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평가연구

고교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성과 분석

류영철 1 , *
Young-Cheol Ryu 1 ,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경남교육연구정보원 책임연구원
1Senior Researcher, Gyeongsangnamdo Education Research&Information Institute
*제1저자 및 교신저자, sun072@korea.kr

© Copyright 2015,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Sep 10, 2015 ; Revised: Oct 30, 2015 ; Accepted: Nov 06, 2015

Published Online: Nov 30, 2015

요약

본 연구는 고교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의 성과 분석을 통해 고교의 진로진학지도에 도움을 주고, 대학 학생부전형 서류평가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됐다. 이를 위한 두 단계의 절차는, 첫째, 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각 영역별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 고교별로 공통으로 나타나는 활동과 각 학교별 특색 있는 창의적 체험 활동을 활용하여 설문문항을 도출하고,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문항용 체득 역량을 구성했다. 둘째, 성과로서의 교육과정을 학습자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도출된 설문문항과 체득 역량을 활용하여 창의적 체험 활동에 대한 고교 생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평가하고 있는 창의적 체험 활동의 영역별 체득 역량을 정리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의미 있는 자율 활동은 동아리 발표회, 학생회의 순이었다. 체득 역량은 협동능력, 공동체의식 순이었다. 둘째, 의미 있는 동아리활동은 과학탐구활동, 봉사활동 순이었다. 체득역량은 협동능력, 관계형성능력 순이었다. 셋째, 의미 있는 봉사활동은 학습부진 친구 돕기, 노인 돕기 순이었다. 체득 역량은 타인 이해 및 배려 능력, 관계형성능력 순이었다. 넷째, 의미 있는 진로활동은 대학전공체험, 적성검사 순이었다. 체득 역량은 진로탐색설계능력, 자기 성찰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helps to Career Guidance in schools through analysis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in high school, university student group type rating validity of documents, the purpose of which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fairness. Two steps are for this. First, the plan as each area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a curriculum analysis, utiliz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at featured activities with each school by appearing to high school by Common derive the questionnaire and professionals acquire the capacity for items made up by the Council. Second, to analyze the curriculum as a performance from the learner perspective, derived questionnaire and acquire the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by Acquired the competencies survey, analysis and acquire specific areas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which students to evaluate themselves the capacity was classified. Research results are, first, meaningful voluntary activities club presentation was the order of the Student Council. Acquire skills competency partner, it was sequential of the community. Secondly, it was meaningful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science inquiry activities, volunteer work order. Acquire competence was cooperative skills, relationship skills in order. Third, meaningful service learning activities to help poor friend was in order to help the elderly. Acquire competency is understanding and considerate of others skills, relationship skills was the order. Fourth, meaningful career college major activity was the experience, aptitude test order. Career Exploration design skills are learned skills, was a pure introspective ability.

Keywords: 창의적 체험 활동; 고교 교육과정
Keywords: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High School Curriculum

I. 서론

2007년 시범사업 기간을 거쳐 2008년 본격적으로 입학사정관제 지원 제도가 시작된 이후 학생부종합전형(舊, 입학사정관전형)은 기존의 교과 내신 성적만이 아니라 비교과 활동을 통해 학생의 잠재력, 인성 등을 선발에 주요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에 학생의 성장, 발달과정을 기록한 학교생활기록부(이하, 학생부)가 서류평가의 가장 중요한 평가 자료로 대두됐다.

학생부는 학생의 고교 3년간의 교과영역 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 활동(이하, 창체 활동), 출결, 수상실적, 봉사활동, 독서활동 등의 비교과 영역의 과정과 성취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그 중에서도 학생이 지닌 다양한 소질과 잠재력을 종합적으로 살펴 볼 수 있는 창체 활동 기록에 대한 평가 비중은 주요 대학들의 학생부종합전형 모집 인원의 확대와 진로활동에서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 강조, 담임교사의 학생부기록비중이 증가되는 현실을 반영한 비 교과 교육과정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더욱 높아졌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여전히 학생부의 진실성, 각 대학에서 서류평가의 타당성 등의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학생부의 기록을 각 대학이 서류 평가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미미한 것이 사실이다.

