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평가연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이 연수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1)

김이경1,*, 안지윤2, 김현정3, 김지혜4, 유완5
Ee-gyeong Kim1,*, Ji-yoon Ahn2, Hyun-jeong Kim3, Ji-hye Kim4, Wan Yu5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중앙대학교 부교수
2중앙대학교 박사과정
3중앙대학교 석사과정
4중앙대학교 석사과정
5중앙대학교 석사과정
1Associate Professor, Chung-Ang University
2Ph.D. candidate, Chung-Ang University
3M.A. candidate, Chung-Ang University
4M.A. candidate, Chung-Ang University
5M.A. candidate, Chung-Ang University
*제1저자 및 교신저자, ekim@cau.ac.kr

© Copyright 2016,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an 05, 2016 ; Revised: Feb 01, 2016 ; Accepted: Feb 16, 2016

Published Online: Feb 28, 2016

요약

본 연구는 개정된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구현되려면 현직 교원들의 역량이 연수를 통해 함양될 필요가 있으며, 교원의 연수 참여는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이 연수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진이 개발한 조사 도구를 토대로 온라인 설문조 사를 통해 수집한 전국 중등학교 교원 총 3,471명의 응답자료를 기술통계, t검증,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들의 관심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실행 요구사항, 기존 교육과정과의 차이점 등 정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대체적으로 리더십 지위에 있는 교원들의 관심도가 높고, 교육과정 개정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과목을 담당하는 교원들이 개정 이후 자신이 가르칠 교과의 지위나 내용에 대한 우려로 인하여 높은 개인적 관심을 보였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개설될 연수에 대한 교원들의 참여 의지는 상당히 높았으며, 특히 직위가 높은 교원과 읍면지역 소재 학교에 근무하는 교원들의 참여 의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마지막으로, 교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은 그들의 연수 참여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개인적 특성이나 학교 특성에 비해 그 영향력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정이 교수-학습 실천으로까지 이어지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들의 관심이 필수불가결하다는 점을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는 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원의 관심도 제고 및 연수 참여 활성화를 겨냥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Assuming that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newly revised curriculum requires adequate teacher competency, which needs to be cultivated through in-service education,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ers’ interest in 2015 national curriculum on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 responses of a total of 3,471 secondary school teachers across Korea, which were collected via on-line survey utilizing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 team were analyzed vi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 find that teachers show relatively higher interest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the interest level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master teachers is higher than younger 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In addition, teach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2015 curriculum related in-service education is considerably strong, while teachers with higher position and working at schools in rural area show higher response tendency. Finally,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interest in the curriculum an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interest in a newly revised curriculum for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 and draw some policy recommendations to revitalize teachers’ interest as well as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Keywords: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관심도; 교원 연수; 증등 교사
Keywords: 2015 national curriculum; Teacher Interest in curriculum; Secondary school teache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 서론

새로운 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교육과정을 교수-학습 활동으로 변환하는 주체인 교사들이 새로운 교육과정의 취지를 얼마나 이해 하고 관심을 가지는지에 따라 새로운 내용에 대한 학습 의지가 생겨나고, 그 결과 교육과정 실행의 질이 달라지기 때문이다(김민환, 2009; 박한숙, 2011, 2013). 제아무리 타당한 목표를 표방하며 정부가 의욕적으로 개정한 교육과정이라 할지라도 교사들이 이를 교실에서 실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갖추지 못한다면 교육과정 개정은 한낱 문서에 불과할 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소위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이라고 불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에도 학교 현장 적용을 앞두고 현장 교원들의 이해 수준과 관심도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전개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나 공청회 및 포럼 개최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원들의 관심과 참여는 여전히 저조하여(홍후조, 임유나, 2014), 이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관례적인 문·이과 구분에 따른 지식 편식 현상을 개선하고 인문·사회·과학기술에 대한 기초 소양을 함양하여 학생들이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근본적으로 개혁하자는 취지로 논의 되기 시작하였다(교육부, 2015). 그 동안 공청회, 전문가 협의, 정책 연구 등 다양한 과정을 거쳐 2014년 9월에는 총론 주요 사항이 발표되었고, 2015년 9월에 총론 및 각론이 확정·발표되었으며, 2018년부터 순차적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교육과정 개편의 주요 내용 가운데 중학교에서 ‘정보’가 필수 과목으로 편성되고 고등학교에서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이 신설됨에 따라 이러한 과목을 담당할 중등 현직 교원들에 대한 연수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견된다. 개정 교육과정 적용의 성패가 교원들의 교수 전문성 및 역량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닌 바, 교원들의 연수 참여는 매우 중요하다.

교사들의 연수 참여 여부는 개인의 지식보유 정도나 경력, 담당과목이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영향 받는 정도, 그리고 학교 여건이나 풍토나 분위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원들은 다양한 연수과정 가운데 자신의 관심을 토대로 내용을 선택하며, 관심이 높은 분야일수록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한다는 점에서(Schifter, 2000; Lohman, 2006),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들의 관심이야말로 연수에 대한 참여의지를 높일 수 있는 주요 전제 조건이라고 가정해볼 수 있다.

새로운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의 관심은 Fuller(1969)의 연구에서 처음 강조되기 시작하여, 이후 Hord와 Loucks(1980)에 의해 ‘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 모형’(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으로 체계화되었다(채희인, 노석구, 2014). 이 모형은 교사가 새로운 교육과정을 실행해 나가면서 교육과정의 혁신에 관해 갖고 있는 나름대로의 감정, 생각과 같은 반응들을 7단계의 관심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한 것이다(Hord et al., 1987).

