적 인식을 가질 수 있음에도(홍후조, 임유나, 장소영, 2013), 그 실천에 대해서는 소극적으로 머물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기존의 자유학기제 관련 연구들도 자유학기제에 대한 교사·학생·학부모 등의 인식연구을 통해 교사들이 자유학기제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만족도는 매년 지속적 증가를 보여 왔음을 알 수 있다(최상덕, 2014; 홍후조, 임유나, 장소영, 2013). 교육부(2015)도 자유학기제 성과 및 계획 발표를 통해 자유학기제 시행 3년 동안 학교 현장에서의 ‘참여와 활동 중심의 수업’에 대한 학교생활 만족도의 향상과 정책에 대한 공감대가 크게 확산되었다 보고한다. 하지만 긍정적 인식에 비해 실제적인 교사들의 실행도가 어떠한지 보여주는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며, 또한 교육정책 실행도를 높이는 관련 변인을 함께 탐색한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다.

교육과정 분야에서 새로운 교육정책 개발 뿐 아니라 실행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이후로, 이전과 비교하였을 때 교육정책 실행에 관한 연구에 관심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주체가 되는 교사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교육정책은 그 생명력이 약한 것을 주지시키며, 새로운 교육정책에 대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이경진, 김경자, 2005). 교육정책 생성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 작용을 중시하는 관점은 새로운 교육 정책은 학생과 교사에 의해 만들어지는 교육적 경험이라고도 한다(Snyder, Bolin & Zumwalt, 1992).

자유학기제라는 새로운 교육정책이 어느 듯 시행 4년차를 맞이하여 전국 중학교를 대상으로 전면시행을 실시하고 있는 이때에, 자유학기제라는 새로운 교육정책의 올바른 현장적용과 지속적 성공을 위해 일선 교사가 교육현장에서 가지는 자유학기제 실행에 대한 실행수준을 알아보는 연구는 그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지금까지의 자유학기제 관련 선행연구들이 보고한 바와 같이 교사, 학생, 학부모 등의 자유학기제 관련 인식도가 긍정적이었던 만큼 일선학교에서의 자유학기제 실행도 또한 얼마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지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새로운 정책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일선교사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교사의 실행도를 돕는 교사 관련 요소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기존의 교육정책과 교사 실행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김석우, 이대용, 강영이, 2011; 박관현, 2013; 장재혁 외, 2015)이 언급한 바와 같이,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주체가 되는 교사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면 새로운 정책의 실행도가 낮아지는 것을 고려하여 자유학기제와 관련된 교사 관련변인을 탐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3년 동안의 누적된 종단 자료를 통해 중학교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 실태를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의 새로운 정책과 교사 실행도 관련 연구들에서 제시한바와 같이 교사의 실행도를 예측하는 관계변인으로 어떠한 교사관련 변인들이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담당하여 실시한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3년 동안 종단자료를 수집하고 잠재성장모형 방법으로 분석을 하였다.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와 관련변인들을 3년 동안의 종단적 자료를 통해서 살펴보는 것은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더욱 높여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교사들의 자유학기제 실행도 변화궤적에 영향을 주는 교사관련 변인으로 성별, 자유학기제 운영경험, 보직여부, 교직경력, 자유학기제 관련 인식차이, 그리고 연수유무 등을 예측변인으로 설정하여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자유학기제 운영경험, 보직여부, 교직경력, 자유학기제 관련 인식차이, 및 연수유무는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교사의 자유학기제 운영경험, 보직여부, 교직경력, 자유학기제 관련 인식차이, 및 연수유무는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변화값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중학교 자유학기제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교육 교정 중 한 학기 동안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등 학생들이 시험부담에서 벗어나 자신들의 꿈과 재능을 찾을 수 있도록 유연하게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제도이다. 자유학기제를 실시하는 한 학기 동안의 교육과정은 실습, 토론 등의 참여형 수업과 진로탐색 활동 등의 체험활동이 가능하도록 운영된다(교육부, 2013).

중학교에 자유학기제가 도입된 배경으로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전환되면서 학생들이 수업과 평가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을 겪게 되는 가장 커다란 문제 중의 하나가 바로 지필시험을 위한 강의 위주의 교과 수업이기 때문이다 (정영근 외, 2014).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화는 학생들에게 발달 초기에는 더 큰 변화로 다가올 수 있어, 중학생의 학교 교육과정 적응에 대한 각별한 배려가 필요하다(김대현, 김현주, 2003).

자유학기제 도입된 사회적인 원인으로는 지나친 경쟁과 입시교육을 대신할 방안을 촉구하는 사회적 요구가 있다. 중학생 행복에 대한 관심과 진로연계 교육과정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는 교육계의 요구, 그리고 정치적 배경, 마지막으로 세계적 교육 개혁의 흐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신철균, 황은희, 김은영, 2015). 지나치게 집중된 입시 위주의 한국 교육현실 개선의 필요성과 학생들의 진로와 현재 학교 시스템의 교육 내용이 직접적으로 연계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를 인식하고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최근에 학생들의 낮은 학습 동기, 교과에 대한 흥미와 미래 진로에 대한 낮은 관심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 대안적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언급되기 시작했고 신철균 외(2014)는 자유학기제 시행을 통해 입시위주의 교육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학생의 소질과 끼를 일깨우는 행복교육에 일조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자유학기제를 실시함으로써 현재 중학생들이 겪는 정체성 혼란과 낮은 행복감을 회복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중학교 학생들은 정체성을 확립할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적성, 능력에 대해 탐색, 흥미 등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시간과 계기가 부족하였다. 교육부(2013)의 자유학기제 정책의 시행으로 중학교 교육과 정 중에서 한 학기 정도 학생들이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 등 시험의 부담에서 벗어나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적성, 흥미, 능력에 대해 탐색하고 고민할 시간을 보장하겠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선진국에서의 교육의 방향도 청소년들에게 새로운 환경 적응과 함께 적성과 진로를 탐색 할 수 있는 특정 계기를 제공하고, 지식에 대한 일방적인 수용과 암기보다는 미래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 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세계적인 교육방향에 맞추어 입시위주의 틀에 박힌 교육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미래형 인재 양산을 위해 자유학기제를 시범적으로 도입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자유학기제의 추진 목적을 두 가지로 요약하자면 첫째, 중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꿈과 끼를 찾으며, 자신의 미래와 진로 적성을 탐색하고 설계하는 경험을 하게하는데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지속적인 자기성찰과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둘째, 지식과 경쟁이 중심이 된 교육을 미래지향적 역량 함양이 가능한 교육으로 전환하여 공교육을 변화시키고 신뢰를 회복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이 행복한 학교생활을 제공하는 데 있다.