입학사정관제의 확대 이후 학생부 창체 활동 기록에 대한 서류 평가 타당도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이뤄져 왔으나 아직까지는 미흡한 상황이다. 고교의 창체 활동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평가에 활용하고자 평가방법을 제언한 이가영외 (2012)의 연구가 있지만 이는 고교의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그치고 있어 한계가 있다. 또한 입학사정관제 실시에 따른 창체 활동에 대한 현황과 과제를 분석한 이성철(2010)의 연구는 실제 데이터 분석에 바탕을 둔 현황파악이 아닌, 포괄적인 입학사정관제의 문제점 도출에 그쳐 아쉬운 점이 있다.

본 연구는 학생부의 창체 활동 관련 내용을 대학에서 대외비로 공개하지 않는 학생부종합전형 서류평가에서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간접적으로 파악하여 추후 학생들의 진로진학지도에 도움을 주기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작했다. 이를 위해 먼저 설문지 항목과 체득 역량항목을 도출하고, 창체 활동이 학습자에게 준 영향을 파악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체득했다고 생각하는 역량과 그 정도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런 분석을 통해 학생의 잠재력과 역량 등을 보다 면밀하게 파악하는 도구로서의 학생부에 대한 대학 서류평가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각 고교에서는 학생부 종합전형 서류 평가 결과에 대해 참고하여 추후 학생의 진로진학 지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교육과정의 설계

교육과정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된 교육내용과 학습활동을 체계적으로 편성·조직 한 계획이다.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을 통해서 도달해야 할 교육목표, 학습내용의 범위(scope), 계열(sequence)로 구성되며, 학생들에게 관련된 학습경험을 하도록 하기 위한 교육내용, 교육 방법, 교육평가, 지원활동 등의 지침들로 구성된다(소진형, 2013). 학교교육과정의 개념이 도입된 제6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하여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자율권이 확대되었으며, 특히 2009개정교육과정에서는 교육과정편성·운영의 자율권이 대폭 이양됐다.

김호권(1997)은 교육과정을 세 수준으로 구분한다. 첫째, 공약된 목표로서의 교육과정은 의도된 교육과정으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기준 고시, 시·도교육청수준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지침 등이 이에 속한다. 둘째, 수업 속에 반영된 교육과정으로 현장 교사에 의하여 공약된 목표로서의 교육과정이 수업에서 전개되는 것이다. 셋째, 학습 성과로서의 교육과정은 실현된 교육 과정으로 학습에 참여한 학생들이 실제 갖게 되는 경험 및 성취를 의미한다(박의수외, 2010).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교 교육과정 분석에서 학습 성과로서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성과를 학습자 관점에서의 실제 갖게 되는 경험과 성취(체득)역량으로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성과로서의 교육과정 분석은 학습자 설문 조사를 통한 연구를 통해 창체 활동의 실행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2. 창의적 체험 활동의 운영

창의적 체험 활동은 교과 위주의 학교 교육활동에서 벗어나 창의성과 인성교육을 배양하는 다양한 체험중심의 교육을 통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기능을 골고루 갖추도록 하는 교육과정이다(소진형, 2013). 창체 활동은 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의 네 영역으로 구분된다. 학생부종합전형 서류평가에서 창체 활동은 주로 인성 영역과 전공적합성 영역에서 평가된다. 인성영역은 주로 자율과 봉사활동을 보고, 전공적합성 영역은 동아리와 진로활동을 평가한다(이가영외, 2012). 창체 활동은 학교의 자율권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영역이며, 학교의 노력과 의지에 따라 다른 학교와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운영할 수 있다. 학교에서는 학생의 소질과 특기, 관심 분야, 미래 진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창체 활동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해야 한다(소진형, 2013). 창체 활동은 24단위 (408시간) 이상 편성 운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창체 활동은 학생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학년별로 활용영역 및 내용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나, 특정영역이 제외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창체 활동은 학교의 필요에 따라 기준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확보하여 운영할 수 있으나, 기준시간 이하로는 감축할 수 없다(소진형, 2013).