최근 국내에서도 CBAM모형을 활용한 연구가 다수 수행되면서 교사 관심도가 새로운 교육과정 실행의 성공을 좌우하는 주요 변수로 부각되었다. 그러나 대체로 개정 교육과정이 실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분석하였으며(김혜나, 김대현, 2010), 적용 이전 시점에서 교원 연수와 관련지어 교원의 관심도가 연수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현직 교원 연수와 관련한 연구들은 주로 연수 운영방식의 문제 점과 개선점을 제시하거나(권성연, 박호근, 최경애, 2008; 김수동, 박순경, 유승연, 2001; 김평국, 2003; 이윤식, 1997; 이윤옥, 2013; 장명희, 전승환, 정동열, 2014; 장은진, 고민석, 권치순, 2011; 전제상, 2010; 정태범 외, 1997; 최유현 외, 2014), 연수의 효과성 또는 만족도 분석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으며(오성배, 강충서, 2014; 이미정, 2010; 임윤진, 최유현, 2015; 주미경, 문종은, 박모라, 2013), 교원들이 적극적으로 연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끈 동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려는 노력은 다소 미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 수준이 향후 관련 연수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 수준은 어떠하며, 개인 및 학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 관련 연수에 대한 교원의 참여의지는 어떠하며, 개인 및 학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 수준은 연수 참여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2015 개정 교육과정 개요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우리나라 학생들이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혁이 필수불가결하다는 취지에서 논의되기 시작했다(교육부, 2014b). 시안 마련을 위한 과정을 보면, 2013년 10월, 새 교육과정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정책연구가 추진되고, 2014년 9월,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이 발표되었다. 이에 기초하여 교과별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이해관계 조정 등을 목적으로 ‘국가교육과정각론조정위원회’가 설치·운영되었다. 각종 공청회나 토론회 등을 통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2015년 9월, 마침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및 각론이 확정·발표되었으며, 교육과정은 2018년부터 초·중·고등학교에 연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방향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인문·사회·과학기술에 관한 기초 소양을 함양하고 인성교육을 강화한다. 둘째, 안전 의식을 갖출 수 있도록 안전 교과나 단원을 신설한다. 셋째, 고교 교과(군)별 필수이수 단위를 조정하여 국어, 수학, 영어, 사회는 10단위, 한국사는 6단위, 과학은 12단위를 배정한다. 넷째, 새로운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대학입학제도를 마련한다(교육부, 2014b).

2015 개정 교육과정이 표방하는 학교급별 주안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교의 경우, 한글교육을 강조하고 누리과정과의 연계를 강화하면서, 초등학교 1~2 학년에서 안전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전한 생활을 편성한다. 중학교의 경우, 자유학기제 운영 근거를 마련하고 소프트웨어 기초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정보 교과를 필수 과목으로 지정한다. 한편, 고등학교에서는 공통과목을 통해 기초소양을 함양하고, 학생 각자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맞춤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선택과목을 개설하고 진로선택 과목을 3개 이상 이수하도록 한다. 특히,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공통과목으로 신설하되, 통합사회는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 기반의 자연과 사회 현상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목적으로, 통합과학은 자연현상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교육부, 2015).

2.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은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연수 참여를 유도하고 교육과정 실행수준을 높일 수 있는 주요 변수 중 하나로, Fuller(1969)의 연구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 때 ‘관심(concern)’은 교사가 새로운 교육과정을 실행해 가는 과정에서 교육과정의 혁신에 대한 나름대로의 감정이나 생각과 같은 반응을 의미한다(Hord et al., 1987).

이후 Hord와 Loucks(1980)는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원들의 관심과 실행 수준을 진단하기 위해 ‘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 모형’(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을 개발하였는데, 연구자들이 활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모형이다(김민환, 2009).

이 모형에서는 관심의 영역을 자신, 업무, 결과 세 영역으로 나누고, 다시 관심 단계를 무관심/지각적 단계, 정보적 단계, 개인적 단계, 운영적 단계, 결과적 단계, 협동적 단계, 대안적 단계의 7단계로 구분한다(Hord et al., 1987). 각 관심 단계별 정의는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 영역 및 단계 구분에 따른 정의
영역 관심의 단계 관심의 정의
자신 0. 무관심/지각적 (awareness)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관심도 없고 참여하지도 않는다.
1. 정보적 (informational)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세부적인 것을 알고자 하고, 적극적으로 개정에서 중요시되는 점을 알고자 한다.
2. 개인적 (personal) 개정 교육과정의 요구사항과 그 요구사항을 처리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 자신의 역할에 대해 확실히 알지는 못한다. 그러나 조직의 보상구조, 의사결정, 기존 구조, 개인적 관계의 갈등 가능성 등과 관련하여 자신의 역할을 분석하게 된다. 그리고 재정적인 면이나 사회적 지위 여부에 관심을 나타낸다.
업무 3. 운영적 (management) 개정 교육과정 활용에 초점을 두고, 정보와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에 최고의 관심을 나타낸다. 효율성과 관련된 조직, 운영, 계획, 요구시간 등이 중요시된다.
결과 4. 결과적 (consequence) 개정 교육과정이 학생 등에게 즉각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둔다. 개정된 사항이 학생들에게 적절한지 평가하는 데 초점을 두고, 학생의 성취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교사의 실행, 능력, 변화 등에 최고의 관심을 나타낸다.
5. 협동적 (collaboration) 개정 교육과정의 활용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조정·협조한다.
6. 대안적 (refocusing) 중대한 변화의 가능성, 또는 보다 강력한 대안으로의 대치 등 개정의 보편적인 이점의 탐색에 관심이 있다.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방법들에 관심을 갖는다.

* 출처: Rutherford(1977이지은, 신재한, 2012, pp. 139에서 재인용)

Download Excel Table
3. 교육과정 관련 교원연수

교육과정과 관련한 교원연수는 대체로 각 시·도교육연수원 등과 같은 기관을 중심으로 매 년 직무연수 형태로 진행된다.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의 경우를 일례로 살펴보면, 교육과정 연수는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 및 이해, 학교교육과정편성의 이해, 학년 및 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의 이해 등의 세부 내용으로 구성되며, 30~40명부터 200~300명의 교원을 대상으로 한 집합연수가 주를 이루며, 때로는 원격교육연수원에서도 교육과정 전반에 관한 연수가 운영되기도 한다(정진구, 김자미, 김홍래, 2009).