2. 자유학기제와 교사의 교육정책 실행도

새로운 교육정책은 일선 교사 주도가 아니라 교육전문가들과 관료 주도로 만들어지고 일선 학교로 내려온다. 하지만 새로운 교육정책의 성공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일선교사가 얼마나 정확하게 그 정책에 대해서 이해하고, 필요에 대해 인식하는지와 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김은주, 양무열, 김대현, 2010).

교육정책 실행은 교육과정운영이라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며 개발된 교육과정을 학교와 교실에서 실천에 옮기는 과정을 의미한다. 교육과정 개발이 교사 중심의 학교 안에서 이루어지든지, 또는 교육전문가와 교육관료 주도로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든지 간에 교육과정 운영은 이행(implementation)과 창조적 실행(enactment)의 양 극단 속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이행이란 법으로 정한의무를 행동으로 옮김과 같이 외부의 요구에 의하여 성과를 내기 위하여 행동하는 것을 말하며, 창조적 실행은 자발적인 행위를 통하여 무엇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의미한다(김대현, 2011).

교사의 교육정책 실행 정도를 관심기반 실행모형(CBAM)에서는 실행도라 하며, 관심도와 함께 측정도구로 구성하였다(Hall & Hord, 2013). 관심기반 실행모형(CBAM)의 실행도 개념은 사용자가 새로운 교육정책을 실행하는 행동을 측정하는 것이다. 즉, 실행자가 실제로 새로운 정책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를 조작적 정의로 구성된 측정으로 규명하려는 것이다. 실행도는 교사가 새로운 교육과정이나 교육프로그램을 실제 수업에서 실행하고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교사들의 실행도를 측정하기 위한 자기 보고식 질문지는 Hall & Hord(1993)의 이론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이를 5가지 수준과 구체적 실행 내용으로 나누고 있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실행 수준(non use)이며, 이는 교육과정의 각 영역에 대해 교사가 전혀 알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둘째, 초기적 실행(initial use)이며, 교육과정에 대해 교사는 이해하기 시작했고 교실에 이를 최저 수준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말한다. 셋째, 기계적 실행(mechanical use)이며, 교사는 새로운 교육과정을 자신이 어떻게 실행했는지 돌아보지 않고 단계적 교육과정을 실행으로 옮기는 것이며, 이때 실행된 교육과정은 학생보다 실행자인 교사의 필요에 의해 행해진 상태이다. 실행자인 교사는 우선적으로 교육과정 실행에 요구되는 단계적 업무들을 익히는데 노력하나, 실행은 대체로 체계적이지 못하고 기계적으로 이루어진다. 넷째, 효과적 실행(effective use)이며, 교사는 이때 새로운 교육과정의 근본 내용을 충분히 알고, 장기적인 교육과정 목표를 이루기 위해 각 교육과정의 영역들을 적용하는 상태이다. 새로운 교육정책에 대해 기계적 실행이 아니라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단계이다. 다섯째, 창의적 실행(innovative and creative use)이며, 교사는 새로운 교육과정을 충분한 이해하고, 각 교육과정 하위영역들을 학생 개인과 학습 상황에 맞도록 통합하고 수정하는 상태이다. 새로운 교육정책에 대해 혁신적이고 창의적으로 실행하는 단계이다(김경자, 1993; Hall & Hord, 2013).

교육과정 분야에서 새로운 교육정책 개발 뿐 아니라 실행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이후로, 이전과 비교하였을 때 교육정책 실행에 관한 연구에 관심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주체가 되는 교사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교육정책은 그 생명력이 약한 것을 주지시키며, 새로운 교육정책에 대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한다(이경진, 김경자, 2005). 교육정책 생성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 작용을 중시하는 관점은 새로운 교육정책은 학생과 교사에 의해 만들어지는 교육적 경험이라고도 한다(Snyder, Bolin & Zumwalt, 1992). 기존의 교육정책과 교사 실행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김석우, 이대용, 강영이, 2011; 박관현, 2013; 장재혁 외, 2015)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주체가 되는 교사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며, 교육정책 실행자로서 교사들이 현실에서 부딪치는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여러 어려움으로 새로운 교육정책에 대한 실행이 반감되는 것을 보여준다. 즉, 새로운 교육과정을 고시하고, 한 두 번의 연수만 제공하면 교사들이 알아서 새로운 교육정책을 실행해야 한다는 생각이 일선 현장에서는 여전히 고쳐지지 않아 교사의 새로운 정책 실행도는 그들이 가지는 정책에 대한 인식보다는 낮아진다고 사료된다.

자유학기제는 2012년부터 국정과제로 채택되어 지금까지 강력히 시행되어온 새로운 교육정책이다. 2013년에는 42개의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됐으며, 2014년에는 38개교의 연구 학교와 732개교의 희망학교를 포함해 총 811개교로 확대되어 왔다. 이는 전체 중학교의 25% 에 해당한다. 2015년에는 전국 중학교의 80%인 2551개교에서 자유학기제를 도입하였고 2016 년에는 전국 3204개교로 전면 확대되어 시행되었다(교육부, 2015). 자유학기제의 양적팽창으 로 인한 여러 어려움들 중 교사들이 가지는 현장적용의 부담감은 이들이 가지고 있는 자유학 기제의 필요성에 비해 그 실천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교육부(2015)에서 보고한 자유학기제의 시행 사례를 통해 학부모, 학생, 교사의 인식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나 실제 자유학기제에 대한 교사의 실행도를 살펴본 연구는 현재 부족한 상태이다. 기존의 자유학기제 관련 선행 연구들은 짧은 시행 연수로 인해 많지는 않으며, 대부분의 연구들이 은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교사와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연구한 자유학기제 인식 및 성과 연구(최상덕, 2014; 홍후조, 임유나, 장소영, 2013)와 자유학기제 정책 및 운영 방안에 대한 연구(이지연, 2013; 정광순, 2013; 황규호 외, 2013)이다.