표 II-1. 고교 교육과정 이수단위(교육부, 2014: 2014학년도 신입생 적용 일반고, 특목고)
구분 교과 영역 교과(군) 필수이수단위 학교자율과정
보통교과 기초 국어 10 학생의 적성과 진로를 고려하여 편성
수학 10
영어 10
탐구 사회(역사/도덕 포함) 10
과학 10
체거·예점 체육 10
예술(음악/미술) 10(5)
생활·교양 기술·가정/제2외국어/한문/교양 16(12)
소계 86(77) 94(103)
창체 활동 24(408시간)
총 이수 단위 204

* ( )안의 숫자는 특수목적고만 해당됨.

Download Excel Table
3. 핵심 역량 기반 교육과정

최근에 직업교육이나 학교교육에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는 역량이란 용어는 1920년대 과학적 관리의 창시자라 불리는 Taylor가 업무를 세부적인 구성요소로 나눌 것을 제안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했다(이홍민, 2003). 현대적인 역량의 개념을 정립한 것은 성취동기이론으로 유명한 맥클랜드(McClleland)로서 성공적인 업무 수행자와 평균적인 업무수행자를 비교해서 성공과 관련된 특성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이광우 외, 2009).

직업사회의 필요에 의해 등장한 역량 개념이 일반적인 삶의 질과 관련된 논의로 발전한 것은 OECD가 진행한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프로젝트를 통해서다. OECD가 진행한 DeSeCo 프로젝트는 역량을 직업 분야가 아닌 인간 전체의 삶과 관련지음으로써 역량이 우리의 전체적인 삶의 질과 관련하여 중요하다는 점을 일깨워줬다. DeSeCo 프로젝트에 따르면 역량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첫째, 인지적·비인지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심리사회적 특성을 활성화함으로써 어느 특정한 상황에서의 복잡한 요구에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 둘째, 단순히‘〜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아니라 개인에게 내재되어 있는 능력, 성향, 자원의 의미로서 내적 정신적 구조로 개념화되는 것으로, 어느 특정한 상황에서의 요구에 대하며 개인이 활용하는 지식, 인지적 능력, 태도, 가치관, 동기 등으로 개념화할 수 있는 것. 셋째, 한 개인이 역량을 갖고 있다는 것은 어느 특정한 상황에서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자원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조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이광우 외, 2009). 우리나라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부터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구조화되기 시작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 교육과정이 구성됐다.

표 II-2. 미래사회 초·중등학교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핵심 역량 (이광우외, 2009)
핵심역량 요소(내용)
창의력 창의적 사고기능, 창의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문제 인식, 해결방안의 탐색, 해결방안의 실행과 평가, 논리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능력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정보처리능력 정보 수집, 정보 분석, 정보 활용, 정보윤리, 매체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타인 이해 및 존중, 협동, 갈등관리, 관계형성, 리더십
자기관리능력 자아정체성 확립, 여가선용, 건강관리, 합리적경제생활, 기본생활습관, 자기주도적학습능력
기초학습능력 기초적 읽기, 기초적 쓰기, 수리력
시민의식 공동체 의식, 준법 정신, 환경 의식, 윤리 의식, 봉사정신
국제사회문화이해 우리문화 이해, 다문화 이해, 문화 향유능력, 국제사회이해, 외국어 소양
진로개발능력 진로 인식, 진로탐색, 진로설계
Download Excel Table

Spencer&Spencer(1993)에 따르면 역량은 5개 유형이 있다. 5개 유형은 동기(motives), 특질(traits), 자아개념(self-concept), 지식(knowledge), 기술(skill)이다. 동기란 어떤 행동을 하도록 하는 가장 근원적인 요인이며, 특질이란 신체적 특성과 더불어 상황이나 정보에 대한 일관된 반응이다. 자아개념은 개인의 태도, 가치 혹은 자아상을 말하며, 지식은 특정 내용 영역에 있어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기술은 특정한 물리적·정신적 과제를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소경희, 2007).