교육부(2015)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교원연수를 적극 실시할 예정임을 밝혔다. 새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효과적인 연수 실시의 필요성은 교육과정 개정 시마다 강조되었으며, 7차 교육과정 개정(김평국, 2003; 정태범 외, 1997; 허숙, 2001)이나 2009 개정 교육과정(김평국, 2014; 민용성, 백경선, 한혜정, 2012) 때도 예외가 아니 었다. 특히 김평국(2003)정태범 외(1997)는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수가 주로 중앙단위연수 원, 시·도 교육연수원, 대학부설 교육연수원 등의 기관을 중심으로 실시되며 교장, 교감 혹은 몇몇 대표자가 연수를 이수한 후 다른 교원에게 전달하는 형태로 진행된다는 점에 우려를 표하면서, 학교의 목표와 여건에 맞게 교육과정이 정착되려면 학교 현장 중심 연수가 활성화되어야 하고, 좀 더 심화된 내용을 다룰 수 있는 개인 연수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김이경 외(2015) 역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원정책적 대응 방안 중 하나로 교원들의 교육과정 관련 연수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특히, 개정 교육과정이 기존 과목의 통폐합이나 변경, 새로운 과목 신설 등의 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에 교사들이 해당 과목을 가르칠 수 있도록 전문성을 함양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4. 선행연구 분석
가. 교원의 교육과정 관심도 관련 선행연구 분석

교원의 교육과정 관심도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체로 관심도에 기초한 교육 과정 실행모형(CBAM)을 활용하여 교원들의 교육과정 관심 및 실행 수준 실태를 파악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는데(김혜나, 김대현, 2010), 주요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은 그리 높지 않다는 점이다. 그 원인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그릇된 인식과 태도, 교육과정 개정 시 형식적인 연수(김민환, 2009), 교사들의 참여가 배제된 교육과정 개발 체제(길말선, 김대현, 2011; 김민환, 2009), 비효과적이고 강제적인 연수 프로그램(이지은, 신재한, 2012), 잦은 개정으로 인한 교사들의 불신(길말선, 김대현, 2011) 등이 지적되었다.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도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태도 개선(김민환, 2009),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의 교사 참여도 제고(길말선, 김대현, 2011),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이지은, 신재한, 2012) 등이 제안되었다.

둘째, 교사들의 교육과정 관심도 및 실행도는 교원들의 성별, 교직경력, 직위, 연수 경험 등 개인 특성과 학교급, 학교설립유형 등 소속 학교 특성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인다는 점이다. 권병선(1999, 2000)은 교원의 개인 특성과 소속 학교 특성이 교육과정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며, 교사 배경변인에 따라 관심 수준도 달라져서, 경력과 연령, 학교급이 높은 교사일수록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 수준은 더 낮아진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셋째, 교원의 연수 참여 경험은 그들의 교육과정 관심도에 대체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친 다는 점이다. 연구자들은 교원의 연수경험이 교육과정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가령, 길말선, 김대현(2011)은 교사의 전공이나 담당 학년과 같은 개인 특성은 교육과정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연수 경험 유무는 교육과정 관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고, 김중근, 김승재(2013)는 이를 체육교사 연수와 창의·인성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관계에서, 그리고 김찬민, 서순식(2003)은 교사의 연수 경험과 정보통신활용 교육에 대한 관심도 관계에서 모두 긍정적 영향 관계를 보고하고 있다. 반대로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연구도 있는데, 그 예로 채희인, 노석구(2014)는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수에 참여할수록 교육과정 실행 정도는 더 높아진다고 보고하였다.