자유학기제의 지속적이고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이를 실천하는 일선교사의 실행도 실 태와 이를 높이는 도움요인을 찾는 연구들의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새로운 정책과 교사 실행도 관련 연구들(김석우, 이대용, 강영이, 2011; 박관현, 2013; 장재혁 외, 2015)에서 제시한바와 같이 교사의 실행도를 예측하는 관계변인으로 어떠한 교사관련 변인들이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연구에서 조사된 정책실행도와 관련된 교사 변인은 교사의 보직유무, 교직 경력, 관련 정책 연수, 운영경험, 성별 및 관련정책에 대한 인식차이 등이 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도 기존 교사의 실행도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교사변인과 자유학기제 실행도를 연구하고자 하며,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3년에 걸친 종단 자료를 통해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교사들의 실행도를 종단자료를 통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종단자료를 통해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3회 이상 연속적으로 측정된 변수가 필요하다. 그리고 또 하나의 전제로 동일 간격과 동일한 척도를 가진 사례가 관측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본 연구는 3년 3차시기에 걸쳐 중학교 교사를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최조 설문시기인 2014년에 B광역시 16개 중학교 교사 80명과 C광역시에 소재하는 11개 중학교 교사 44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2015년 9월과 2016년 9월에 동일 교사를 대상으로 매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중 중도 탈락자와 무응답자를 매년 제외하고 3개년동안 설문에 응한 교사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 다. 이들은 모두 설문 첫해에는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직접 운영자로 활동하였으며, 이후 3년 연속 직접 운영자로 하여하였거나, 교과담당자로 간접참여를 한 교사들이었다. 최종 연구대상 교사의 구성은 B광역시 16개 중학교 교사 64명과 C시에 소재하는 11개 중학교 교사 40명이었다. 연도별 연구대상자의 구성은 <표 III-1>과 같다.

표 III-1. 연도별/시기별 연구대상 인원
2014년 1차시기 2015년 2차시기 2016년 3차시기
합계 124 111 104
Download Excel Table

설문시기 마다 전자메일, 전화 또는 대면을 통해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취지와 패널조사에 대한 설명을 하였으며, 참여자의 동의를 구하였다. 연구대상 교사를 통한 자유학기제에 관한 동일한 설문을 3차시기 동안 실시하였으며, 최종 10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대 상 집단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중 남자교사는 42명(40.4%), 여자교사는 60명(59.6%)으로 여자 교사가 많았다. 자유학기제 실시기간동안 담임으로 참여한 교사의 비율을 살펴보면, 2014년 1 차시기에 설문을 실시할 당시는 설문대상자 모두 자유학기를 직접 운영한 프로그램 담당교사 들로 활동하였다. 2015년과 2016년에도 2014년 참여한 교사 중 일부는 프로그램을 직접운영하지 않더라도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 활동하였으며, 모두 동일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최종 선정된 설문대상 교사 중 자유학기제를 1회만 담당자로 운영에 참여한 교사는 43명(41.3%), 2회 연속 자유학기제를 담당자로 참여한 교사는 45명(43.3%), 3회 연속 자유학기제 담당자로 참여 관여한 교사는 16명(15.4%)으로 나타났다. 보직유무에 관해서는 보직담당 경험이 없는 교사는 59명(56.74%), 있는 교사는 45명(43.3%)으로 나타났다. 교직경 력은 5년 미만이 20명(19.2%), 5년-10년 미만이 36명(34.6%), 10년 이상이 56명(40.4%)으로 나타났다. 인식차이에 관해서는, 2014년 첫 설문당시 자유학기제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해 보통정도로 응답한 교사는 47명(45.1%)이었으며, 자유학기제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해 적극 적인 수준을 보인 교사는 57명(54.9%)이었다. 2014년 설문 첫해를 기준으로 하여 자유학기제와 관련된 연수를 받지 않은 교사는 40명(38.4%)이었으며, 연수를 받은 교사는 64명(61.6%)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에 대한 집단 분류는 <표 III-2>와 같다.

표 III-2. 연구대상
구분 빈도(명) 백분율(%)
성별 남자 43 40.4
여자 62 59.6
운영경험 1회 43 41.3
2회 45 43.3
3회 이상 16 15.4
보직유무 없다 59 56.7
있다 45 43.3
교직경력 5년 미만 20 19.2
5~10년 36 34.6
11년 이상 48 46.1
인식차이 보통수준 47 45.1
적극수준 57 54.9
연수유무 없다 40 38.4
있다 64 61.6
Download Excel Table
2. 연구도구

본 연구는 Hord & Hulling-Austin(1986)의 실행도를 번안·수정한 유수정, 강문숙, 김석우(2013)의 유치원교사들의 누리과정 실행도 질문지와 Moore, Wideman & Dilling(1984)의 실행도를 번안·수정한 박관현(2013)의 교육과정의 실행도 분석에 사용된 질문지를 본 연구에 맞도록 수정하고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2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며 전체 문항은 각5문항으로 초기적 실행, 일상적 실행, 효과적 실행 및 통합적 실행과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된다. 모든 문항은 5단계 Likert로 평가되며, ‘매우 그렇하다’ 5점, ‘상당히 그렇하다’ 4점, ‘대체 로 그렇하다’ 3점, ‘그렇지 않다’ 2점,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으로 측정하였다. 변인들의 총점 은 높을수록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자유학기제는 중학생들이 시험의 부담에서 벗어나 학생 개인의 꿈과 끼를 찾도록 실습, 토론을 중심으로 하는 수업을 운영하고 진로탐색 활동 및 동아리 참여 활동 등의 체험이 가능하도록 교과과정을 운영하는 제도이다(교육부, 2013). 본 연구에서의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는 자유학기제 관련 프로그램 및 활동과 관련된 일련의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실행도를 측정한 값을 말한다. 박관현(2013)의 연구에서 사용한 교육과정 실행도의 신뢰도계수(Cronbach’s α)는 .68-.86으로 나타났다. <표 III-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측정된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64-.81로 나타났다.