5개 유형 가운데 지식과 기술 역량은 가시적인 확인이 가능하여, 다른 역량에 비해 표면적인 측면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자아개념, 특질, 동기 역량은 눈에 잘 띄지 않아, 상대적으로 심층적인 측면에 해당한다(소경희, 2007). 그런데 지금까지 대학은 심층적인 측면은 고려하지 않고, 표면적인 측면인 교과 성적만을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해 왔다. 여기에는 교과 성적이 뛰어난 인재가 그에 대응하는 역량을 가지고 있어 대학에서도 이런 역량을 발휘할 거라는 예언타당 가정을 전제하고 있다. 하지만 Spencer&Spencer(1993) 역량 개념에 의하면, 특정 행위의 표출 역량은 인간 내부의 동기와 특질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이런 동기와 특질은 쉽게 개발될 수 없는 것이다(소경희, 2007).

이 역량 개념에 따르면, 대학에서 인재를 선발할 때 이제까지 간과해 왔던 개인의 심층 동기와 특질 역량에 더 관심을 두어야 한다. 그런 요소들이 성공적으로 학업을 수행해 내는데 중요 한 구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인의 가치관, 태도, 특성, 동기, 자아개념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인 학생부에 대한 보다 분석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III. 연구 방법

1. 연구의 과정 및 절차

고교 창체활동 교육과정 성과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고교 교육과정을 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과 성과로서의 교육과정으로 나누고, 성과는 학습자 관점으로 개념화하며 분석했다. 먼저 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 5개 일반고교(경기2, 서울2, 인천 1) 교육과정 편성 운영표를 분석했다. 일반고는 자율권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대개 비슷한 교육과정을 운영 (소진형, 2013)하기 때문에 일반고 5개고 교육과정은 거의 모든 학교에서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교육과정 분석은 다수의 일반고에서 어느 정도의 대표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교육과정 편성 운영표에 기술되어 있는 창체 활동의 4영역인 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 활동 각 영역별로 공통 활동과 특정고의 특별한 창체 활동을 도출했다. 다음으로 성과로서의 교육 과정을 학습자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창체 활동에 대한 고교생 238명 인식을 조사했다. 설문은 고교시절 참여한 창체 활동 영역별로 가장 의미 있었던 활동(1〜3순위)과 그 활동을 통해 체득(성취)됐다고 생각되는 역량을 묻는 내용이다. 문항용 체득 역량은 11개 역량으로 구성했다. 먼저 진로진학상담교사 25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통해 체득 역량초안 28개를 추출했다. 초안을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3차례 진행했다.

표 III-1. 문항용 체득 역량 초안 도출을 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개방형 설문 대상자
번호 성별 연령 최종학력 교사경력 학교 진로진학교사경력
1 44 석사 17년 3년
2 54 석사 28년 3년 6월
3 49 석사 21년 4년
4 52 박사수료 27년 4년
5 47 학사 18년 3년
6 51 석사 24년 4년
7 48 석사수료 18년 3년
8 46 석사 16년 3년
9 53 석사 27년 3년6월
10 51 석사수료 23년 4년
11 52 박사수료 24년 4년
12 45 학사 18년 4년
13 51 석사 23년 4년
14 48 석사 17년 3년
15 44 석사 16 3년
16 54 석사 28년 3년6월
17 50 석사 22년 4년
18 54 석사 27년 4년
19 47 석사 17년 4년
20 51 석사 24년 3년6월
21 48 석사 18년 3년
22 44 석사 16년 3년
23 53 석사 26년 3년 6월
24 48 석사 21년 4년
25 56 박사수료 27년 4년
Download Excel Table
표 III-2. 문항용 체득 역량 개발을 위한 전문가 협의회 대상자
성명 직책 및 직위 성별 연령 최종학력 교사경력 진로 또는 진학교사경력
1 이 ⚪⚪ C대 교수(경영학) 47 박사 - -
2 박 ⚪⚪ J대 교수(교육학) 50 박사 - -
3 김 ⚪⚪ 서울 Y고 진로진학부장 51 박사 26년 4년
4 서 ⚪⚪ 인천 N중 진학부장 52 박사수료 26년 12년
5 최 ⚪⚪ 서울 Y여고 진로취업부장 53 박사 28년 4년
6 정 ⚪⚪ 인천 S여고 진로진학부장 48 박사수료 24년 4년
7 권 ⚪⚪ 서울 K고 진학부장 49 박사 26년 11년
8 임 ⚪⚪ 경기 B중 진로교육부장 46 박사수료 24년 4년
9 박 ⚪⚪ 경기 C고 진학부장 51 박사 25년 14년
10 안 ⚪⚪ 경기 M고 진로진학부장 47 박사 22년 4년
Download Excel Table