나. 교원의 연수 참여 관련 선행연구 분석

교원의 연수 참여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와 문제점을 분석한 연구들(권성연 외, 2008; 김수동 외, 2001, 이윤식, 1997; 이윤옥, 2013; 장명희 외, 2014; 장은진 외, 2011; 전제상, 2010; 정태범 외; 1997, 최유현 외, 2014)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연수제도 및 체제 개선, 새로운 연수 프로그램 및 모형 개발, 연수의 효과 분석 등을 다루는 연구들도 일부 수행되었다(신현석, 오찬숙, 2013). 선행연구의 주요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연수 참여에는 연령, 교직경력, 성별, 이전 연수 참여 경험 등 교사 개인적 특성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김수동 외, 2001; 이윤옥, 2013; 장은진 외, 2011). 가령 김수동 외(2001)에 따르면 교사들의 연령이 낮고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연수 참여의지는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은진 외(2011)의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교사 가운데 여교사보다는 남교사가 과학 교과 관련 연수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중등 과학교사의 경우 교직경력이 길수록 교과 관련 연수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권성연 외(2008)는 과거 연수에 참여한 경험이 향후 연수 참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둘째, 교원의 연수 참여는 교사의 효능감 및 교육 활동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이다. 과학 교사의 자유탐구지도 연수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인식을 비교 분석한 윤희숙 외 (2012)의 연구에서는 연수 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자유탐구지도 교수 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김경연, 심현애, 김은하(2011)는 독서지도 연수의 효과 분석 연구에서 교사들의 연수 참여 여부가 독서지도 효능감과 교실 내 독서지도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방법은 설문조사로, 연구 대상은 전국 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원이다. 표집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조사통계연구본부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루어졌으며, 학교 특성을 고려하여 전국 중·고등학교의 약 5%를 비례 무선 표집하였다. 설문조사는 표집된 학교의 소속 교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2015년 3월 9일부터 19일까지 총 11일간 온라인으로 실시되었다. 총 3, 471명의 교원이 조사에 응답하였으며, 응답자의 기본적 특성을 개인 특성과 소속 학교 특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면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응답자의 기본 특성
구분 특성 빈도 (%) 합계
교원 개인 특성 직위 교장 88 (2.5%) 3,471 (100.0%)
교감 106 (3.1%)
수석교사 17 (0.5%)
부장교사 926 (26.7%)
교사 2,334 (67.2%)
연령 29세 이하 254 (7.3%) 3,471 (100.0%)
30대 813 (23.4%)
40대 958 (27.6%)
50대 1,356 (39.1%)
60대 이상 90 (2.6%)
담당 과목 주요 개정 교과 910 (26.2%) 3,471 (100.0%)
기타 2,561 (73.8%)
소속 학교 특성 학교소재지 특별시, 광역시 1,748 (50.4%) 3,471 (100.0%)
중소도시 1,055 (30.4%)
읍면지역 668 (19.2%)
학교유형 중학교 1,547 (44.6%) 3,471 (100.0%)
일반고 1,135 (32.7%)
특목고 101 (2.9%)
특성화고 490 (14.1%)
자율고 198 (5.7 %)
학교설립유형 국·공립 2, 456 (70.8%) 3,471 (100.0%)
사립 1,015 (29.2%)
학교규모 10학급 미만 503 (14.5%) 3,471 (100.0%)
10〜19학급 726 (20.9%)
20〜29학급 937 (27.0%)
30〜39학급 1,128 (32.5%)
40학급 이상 177 (5.1%)
Download Excel Table
2. 조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도구는 Hord 외(1987)가 개발한 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실행 모형 (CBAM)으로, 김경자(1993)가 번역한 문항을 활용하였다. 관심은 지각적 관심에서 강화적 관심에 이르는 총 7단계로 구분되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아직 학교 현장에 적용되지 않았다는 상황을 고려하여, 지각적 관심(2문항), 정보적 관심(3문항), 개인적 관심(3문항)을 묻는 총 8개 문항만을 활용하였다. 교육과정 개정 관련 연수에의 참여 의지를 묻는 문항을 적극성과 자발성을 묻는 문항 총 2개를 개발하였다. 응답자 특성은 교사 개인 특성(직위, 연령, 담당과 목)과 소속 학교 특성(학교소재지, 학교유형, 학교설립유형, 학교규모)으로 구분하였으며, 개인 특성 가운데 담당과목은 2015 교육과정 개정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변화를 겪게될 사회과, 과학과, 정보과 관련 교과를 주요 개정교과로, 그 외의 교과를 기타 교과로 구분하였다.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문항 개발 단계에서 전문가 및 현장교원의 검토 과정을 거쳤으며, 조사도구의 구성요소와 영역별 신뢰도 검증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조사도구의 구성요소 및 영역별 신뢰도
영역 구성요소 Cronbach’ α
배경 변수 교원 개인 특성 (3문항) ▪ 직위  ▪ 담당과목
▪ 연령
소속 학교 특성 (4문항) ▪ 학교소재지  ▪ 학교설립유형
▪ 학교유형   ▪ 학교규모
독립 변수 지각적 관심 (2문항)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관심이 있다.
.745
정보적 관심 (3문항)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에 대해 알고 싶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요구되는 사항에 대해 알고 싶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이 현 교육과정에 비해 더 나은 점이 무엇인지 알고 싶다.
.879
개인적 관심 (3문항) ▪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나의 업무에 미칠 영향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담당 교과의 지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나의 수업방법에 미칠 영향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다.
.897
종속 변수 연수 참여의지 (2문항)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연수가 실시된다면,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연수가 실시된다면,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938
Download Excel Table
3. 분석 방법

설문조사를 통해 확보한 데이터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 수준과 교원 개인 및 학교 특성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t검증, 일원분산분석 (ANOVA)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수 참여의지 수준과 교원 개인 및 학교 특성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t검증, 일원분산분석(ANOVA)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 수준이 교원의 개인 특성 및 학교 특성과 더불어 연수 참여 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위해서 독립변수인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 교원 개인 특성, 소속 학교 특성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였으며, 이 3개 모형을 도식화하면 다음 [그림 2]와 같다.

jce-19-1-23-g1
그림 2. 위계적 회귀분석 모형
Download Original Figure

Ⅳ. 연구결과 해석 및 논의

1. 교원의 관심 수준 및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들의 관심 수준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결과, 교원들은 보통 이상의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요구사항, 기존 교육과정과의 차별점 등 구체적인 정보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4> 참조).

표 4.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지각적, 정보적, 개인적 관심 수준 분석 결과
영역 문항 문항별 영역별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지각적 관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 3.67 .939 3.66 .8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관심이 있다. 3.66 .897
정보적 관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에 대해 알고 싶다. 3.72 .914 3.83 .794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요구되는 사항에 대해 알고 싶다. 3.80 .882
2015 개정 교육과정이 현 교육과정에 비해 더 나은 점이 무엇인지 알고 싶다. 3.97 .858
개인적 관심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나의 업무에 미칠 영향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다. 3.48 .999 3.51 .910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담당 교과의 지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다. 3.46 1.015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나의 수업방법에 미칠 영향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다. 3.58 .982
총계 3.67 .703
Download Excel Table

이어서, 교원들의 관심을 지각적 관심, 정보적 관심, 개인적 관심으로 구분하고, 각 관심 유형별로 배경변인에 따른 수준 차이를 분석하였다. 먼저 지각적 관심의 경우, 교원의 직위와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학교유형별로는 자율고와 특목고 근무 교원이, 그리고 설립유형별로는 사립학교 근무 교원이 국·공립학교 근무 교원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5> 참조).

표 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지각적 관심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 분석 결과
영역 특성 집단 평균 표준편차 t/F scheffe
지각적 관심 교원 개인 특성 직위 교장(a) 4.22 .647 33.555 a>d>e>b>e
교감(b) 4.04 .650
수석교사(c) 3.91 .775
부장교사(d) 3.81 .759
일반교사(e) 3.56 .834
연령 29세 이하(a) 3.38 .914 17.326 c,d,e>a,b
30대(b) 3.55 .872
40대(c) 3.70 .820
50대(d) 3.75 .757
60대 이상(e) 3.67 .652
담당과목 주요개정교과 3.70 .840 1.623 -
기타 3.65 .812
소속 학교 특성 학교소재지 특별·광역시(a) 3.68 .825 .845 -
중·소도시(b) 3.65 .803
읍·면지역(c) 3.64 .832
학교유형 중학교(a) 3.63 .865 3.682 -
일반고등학교(b) 3.71 .767
특수목적고등학교(c) 3.73 .802
특성화고등학교(d) 3.61 .786
자율고등학교(e) 3.80 .813
학교설립유형 국·공립 3.64 .836 9.537 -
사립 3.73 .774
학교규모 10학급 미만(a) 3.69 .819 .550 -
10〜19학급(b) 3.65 .816
20〜29학급(c) 3.64 .857
30〜39학급(d) 3.67 .812
40학급 이상(e) 3.70 .673
총 계 3.66 .820

** p<.01,

*** p<.001

Download Excel Table

이어서 교원들의 정보적 관심 수준이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교원의 직위가 높을수록 정보적 관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위를 제외한 다른 교원 개인 특성이나 소속 학교 특성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표 6> 참조).