표 III-3. 자유학기제 실행수준과 문항구성
하위변인 문항내용 문항 신뢰도
I. 초기적 실행 자유학기제가 지향하는 바와 이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 을 탐색하고 있으며, 실행을 준비한다. 5 .72
2. 일상적 실행 자유학기제 실행이 안정적이며, 그 실행에 있어서 어떠한 수정도 없다. 5 .64
3. 효과적 실행 자유학기제 대상 학생에 대한 효과를 높이고자 실행을 변형하였다. 5 .70
4. 통합적 실행 가능한 모든 영역에서 대상자인 학생들에게 영향력을 주고자 자유학기제와 관련 있는 활동을 자신의 교육과정에 결합시킨다. 5 .81
Download Excel Table
3.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방법인 잠재성장 모형을 위해 반복 측정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잠재성장 모형은 측정한 종단 자료를 통해 측정 오차를 포함한 잠재변수를 산출하고, 이후 초기값과 변화율을 구한다. 또한 변화율을 통해 변인간 변동에 대한 정보를 추정해 내는 방법이다 (Meredith & Tisak, 1990).

또한 이 연구모형은 삼회또는 그 이상 측정하여 관측된 패널자료나 종단자료에 대상으로, 평균 또는 변화값을 측정하는 연구방법이며, 모두 두 단계로 나눠서 분석한다(Duncan & Duncan, 2004). 1단계 비조건 모형 분석(unconditional model)에서는 변수를 반복측정한 후 모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2단계 조건 모형 분석(conditional model) 단계는 시간 변화에 따라 변화를 예측하는 변수를 분석하고 이를 모형화 하였다. 즉, 1단계는 비조건 모형(unconditional model)을 측정하고, 이후 초기치(intercept)와 변화율(slope)을 구한 뒤 모형변화를 분석한다.

그리고 두 번째는 조건 모형을 구성하는 단계로, 시간 변화에 따라 시작값과 기울기 값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 모형에 포함시킨다(Kline, 1998; Lee & Kang, 2013).

본 연구는 측정 시기가 늘어나면서 자유학기제 실행도가 예측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단계에서는 측정 시기가 증가하면서 자유학기제가 어떤 형태로 변화하는지 보고자 변화모형(change model)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2단계에서 는 변화모형에 연구대상 교사 집단의 예측변인을 포함시키는 차이모형(difference model)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Amos 21을 분석도구로 사용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변인관련 기술통계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측정한 변수들에 대한 기술통계량을 제시하면 <표 IV-1>와 같다. 자유학기제의 평균은 2014년 3.24, 2015년 3.31, 2016년 3.33으로 점차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변수들의 왜도는 3차시기 전부 3.0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첨도도 3차시기 전부 10.0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외도와 첨도의결과는 다변량 정규성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다(김석우, 구경호, 2015).

표 IV-1. 측정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N=104)
시기 평균 표준편차 첨도 왜도
종속 변수 자유학기제 1차 2014년 3.24 0.44 2.08 -1.00
자유학기제 2차 2015년 3.31 0.43 4.20 -1.55
자유학기제 3차 2016년 3.33 0.40 .59 -.65
예측 변수 운영경험 2014년-16년 1.74 .71 -.94 .42
보직유무 2014년-16년 1.44 .50 -2.24 .27
교직경력 2014년-16년 1.54 .50 -1.89 .02
인식차이 2014년-16년 1.58 .50 -1.80 .20
연수유무 2014년-16년 1.60 .50 -1.26 .12
Download Excel Table

주요 측정변인들의 간의 상관관계 결과를 살펴보면 <표 IV-2>와 같다. 자유학기제 시기별 상관 결과들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측변인들과 측정변인들의 상관을 살펴보면, 운영경험과 보직여부, 인식차이, 연수유무는 자유학기제 시기별 결과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 경력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변인과 종속변인간의 상관을 자세히 살펴보면, 운영경험은 자유학기제 담임교사로 활동한 횟수에 따라 1,2,3을 입력하였으며 횟수에 따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직 여부는 연구대상 교사의 학교 보직 담당여부에 따라 없음을 1로, 있음을 2로 입력하였으며, 그 결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은 10년을 기준으로 10년 이하를 1로 10 년 이상을 2로 입력하였으며, 그 결과 정적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차이는 자유학 기제에 대한 교사의 필요성과 적극적 참여여부에 따라 보통을 1로 적극적 참여를 2로 입력하 였으며, 그 결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여무는 연구대상 교사의 자유학기제 관련 연수 유무에 따라 없음을 1로, 있음을 2로 입력하였으며, 그 결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IV-2. 측정변인들의 상관관계(N=104)
1 2 3 4 5 6 7 8
자유학기제
 1. 2014년도 - .77** .67** .38** .44** .01 .19** .55**
 2. 2015년도 - .73** .43** .49** .04 .23** .63**
 3. 2016년도 - .38** .46** -.03 .22** .56**
예측변수
 4. 운영경험 - .17* -.35** .00 .44**
 5. 보직여부 - -.02 .00 .86**
 6. 교사경력 - .00 .00
 7. 인식차이 - .00
 8. 연수유무 -
Download Excel Table
2. 자유학기제 실행도 변화추정
가. 무조건 모형(unconditional model)

연구대상 교사들의 2014년부터 2016년까지의 자유학기제 실행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먼 저 무조건 모형(unconditional model)을 살펴보았다. 무조건모형에는 초기치와 변화값을 잠재 요인으로 하여 관측변인인 자유학기제로 가는 경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초기치에서는 각 관측변인으로 가는 경로계수는 모두 1을 부여하였고, 각 관측변인으로 가는 변화값의 경로계수에는 선형변화모형에 따라 1차 시기에서 3차 시기까지 각각 차례로 0, 1, 2를 부여하였다.

무조건 모형을 기초로 자유학기제 실행도 변화 추정을 위해 최적 모형을 검증하는 무변화모형(null model)과 무선 절편모형(random intercept model), 고정된 절편-고정된 기울기 모형(fixed intercept - fixed slope model), 고정된 절편-수정된 기울기 모형(1차, 2차시기 선형변화모형, fixed intercept - modified slope model), 고정된 절편- 수정된 기울기 모형(2차시기 이후 선형변화모형, fixed intercept - modified slope model), 자유모수모형(3차시기 자유모수 모형, unspecified model) 등 총 6가지의 무조건 모형을 비교하였다(Preacher et al., 2008).

표 IV-3.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무조건모형(6가지 모형) 적합도
x2 df TLI CFI RMSEA
제 1모형 26.80 4 .951 .935 .166(.110-.228)
제 2모형 12.02 2 .957 .971 .156(.079-.245)
제 3모형 1.77 1 .993 .998 .061(.000-.207)
제 4모형 0.00 0 - 1.000 .000(.000-.000)
제 5모형 0.00 0 - 1.000 .000(.000-.000)
제 6모형 0.00 0 - 1.000 .000(.000-.000)
Download Excel Table

6가지 유형의 무조건모형 적합도에 대한 비교 결과는 <표 IV-3>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1모형은 무변화모형(null model)은 초기치만 있고, 변화값은 설정하지 않은 것으 로 시작값(intercept)에서 각 시점의 측정치로 향하는 요인적재량은 모두 1로 고정하였다. 오 차분산의 동질성을 가정한 후 초기 값의 평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유학기제의 시작값 평 균은 3.30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살펴보면,x2 에서는 26.80, 자유도(df)는 4, TLI는 .951, CF1는 .935, RMSEA는 .166(.110-.229)으로 자유학기제 연구모형으로 적합하지 않게 나타났다.

제 2모형은 무선 절편모형(random intercept model)로 무변화 모형처럼 1개 요인만 있는 것으로 시작값(intercept)에서 자유학기제 1차 요인계수를 1로 고정하였다. 그리고 자유학기 제 2차와 및 3차 요인계수를 자유 추정으로 설정하여 다양한 변화를 간명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오차분산의 동질성을 가정한 후 초기 값의 평균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자유학기제의 시작값 평균은 3.26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x2 에서는 12.02, 자유도(df)는 2, TLI는 .957, CF1는 .971, RMSEA는 .156(.079-.245)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 3모형은 잠재성장모형 모형 중 기본형인 고정 절편 고정 기울기 모형(fixed intercept - fixed slope model)으로 시작값과 변화값 2개의 잠재요인이 있는 것이다. 시작값(intercept) 요인계수는 모두 1로 고정하고, 기울기 변화값(slope)은 0, 1, 2로 요인계수를 고정한 후 선형변화를 추정하였다. 이 모형은 오차분산의 동질성을 가정하고, 자유학기제의 시작값과 변화값을 고정한 모형으로 두어 변량간 차이를 무시하고, 시작값과 변화값 간의 공분산도 0으로 고정한 모형이다. 그 결과 자유학기제의 시작값 평균은 3.25, 변화값의 평균은 .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2014년도 1차시기 자유학기제 실행도 평균점수 3.25에서 매년 .05점씩 3년 동안 증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살펴보면,x2 에서는 1.77, 자 유도(df)는 1, TLI는 .993, CF1는 .998, RMSEA는 .061(.000-.207)으로 나타나, 적합도 지수는 양호한 것으로 여겨진다.

제 4모형은 1차, 2차시기 선형변화(고정절편 기울기 수정모형, fixed intercept-modified slope model)모형으로 제3모형(선형변화모형)과 그 요인구조는 같으나 변화값(slope)의 계수를 각각 0, 1, 1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그 분산값을 추정하여 2014년 시차시기와 동일한 수준으로 자유학기제 점수가 지속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자유학기제의 시작값 및 변화값은 모두 통계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나왔다. 해당 모형은 초기만 성장을 하고 2차시기부터는 성장이 없거나 동일한 성장을 하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이나 본 연구결과의 값은 자유학기제의 연구모형으로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5모형은 2차, 3차시기 선형변화 모형(고정절편 기울기 수정모형, fixed intercept modified slope model)로 제3모형인 선형변화모형과 요인구조는 같으나 변화값(slope)의 요인 계수를 3모형처럼 설정하지 않고 0, 0, 1로 설정한다. 이는 1차시기와 2차 시기는 같고 2차시 기와 3차시기 사이에는 실제적인 변화가 있다고 가정한 모형이다. 그 결과 자유학기제의 시작 값 평균, 시작값 및 변화값은 모두 통계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나왔다. 이 모형은 초기만 성장은 없으나 늦은 주기부터 변화가 일어나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이나 본 연구결과의 값은 자유학기제의 연구모형으로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6모형은 3차시기 자유모수모형(unspecified model)으로 앞서 제시된 다른 모형들과 요인 구조는 동일하나 자유학기제 시작값(intercept)의 계수가 모두 1로 고정되고, 기울기 변화값 (slope)은 1차, 2차 시기의 요인계수는 각각 0, 1로 고정되었다. 다만, 3차시기 요인계수는 고정되지 않아 자유롭게 추정하도록 설정하였다. 변화값의 1, 2차 시기 요인계수를 각각 0, 1로 고정하여 일종의 기준 간격을 설정하고, 2차시기와 3차시기 사이를 자유모수로 두어 변화의 크기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자유모수 변화모형은 변화값의 3차시기 요인계수를 자유롭게 추정하여 실제적인 자료 변화를 보여주는 모형을 추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자유도 (df)가 감소하여 모형의 간명성(parsimony)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 자유학기제의 시작값 평균, 시작값 및 변화값은 모두 통계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나와, 자유학기제의 연구모형으로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모형을 비교해서 적합한 모형을 살펴보면, 제 4모형, 제 5모형 및 제 6모형은 그 결과같이 나타나지 않은 부적합 모형이었으며, 제 1모형과 제 2모형은 RMSEA 부분에서는 기준에 합당하지 않은 적합도가 측정되었다. 따라서 제 3모형은 교사들의 자유학기제 실행도 변화를 종단적으로 잘 제시하여 주는 모형으로 선정되었다.