표 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정보적 관심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 분석 결과
영역 특성 집단 평균 표준편차 t/F scheffe
정보적 관심 교원 개인 특성 직위 교장(a) 4.05 .693 6.420 b,d>e
교감(b) 4.03 .747
수석교사(c) 3.88 .745
부장교사(d) 3.89 .767
일반교사(e) 3.79 .807
연령 29세 이하(a) 3.90 .833 2.289 -
30대(b) 3.88 .814
40대(c) 3.84 .798
50대(d) 3.79 .778
60대 이상(e) 3.84 .663
담당과목 주요개정교과 3.84 .833 .155 -
기타 3.83 .780
소속 학교 특성 학교소재지 특별·광역시(a) 3.84 .799 1.451 -
중·소도시(b) 3.80 .770
읍·면지역(c) 3.87 .819
학교유형 중학교(a) 3.84 .802 1.434 -
일반고등학교(b) 3.85 .773
특수목적고등학교가(c) 3.88 .874
특성화고등학교(d) 3.76 .784
자율고등학교(e) 3.80 .831
학교설립유형 국·공립 3.84 .800 .320 -
사립 3.82 .781
학교규모 10학급 미만(a) 3.87 .801 .394 -
10 〜 19학급(b) 3.84 .794
20 〜 29학급(c) 3.83 .807
30 〜 39학급(d) 3.82 .800
40학급 이상(e) 3.83 .657
총 계 3.83 .794

*** p<.001

Download Excel Table

마지막으로, 교원의 개인적 관심 수준이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배경 변인 가운데 담당 과목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표 7> 참조). 현재 담당 과목이 주요 개정 교과에 속하는 교원들의 개인적 관심 수준이 높다는 결과는 교육과정 개정의 영향을 받는 교과를 담당하는 교원들이 그렇지 않은 교원들보다 향후 교육과정 개정이 자신의 업무, 교과 지위, 교수방법에 미칠 영향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표 7.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개인적 관심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 분석 결과
영역 특성 집단 평균 표준편차 t/F scheffe
개인적 관심 교원 개인 특성 직위 교장(a) 3.61 .950 .897 -
교감(b) 3.51 .866
수석교사(c) 3.57 .586
부장교사(d) 3.54 .903
일반교사(e) 3.49 .915
연령 29세 이하(a) 3.50 .979 1.539 -
30대(b) 3.55 .916
40대(c) 3.53 .930
50대(d) 3.47 .876
60대 이상(e) 3.40 .927
담당과목 주요개정교과 3.65 .900 5.348 -
기타 3.46 .908
소속 학교 특성 학교소재지 특별·광역시(a) 3.51 .920 .103 -
중·소도시(b) 3.50 .895
읍·면지역(c) 3.50 .907
학교유형 중학교(a) 3.50 .931 1.250 -
일반고등학교(b) 3.51 .895
특수목적고등학교가(c) 3.61 .983
특성화고등학교(d) 3.47 .865
자율고등학교(e) 3.62 .895
학교설립유형 국·공립 3.51 .924 .205 -
사립 3.50 .875
학교규모 10학급 미만(a) 3.54 .888 .462 -
10〜19학급(b) 3.48 .951
20〜29학급(c) 3.50 .917
30〜39학급(d) 3.51 .897
40학급 이상(e) 3.55 .840
총 계 3.51 .910

*** p<.001

Download Excel Table
2. 연수에 대한 교원의 참여의지 수준 및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연수 참여의지는 평균 3.68점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조사 되었다(<표 8> 참조). 즉,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수가 실시될 경우 교원들은 대체로 적극적, 자발적으로 참여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8. 2015 개정 교육과정 관련 연수에 대한 교원의 참여의지 수준 분석 결과
영역 문항 문항별 영역별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연수 참여의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연수가 실시된다면,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3.73 .958 3.68 .93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연수가 실시된다면,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3.62 .977
Download Excel Table

배경변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위가 높고, 학교소재지 규모가 작은 학교에 근무하는 교 원들의 연수 참여의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9> 참조).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개인 및 소속 학교의 특성 역시 교원들의 연수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연수 참여의지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 분석 결과
영역 특성 집단 평균 표준편차 t/F scheffe
연수 참여 의지 교원 개인 특성 직위 교장(a) 4.08 .897 19.769 a,b>d>e
교감(b) 4.20 .912
수석교사(c) 4.29 .588
부장교사(d) 3.75 .935
일반교사(e) 3.60 .931
연령 29세 이하(a) 3.73 .894 .933 -
30대(b) 3.69 .922
40대(c) 3.70 .979
50대(d) 3.64 .932
60대 이상(e) 3.66 .895
담당과목 주요개정교과 3.66 .985 -.566 -
기타 3.68 .922
소속 학교 특성 학교소재지 특별·광역시(a) 3.64 .956 4.245 c>a
중·소도시(b) 3.68 .908
읍·면지역(c) 3.76 .939
학교유형 중학교(a) 3.71 .936 1.115 -
일반고등학교(b) 3.65 .933
특수목적고등학교(c) 3.65 1.108
특성화고등학교(d) 3.64 .914
자율고등학교(e) 3.64 .966
학교설립유형 국·공립 3.68 .943 .387 -
사립 3.66 .930
학교규모 10학급 미만(a) 3.78 .928 2.248
10〜19학급(b) 3.62 .942
20〜29학급(c) 3.67 .958
30〜39학급(d) 3.68 .926
40학급 이상(e) 3.64 .930
총 계 3.68 .939

* p<.05,

*** p<.001

Download Excel Table
3. 교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과 연수 참여의지 간 영향관계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 수준이 교원의 개인 특성 및 학교 특성과 함께 연수 참여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할 때 투입되는 독립변수의 순서는 상관이 없으나(송지준, 2009), 대체적으로 영향력이 큰 변수를 먼저 투입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주요 독립변수인 교원의 관심 수준을 먼저 투입한 후, 연수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교원 개인 특성 및 학교 특성 순으로 독립 변수를 추가 투입하였다.