표 IV-4. 자유학기제의 잠재성장모형 추정치
평균 분산
시작값(intercept) 3.25*** .06***
변화값(slope) .05*** .04***
시작값-변화값 공분산 -.03***

***p<.001

Download Excel Table

제3모형에 따른 자유학기제의 무조건모형의 추정치는 <표 IV-4>와 같다. 제3모형을 통해 자유학기제의 초기치와 변화값을 살펴보면, 2014년 1차시기부터 2016년 3차시기까지 연구대 상이 응답한 자유학기제 실행점수는 시작값 3.25점에서 매년 0.5점씩 정적 증가를 보인 것으 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변화값의 분산은 .04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무조건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나타내는 <표 IV-5>를 살펴보면, 각각x2 (df)=1.77(1), TLI=.983, CFI=.998, RMSEA=.061(.000-.207)으로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해석된다.

표 IV-5.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무조건 모형 적합도
x2 df TLI CFI RMSEA
1.77 1 .993 .998 .061(.000-.207)
Download Excel Table

무조건모형으로 살펴본 자유학기제 실행도에 대한 잠재성장모형은 [그림 IV-1]에 제시하였다. 그리고 3차 시기별 자유학기제 실행도 평균값은 <표 IV-6>에 제시하였으며, 실행도의 시작값과 변화값에 따른 변화 그래프는 [그림 IV-2]에 제시하였다.

표 IV-6. 자유학기제 실행도 차시별 평균값
2014년 1차시기 2015년 2차시기 2016년 3차시기
자유학기제 실행도 3.24 3.31 3.33
Download Excel Table
jce-20-1-245-g4_1
그림 IV-1.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잠재성장모형
Download Original Figure
jce-20-1-245-g4_2
그림 IV-2. 자유학기제 실행도 시기별 평균값 변화 그래프
Download Original Figure
나. 조건 모형(conditional model)

앞서 제시된 무조건모형을 보면, 연구대상자의 자유학기제 실행도 점수는 2014년을 기준으로 매해 조금씩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대상자의 자유학기제 시작값과 변화값에 영향을 주는 예측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조건모형(conditional model)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인 교사관련 변인으로 자유학기제 운영경험, 보직여부, 교직경력, 자유학기제에 대한 인식차이 및 자유학기제 관련 연수유무를 파악하여 이를 자유학기제 실행도 점수에 영향을 주는 예측변인으로 사용하였으며, 이를 포함한 조건모형의 검증결과는 [그림 IV-3]과 같다.

jce-20-1-245-g4_3
그림 IV-3. 자유학기제 실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Download Original Figure

<표 IV-7>에 제시된 조건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살펴보면, x2 (df)=12.38(6), TLI=.967, CFI=.993, RMSEA=.072(.000-.129)으로 연구모형은 대체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해석된다.

표 IV-7. 자유학기제 조건(잠재성장) 모형의 적합도
x2 df TLI CFI RMSEA
12.23 6 .967 .993 .072(.000-.129)
Download Excel Table

연구대상인 교사들의 자유학기제 운영경험, 보직여부, 교직경력, 자유학기제에 대한 인식차이 및 자유학기제 관련 연수유무가 자유학기제의 시작값과 변화값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표 IV-8>과 같다.

표 IV-8.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과 변화값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
내용 비표준화 회귀계수 표준화 회귀계수 S.E 회귀계수 C.R
운영경험→ 자유학기제시작
값자유학기제변화값
.15
-.01
.26
-.14
.05
.02
3.10**
-.55
보직여부→ 자유학기제시작값
자유학기제변화값
.01
.01
.02
.07
.11
.05
.12
.18
교직경력→ 자유학기제시작값
자유학기제변화값
.10
-.02
-.17
.12
.05
.03
1.86
-.85
인식차이→ 자유학기제시작값
자유학기제변화값
.18
.01
.22
.01
.05
.02
3.79***
.07
연수유무→ 자유학기제시작값자유학기제변화값 .42
-.02
.53
-.18
.12
.06
3.54***
-.40
Download Excel Table

예측요인 중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자유학기제 운영경험과 인식차이 및 연수유무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보직여부와 교사경력은 자유학기제 실행도 의 시작값과 변화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회귀계수의 크기순으로 살펴보면, 먼저 연구대상 교사의 자유학기제에 대한 인식차이는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β=.42, p〈.001)에 영향을 미치나, 변화값(β=-.02, p〉.05)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에 대한 교사의 적극적․중립적 인식의 차이는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에 영향을 미치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자유학기제의 변화값 에는 차이를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회귀계수가 크게 나타난 예측변인으로, 연구대상 교사의 자유학기제에 대한 연수유무에 따른 자유학기제 실행도 점수를 살펴보면, 예측변인인 연수유무는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에(β=.18, p〈.001)에 영향을 미치나, 변화값(β=.01, p〉.05)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의 자유학기제 관련 운영경험도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에(β=.41, p〈.001)에 영향을 미치나, 변화값(β=.01, p〉.05)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예측변인으로 교사의 보직유무와 교직경력은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에(β=.01, p〉.05 ; β=.18, p〉.05)과 변화값에도(β=.01, p〉.05 ; β=-.02, p〉.05)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영향을 주는 예측변인이 아닌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예측변인에 따른 3차시기별 자유학기제 실행도 평균값은 <표 IV-9>에 제시하였으며, 실행도의 시작값과 변화값에 따른 변화 그래프는 [그림 IV-4]와 [그림 IV-5]에 제시하였다.