모형 1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이 연수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 것으로, 독립변수의 설명력은 약 22.8%였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지각적, 정보적, 개인적 관심이 높을수록 연수 참여의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0> 참조).

표 1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 수준이 연수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독립 변수 모형 1 모형 2 모형 3
SE β t SE β t SE β t 공차 한계 VIF
(상수) .076 17.522 .153 13.900 .164 11.887
관심 수준 지각적 관심 .023 .137 6.918 .023 .129 6.369 .023 .131 6.438 .532 1.878
정보적 관심 .023 .358 18.368 .023 .348 17.760 .023 .346 17.678 .571 1.751
개인적 관심 .019 .041 2.268 .019 .046 2.528 .019 .046 2.547 .667 1.500
교원 개인 특성 직위 .018 −.114 −7.013 .018 −.114 −6.928 .807 1.240
연령 .015 −.071 −4.319 .015 −.071 −4.306 .804 1.244
담당과목 .032 .009 .594 .032 .010 .663 .979 1.022
소속 학교 특성 학교소재지 .019 .053 3.314 .871 1.149
학교유형 .013 −.014 −.851 .770 1.299
학교설립유형 .032 .007 .453 .884 1.131
학교규모 .014 .024 1.435 .752 1.330
통계량 R2 = .228
adj R2 = .228
F = 342.163
R2 = .240
adj R2 = .239
F = 182.651
R2 = .243
adj R2 = .241
F = 111.017
통계변화 R2 변화량 = .228
F 변화량 = 342.163
R2 변화량 = .012
F 변화량 = 18.082
R2 변화량 = .003
F 변화량 = 2.950

* p<0.05,

** p<0.01,

*** p<0.001

Download Excel Table

모형 2는 모형 1에 교원 개인 특성을 추가 투입한 것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 수준과 교원 개인 특성이 연수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독립변수들의 설명력은 약 23.9%로 증가했으며, 본 모형에서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 수준이 높을수록 교원의 연수의지가 높아졌으며, 교원 개인 특성에 따라서는 직위가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연수 참여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0> 참조).

마지막으로, 모형 2에 학교 특성 변수를 추가 투입한 모형 3의 분석 결과, 독립변수들의 설 명력은 24.1%로 증가했으며, 역시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 수준이 높을수록 연수 참여의지도 높게 나타났다. 개인 특성에 따라서는 직위가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연수 참여의지가 높았으며, 학교 특성에 따라서는 학교 소재 지역 규모가 작은 학교에 근무하는 교원일수록 연수 참여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자면, 정보적 관심(β=.346)이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이어서 지각적 관심(β =.131), 직위(β=-.114), 연령(β=.071), 학교소재지(β=.053), 개인적 관심(β=.046)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표 10> 참조). 이를 통해 개인 및 소속 학교 특성이 교원들의 연수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나, 그보다는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 수준이 연수 참여의지를 더 잘 설명할 수 있는 주요 독립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4. 종합 논의

연구 결과, 교원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보통 이상 수준의 관심을 보이고 있었으며, 대체로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요구사항, 기존 교육과정과의 차별점 등 구체적인 정보에 관심을 갖는 정보적 관심 단계에 머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정 교육 과정이 실행되고 있는 시점에서도 교원들의 관심 수준이 지각적 관심(무관심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선행연구 결과(길말선, 김대현, 2011; 김민환, 2009; 김은주, 양무열, 김대현, 2010; 이지은, 신재한, 2012; 채희인, 노석구, 2014)와는 상반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심도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전면 개정이기 때문에 수시 개정 교육과정보다 더 큰 이슈가 되고 있고, 공청회나 언론 매체 등에서 관련 정보가 활발히 공개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연구결과에 따르면, 교원들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더 알고 싶어하며, 이는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정보가 교원들에게 아직 충분히 제공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해준다.

한편 이러한 관심도는 교원 개인 특성이나 소속 학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먼저 지각적 관심은 직위와 연령, 학교 특성에 따라, 정보적 관심은 직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여러 선행연구 결과(김은주 외, 2010; 이지은, 신재한, 2012; 채희인, 노석구, 2014)를 지지한다. 이는 일반교사에 비해 직책이 높은 부장교사나 교감이 학교 내 교육과정 운영에 더 깊게 관여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초기에 이들에게 더 많은 정보가 제공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육과정 개정에 의해 중요한 변화를 겪는 과목 교원들의 개인적 관심이 높게 나타난 점은 새 교육과정 정착 시 교사가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따라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과 지지 수준이 달라진다고 보고한 연구결과(Sikes, 1992; 김평국, 2003에서 재인용)와 맥을 같이 한다. 즉 자신이 담당하는 교과가 교육과정 개정의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하는 교원들은 교과의 지위나 수업 내용 및 방법 변화 등 자신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 더욱 개인적인 관심을 보인다는 것이다.

교원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수가 실시된다면,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의지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교육과정 관련 연수에 대한 교원들의 요구와 참여 의지가 높다는 선행연구(이성은, 최진영, 송경오, 2010; 최유현 외, 2014) 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또한 교원의 연수 참여의지는 교원의 직위와 재직 중인 학교소재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는 교사의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교육과정에 대한 연수 요구가 높다는 연구(이성은 외, 2010)나, 원격교육 연수 횟수가 특별·광역시 소속 학교 재직 교사보다 도서지역 학교 재직 교사가 더 많다는 연구(권성연 외, 2008) 결과를 지지한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교원들의 연수 참여의지에는 교원 개인 특성과 학교 소재지 등도 영향을 미쳤으나,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이었다. 이는 교원의 관심도가 높을수록 학습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것을 밝힌 선행연구들(Schifter, 2000; Lohman, 2006)과 일맥상통한다. 연수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주로 연수 참여가 교원들의 교육과정 관심도와 실행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는데(길말선, 김대현, 2011; 김중근, 김승재, 2013; 채희인, 노석구, 2014), 본 연구 결과는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가 역으로 교원의 연수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에 대한 여러 관심 수준 중에서도 연수 참여의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정보적 관심이었다. 정보적 관심은 개정 교육과정과 관련된 정보를 대거 요구하는 단계로서(박한숙, 2013), 정보적 관심에 도달한 교사들은 관련된 내용 자체에 관심이 많고, 관련 정보를 더 많이 필요로 한다(왕유진, 박선화, 2014; 이미순, 2014). 정보적 관심의 영향력이 큰 것은 2015 교육과정은 도입 단계로 아직까지 구체적인 정보가 부족한 현재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보적 관심 수준이 높은 교원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교원연수에 참여하려는 높은 의지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학교 현장 교원들이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있어야 하고, 따라서 교원의 연수 참여가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들의 관심 수준과 연수 참여의지 수준을 분석하는 한편, 교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이 연수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및 종합 논의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아직 시행 전 단계이지만 중등 교원들은 개정 교육과정과 관련 된 구체적인 정보에 대해 관심이 많음을 알 수 있다. 교장이나 교감 등 직위가 높은 교원은 학교 경영 관점에서 2015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과 요구사항, 변화 사항에 대해서 관심이 많고, 교육과정 개정의 영향을 많이 받는 교과를 담당하는 교원들은 개정 교육과정이 자신의 업 무나 수업방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인적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2015 개정 교육과정 관련 연수가 시행될 경우, 교원들은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의사가 있으며, 특히, 교장, 교감, 수석교사 등 리더십 지위에 있는 교원들의 참여 의지가 강했다.

둘째, 중등 교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 정도가 연수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원의 연수 참여의지에는 개인 특성과 소속 학교 특성이 영향을 미치지도 하지만, 이들 요인보다는 교원들이 교육과정에 대해 얼마나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느냐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체적으로 기존의 교육과정 개정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된 선행연구 결과와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현격하게 새로운 발견이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그럼에도 불구 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특성으로부터 기인하는 차별적인 결과도 드러났다. 이번 교육과정 개정이 전면개정으로 과목의 신설이나 통폐합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서 교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고, 따라서 교원들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내용을 현직연수를 통해 함양하려는 의지도 그만큼 강하다는 것이다. 특히, 교육과정 개정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과목을 담당하는 교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리더십 지위에 있는 교원들의 연수 참여 의지가 강하다는 점은 향후 연수의 방향이나 내용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상 내용을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이 현장 교원들의 교육과정 실행 역량 제고를 통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교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이 관련 연수에 참여하고자 하는 교원들의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밝혀진 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들의 관심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 강도 높게 추진될 필요가 있다. 그동안 교육부는 교원들이 새 교육과정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공청회 개최 등의 노력을 펼쳐왔으나, 교원들의 개정 교육과정 관련 궁금증을 해소하기에는 아직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015 교육과정 개정이 전면 개정이라는 점에서 모든 교원들이 관심을 가지고 주요 변화 내용은 물론, 이러한 변화가 자신의 학교급이나 과목, 교수방법 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대한 새로운 사항이 확정될 때마다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교원 들의 동참 및 실행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관련 연수에의 참여의지가 낮은 집단의 동기와 활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 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리더십 지위에 있는 교원들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과 연수 참여의지가 높게 나타난 이유는 그들이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에 주도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교육과정을 교실에서 직접 구현하는 주체는 모든 개별 교사들이라는 점에서, 개정 교육과정이 교수-학습 실천으로 이어지려면 평교사나 저경력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연수에 적극 참여하는 것도 못지않게 중요하다. 이에, 그들의 연수 참여의지 제고를 위한 적절한 유인책 마련 및 학교 여건 조성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2018년부터 현장에 적용될 예정이다. 적용을 앞두고 앞으로 2 년동안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수가 다각도로 충실하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의미, 주요 내용, 요구되는 사항, 핵심 변동 사항, 단위학교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등 보다 구체적인 정보에 초점을 맞춘 연수가 필요하다. 또한 통합사회나 통합과학 등 신설과목을 담당하게 될 교사들에 대해서는 관련 과목의 지식체계 및 내용은 물론, 교수-학습 방법 및 교사 간 협업 등에 관한 보다 실천적인 역량이 연수를 통해 함양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설계가 요구된다. 이와 함께 연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학교 업무 감면, 연수 비용 지원 등과 같은 유인책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개정 교육과정이 학교현장에 잘 적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원들이 연수를 통해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하고, 이러한 연수에의 참여는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다는 가정을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이 연수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아직 실행 단계에 있지 않기 때문에 CBAM 모형에 포함된 관심도 가운데 지각적, 정보적, 개인적 관심도만을 분석에 포함시켰다는 점은 교원의 관심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제한점으로 작용한다. 좀 더 심도 있고 풍부한 분석을 위해서는 7단계의 관심도 모두를 포함한 교원의 관심도와 연수 참여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는 바, 이를 2015 개정 교육과정이 현장에 적용된 이후의 후속연구 과제로 제시하고자 한다.

Notes

1) 본 연구는 김이경 외(2015) 연구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재분석한 것으로, 2015년 한국교원교육학회 연 차학술대회 포스터발표 원고를 수정·보완한 것임.

참고문헌

1.

교육부(2014a). 2015년도 교원 연수 중점 추진 방향..

2.

교육부(2014b).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 발표..

3.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발표..

4.

권병선(1999). 체육교사의 근무 지역별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및 활용도 분석. 경영연구, 24, 193-213..

5.