표 IV-9. 예측변인에 따른 자유학기제 실행도 차시별 변화
예측변인 2014년 1차시기 2015년 2차시기 2016년 3차시기
운영경험 1회 3.08 3.14 3.2
2회 3.27 3.32 3.34
3회 3.59 3.72 3.66
보직유무 없다 있다 3.163.33 3.233.41 3.243.42
교직경력 10년미만10년이상 3.243.25 3.293.33 3.353.32
인식차이 보통 적극적 3.083.46 3.133.55 3.173.54
연수유무 없다 있다 2.993.49 3.033.58 3.113.55
Download Excel Table
jce-20-1-245-g4_4
그림 IV-4. 예측변인과 자유학기제 실행도 변화 그래프(비 영향변인)
Download Original Figure
jce-20-1-245-g4_5
그림 IV-5. 예측변인과 자유학기제 실행도 변화 그래프(영향변인)
Download Original Figure

Ⅴ. 논의

본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교사들의 실행도에 대한 종단적 궤적을 살펴보고, 자유학기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자유학기제 운영에 1회 이상 참여한 교사들의 3개년도 연속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의 자유 학기제 실행도의 변화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교사의 자유학기제 운영경험, 보직여부, 교직경력, 자유학기제에 대한 인식차이, 연수유무 등을 두었고 이를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존 선행연구에 비교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인 중학교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에 대한 변화흐름을 무조건모형(unconditional model)을 통해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자유학기제 실행도는 2014년 1차 시기부 터 2016년 3차 시기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설문한 자유학기제에 실행도는 첫째, 실행을 준비 하는 초기적 실행, 둘째, 일상적 실 행, 셋째, 자유학기제 대상 학생에 대한 효과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 실행, 넷째, 모든 영역에 서 학생들에게 영향력을 주고자 자유학기제와 관련 있는 활동을 자신의 교육과정에 결합시키 는 통합적 실행 등 총 4단계의 실행을 합친 실행도 총점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총점에 대한 3년 종단자료는 2014년 3.24점, 2015년 3.31점, 2016년 3.33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기존에 자유학기제에 인식에 대해 보고한 연구결과(교육부, 2015)에 비해 낮은 평균과 성장 점수이다. 하지만, 교사가 자유학기제 도입에 대해서는 찬성하나 현장 실시 준비와 여건이 미흡한 관계로 그 실행에는 영향을 준다는 결과(홍후조, 임유나, 장소영, 2013)와는 일치하는 것이다. 즉, 인식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나 자유학기제 업무에 대한 부담으 로 인식에 비해 실해의 정도가 약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김동일 외, 2016; 김이경, 민수빈, 2015). 이러한 현상에 대해 Hall(1974)은 실행자들이 새로운 교육정책을 실행해 나가면서 혁 신과 변화 과정에 대한 나름의 인식, 감정, 동기를 갖게 되고, 좌절이나 만족을 경험하는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즉, 본 연구결과는 성공적인 자유학기제 교육정책 실현을 위해서는 학생과 상호작용하여 정책을 실행으로 옮기는 현장교사에 맞는 과정적용과 조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조건모형을 통해 교사의 자유학기제 운영경험, 보직여부, 교직경력, 자유학기제 관련 인식차이, 및 연수유무는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과 기울기 변화값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보았다. 연구결과는 교사들 중 자유학기제를 1년 이상 운영을 해 보았거나, 자유학기제에 대한 필요를 인식하는 교사 및 관련 연수를 받은 교사들의 자유학기제 실행도 시작값은 그렇지 않은 교사의 실행도에 비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났다. 하지만 3년 동안 종단자료의 지속적 변화값 차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유학기제와 관련된 연수, 세미나, 직적접 운영 및 자유학기에 대한 인지적 필요성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교사는 그 실천면에서 그렇지 않은 교사와 차이가 있었다는 것이다.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에 차이를 보여 준 세 변인을 효과크기 순으로 나열하면, 먼저 자유학기제 필요성에 대한 인식여부, 연수유무 및 운영 경험 순이다. 이를 해석하면,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에 무엇보다 큰 영향을 주는 것이 교사 자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라는 것이다. 이는 자유학기제 운영학교와 미운영학 교 교사집단을 대상으로 한 인식의 차이 연구 결과(김진섭, 2015)와 같은 것이다. 또한 자유학 기제의 정착을 위해 교사들이 인식한 성공적인 촉진요인으로 효율적인 연수를 제시한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김동일 외, 2016). 즉, 본 연구결과는 성공적인 자유학기제 실행을 위해서는 교사들에게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효율적인 연수와 이를 통해 교사 스스로가 자유학 기제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자율적으로 효과적인 자유학기제 수업을 고안하고 실행하게 하는, 실행도의 최상수준인 통합적 실행수준으로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조건모형 중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 시작값과 기울기 변화값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소로는 교사의 보직여부와 교직경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적어도 1년 이상 운영한 교사를 대상으로 3년 동안의 실행도를 측정한 것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시작값와 3년 연속의 설문 결과값에도 영향을 주지 못한 교사변인이 보직여부와 교직경력이라는 것이다. 즉, 교사생활에 대한 경험의 많고 적음과 학교에서의 중요 직위 수행이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 향상에는 큰 영향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인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유학기제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수경험과 자유학기제 담당 경험이 교사의 실행도와 연결되는 변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성취평가제와 교사의 실행도를 연구한 결과(장재혁 외, 2015)와도 유사하다. 장재혁 외(2015)의 연구에서도 보직별, 경력별 차이보다 성취평가제와 관련한 교사 연수횟수에 따라 교사의 실행도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자유학기제 관련 선행 연구들이 인식도과 만족도와 관련되어져 실제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수준 연구에 소홀하였던 바,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종단자료를 통해 그 변화궤적을 파악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교사 변인에 대해서도 연구하여 자유학기제의 지속적인 실행도 향상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수행 과정에서 나 타나는 여러 제한으로 연구한계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적용한 후속 연구 수행 위해 필요한 제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교사의 자유학기제에 실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여러방면으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그 한계를 있다. 종단연구의 연구 특성상 제한된 변수를 통해서 자유학기제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을 파악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확장된 요인들을 토대로 교사의 자유학기제 인식도와 실행도 변화궤적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함께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실행도에 대한 연구에서 부산지역과 창원지역 교사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제한된 지역을 표집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그 한계가 있다. 자유학기제 시행 프로그램이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며, 지역별로 자유학기제 운영모형에도 차이가 있는 것을 고려하여 차후 연구에서는 지역별·운영모형별 표집을 달리하여 이를 비교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실행도만 고려했다. 즉, 자유학기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도와 실행도를 함께 종단적으로 비교하지 못하고 인식도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가져왔다는데 그 한계가 있다. 자유학기제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지원을 위해서는 교사의 자유학기제에 대한 인식도와 실행도를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의 일치와 불일치에 대한 원인을 밝히는 인과 관계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각주