권병선(2000). 학교급별(초·중·고) 체육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관심도와 활용도 분석. 경영연구, 25, 387-404..

6.

권성연, 박호근, 최경애(2008). 교원 특성에 따른 원격교육연수 경험 및 선호도 차이분석. 한 국교원교육연구, 25(2), 25-52..

7.

길말선, 김대현(2011).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관심 분석. 교육 과정연구, 29(2), 121-143..

8.

김경연, 심현애, 김은하(2011). 책날개 독서지도 연수의 효과: 초등교사의 성별에 따른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8(1), 113-132..

9.

김민환(2009).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수준 분석.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9(3), 87-107..

10.

김수동, 박순경, 유승연(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평가에 대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RRC 2001-11-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김은주, 양무열, 김대현(2010). 2007 개정교육과정 통합교과의 「통합단원」실행에 관한 교사 들의 관심도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2(2), 287-302..

12.

김이경, 박상완, 김성기, 이원춘(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편 등에 대응한 교원정 책 방향 탐색. 서울: 한국교육정책연구소·교육부..

13.

김중근, 김승재(2013). 2009개정 교육과정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체육교사의 관심과 실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6), 171-194..

14.

김찬민, 서순식(2003). 정보통신활용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 조사연구. 교육연구, 20, 275-299..

15.

김평국(2003).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새로운 교원 연수 모형으로서의 해석적 교원 연수 모 형. 교육과정연구, 21(2), 123-143..

16.

김평국(2014). 국가 교육과정의 적용 단계에서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와 전문성 신장: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3), 95-122..

17.

김혜나, 김대현(2010). CBAM 실행 수준에 관한 국내 연구물들의 성격 분석. 교육사상연구, 24(2), 1-22..

18.

민용성, 백경선, 한혜정(2012). 2009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 집중 과정’ 설계 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2), 143-164..

19.

박한숙(2011). 2009 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교원교육, 27(4), 297-315..

20.

박한숙(2013). 2009 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중학교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4), 417-436..

21.

송지준(2009).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파주: 21세기사..

22.

신현석, 오찬숙(2013). 교원 현직연수 연구동향 분석: 연구 영역, 주제 및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0(3), 431-462..

23.

오성배, 강충서(2014). 다문화교육 교원연수 참여에 따른 교사의 교육지원 행위 차이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7(2), 1-25..

24.

왕유진, 박선화(2014).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 대상자들의 관심도 분석 및 교사연수 후 변화. 영재교육연구, 24(6), 917-934..

25.

윤희숙, 김희경, 이기영, 조희형(2012). 자유탐구지도 연수프로그램이 중등과학교사의 자유탐 구 교수 효능감 및 인식에 미치는 효과. 교원교육, 28(3), 343-363..

26.

이미순(2014). 융합교육 연수경험과 수업적용 여부가 STEAM 관심단계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52(1), 251-271..

27.

이미정(2010).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다문화교육, 1(2), 81-92..

28.

이성은, 최진영, 송경오(2010). 교직발달단계에 따른 초중등 교사의 연수 요구 분석. 열린교육연구, 18(1), 127-154..

29.

이윤식(1997). 초·중등 교원 연수제도 및 교육과정. 교육행정학연구, 15(3), 149-179..

30.

이윤옥(2013).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 교육연수 참여 실태 및 요구분석. 유아교육·보육복 지연구, 17(2), 264-290..

31.

이지은, 신재한(2012). CBAM에 기초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도 및 실행도 분석. 교사교육연구, 51(1), 137-151..

32.

임윤진, 최유현(2015).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특허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개선 방안 탐색.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1), 23-39..

33.

장명희, 전승환, 정동열(2014).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중등직업교육 교원의 양성·임용·연수 개선 요구분석. 직업교육연구, 33(6), 159-182..

34.

장은진, 고민석, 권치순(2011). 초·중등교사의 과학연수 참여도와 연수 프로그램 선호도 분석. 한국초등교육, 22(3), 1-14..

35.

전제상(2010).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따른 교원연수지원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369-394..

36.

정진구, 김자미, 김홍래(2009). 원격교육연수원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한국정보교육학 회논문지, 13(2), 135-144..

37.

정태범, 서정화, 김명수, 유위준(1997). 교육과정 개정 관련 교원대책: 제 7차 교육과정 개정관련 교원양성, 교원연수, 교원수급 방안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과정개정연구 위원회..

38.

주미경, 문종은, 박모라(2013). 중등 교사의 융복합교육 연수 만족도 및 요구 조사. 교과교육 학연구, 17(2), 521-547..

39.

채희인, 노석구(2014).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수준 분석. 초등과학교육, 33(4), 634-645..

40.

최유현, 임윤진, 이명훈, 이동원(2014).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기술 정교사 자격연수 참 여자의 교육요구도. 실과교육연구, 20(2), 119-143..

41.

허숙(2001). 교육과정의 운영과 교원 능력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18(3), 45-62..

42.

홍후조, 임유나(2014). 고교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발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교육 과정연구, 32(2), 67-99..

43.

Fuller, F. F. (1969). Concerns of teachers: A developmental conceptualiz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6(2), 207-226. .

44.

Hord, S. M., & Loucks, S. F. (1980). A concerns-based model for the delivery of inservice. Austin: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45.

Hord, S. M., Rutherford, W. L., Huling-Austin, L., & Hall, G. E. (1987). Taking charge of change.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김경자 역(1993). 교육과정 혁신. 서울: 교육과학사..

46.

Lohman, M. C. (2006).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engagement in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 18(3), 141-156. .

47.

Rutherford, W. L. (1977). An investigation of how teachers’ concerns influence innovation adoption. Procedures for adopting educational innovation project. Austin: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ERIC Document Reproduction NO. ED 251 426), p. 4..

48.

Schifter, C. C. (2000). Faculty participation in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A case study of motivating and inhibiting factors.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4(1), 15-22..

49.

Sikes, P. J. (1992). Imposed change and the experienced teacher. In M. Fullan & A. Hargreaves(Eds.), Teacher development and educational change (pp. 36-55). London: The Falmer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