1. 이 논문은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참고문헌(References)

1.

교육부(2013. 5. 28).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교육부(2015. 8. 6).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안).

2.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2015). 자유학기제 교과별 수업 및 평가 사례집. 연구자료 CRM 2015-55-2.

3.

김동일, 라영안, 이혜은, 금창민, 박소영(2016). 자유학기제 정착을 위해 교원들이 인식한 촉진요인과 저해요인 탐색. 교육심리연구, 30(2), 345-371.

4.

김경자 역 (1993). 교육과정 혁신: 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모형(CBAM). 서울: 교육과학사. Hord, S. M., Rutherford, W. L., & Hulling-Austinand Hall, G. E.(1987). Taking Charge of Change. Published by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5.

김대현(2011). 교육과정의 이해. 서울: 학지사.

6.

김대현, 김현주(2003). 입학초기 중학생의 삶. 한국교육과정학회, 21(4), 1-24.

7.

김석우, 구경호(2015). 인과모형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8.

김석우, 이대용, 강영이(2011). 중학교 교사들의 수행평가에 관한 관심도와 실행수준 분석. 교육평가연구, 24(1), 31-51.

9.

김은주, 양무열, 김대현(2010) 2007 개정 교육과정 통합교과의 통합단원실행에 관한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수산해양연구, 22(2). 287-302.

10.

김이경, 민수빈(2015) 자유학기제의 도입에 따른 교사들의 직무부담 분석. 한국교원연구, 32(2), 181-203.

11.

김진섭(2015). 자유학기제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조사.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12.

남궁지영, 김위정, 김양분(2012).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1~3주기 초 ․ 중 ․ 고등학교 종합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2-23.

13.

박관현(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교사의 관심도와 실행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14.

박은숙, 김인수(2014). 자유학기제의 수학평가 실태 및 교사 인식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6), 243-272.

15.

신철균, 황은희, 김은영(2015).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분석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6(3), 27-55.

16.

유수정, 강문숙, 김석우(2013).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435-458.

17.

이경진, 김경자(2005).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교육과정 연구, 23(3), 57-80.

18.

이지연(2013). 성공적인 자유학기제 운영방안: 진로탐색 중심 접근. 제1회 진로 교육포럼, 17-52.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장재혁, 김석우, 이승배, 김성숙(2015). 성취평가제에 관한 고등학교 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도 분석. 교육평가연구, 28(4), 1255-1276.

20.

정광순(2013).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업 대비 역량 중심 교과통합수업 설계 방안 제안. 통합교육 과정연구, 7(3), 1-30.

21.

정영근, 이명준, 김진숙, 이근호, 옥현진(2014).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4-5.

22.

최상덕(2014). 2014년도 1학기 자유학기제 성과발표회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23.

최상덕, 신철균, 박균열(2013). 자유학기제 실행 방안. 포지션 페이퍼 10(1). 한국교육개발원.

24.

홍후조, 임유나, 장소영(2013). 관련자 의견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안 탐색 연구. 한국 교육학연구, 19(2), 33-68.

25.

황규호, 김경자, 소경희, 홍원표, 온정덕(2013).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모델 연구. 교육부.

26.

Duncan, T. E., & Duncan, S. C.(2004). An introduction to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Behavior Therapy, 35, 333-363.

27.

Hall, G. E.(1974).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A developmental conceptualization of the adoption process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Illinois.

28.

Hall, G. E., & Hord, S. M.(2013). Implementing change, p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 (3rd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29.

Hord, S. M., & Hulling-Austin, W. L.(1986). Effective curriculum: Some promising new insigh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7, 97-175.

30.

Kline, R. B.(1998).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tructural equating modeling. Gilford Press, New York.

31.

Lee, H., & Kang, S.(2013). Analysis of latent growth model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in the data from KYP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1409-1419.

32.

Lee, J.(2012). The qualification and competencies of college admission officers related with professionalism of career educatio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 95-115.

33.

Meredith, W., & Tisak, J.(1990). Latent curve analysis. Psychometrika, 55, 107-122.

34.

Moore, S., Wideman, M., D., & Dilling, H. J.(1984). Curriculum implementation: A survey of teachers' Levels-of-Use "The program and the Six-year Old" and "Social environmental studies(Grade 5-6)". Ontario: Scarborough Board of Education.(ERIC Document Reproduction NO. ED 291 612).

35.

OECD(2014). PISA 2012 results: What students know and can do - student performance in mathematics, reading and science (Volume I, Revised edition, February 2014). PISA, OECD Publishing.

36.

Preacher, K. J., Wichman, A. L., MacCallum, R. C., & Briggs, N. E.(2008).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7.

Snyder, J., Bolin, F., & Zumwalt, K.(1992).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Jackson, P. W (Ed.),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