전문가 협의회 체득역량 검토 기준은 Grant&Davis(1997)의 내용타당도 준거인 대표성(적절한 반영), 명확성 (명확한 기술), 포괄성(범주내용의 충분한 포괄)의 세 준거를 준용하여 정성적으로 평가하기로 사전 협의했다. 평가 결과는 긍정률(적합선택)이 전체 10명의 80%이상인 경우만을 선택하기로 협의했고, 논란이 있는 항목은 추가 회의(2차례)를 통해 협의했다.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도출된 문항용 11개 체득 역량은 공동체 의식, 관계형성 능력, 협동능력, 갈등관리, 타인이해 및 배려, 리더십, 자기성찰능력, 자기관리 능력, 자아 효능감, 창의적 사고능력,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능력, 진로탐색설계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기초학습능력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A대학교의 2015학년도에 지원하여 최종합격한 고3학생으로 선정했다. 계열별로 한 개의 학부(단, 모집인원이 적은 공학계열은 2개 학부)를 추출하여 분석했다. 성과로서의 교육과정을 학습자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창체 활동에 대한 고교생들의 인식을 조사했다. 조사는 2014년 12월 30일 경기도 A대학교 예비대학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했다. 설문은 고교시절 본인이 참여한 창체 활동 중 가장 의미 있었던 활동(1〜3순위)과 활동을 통해 체득(성취)됐다고 생각되는 역량을 고르고 그 정도를 답하게 했다.

2. 설문 조사 및 분석 방법
가. 설문 문항구성
표 III-3. 설문 문항 분류 및 하위항목
분류 하위항목
일반적 특성 성별 / 연령 / 고교 졸업년도 / 고등학교 계열(인문계/자연계/예체능)
고교유형(일반고/특목고/자율고/특성화고) / 고교 소재지(서울·경기/그 외)
지원전공(인문학부/사회과학부/경영학부/법정학부/특수교육과/국제학부/영미언어문화학부/ 동아시아언어문화학부/프랑스어 문화학과/종교학과/생활과학부/컴퓨터정보공학부/정보통신전자공학부/생명환경학부/미디어학과/자연과학부/음악과)
합격전형(학생부종합전형/특별전형/특수교육대상자전형/논술무수자전형/학생부교과전형/특성화고졸업자전형/교육기회균등전형/외국어무수자전형)
자율 활동, 체득역량 참여 자율 활동 중 의미 있었던 자율 활동 / 체득 역량
동아리 활동, 체득역량 참여 동아리 활동 중 의미 있었던 동아리 활동 / 체득 역량
봉사 활동, 체득역량 참여 봉사 활동 중 의미 있었던 봉사 활동 / 체득 역량
진로 활동, 체득역량 참여 진로 활동 중 의미 있었던 진로 활동 / 체득 역량
Download Excel Table
나. 분석 방법

설문조사 결과 분석은 다음과 같다. ① 전체 응답자 238명 중 202명의 응답을 분석했다(결 측 및 불성실한 응답자 제외). ② 선다형 문항은 응답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했다. ③ 리커트 척도 문항은 응답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했다. ④ 두 집단 간 응답의 차이를 분석 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했다. ⑤ 세 집단 이상의 응답 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 (ANOVA)을 실시했으며, 집단 간 차이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후 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했다. ⑥ 통계처리는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사용했다. ⑦ 설문 문항에서 1〜3위까지 순위를 정해 답하게 했으나 2, 3순위를 답하지 않은 학생들이 있어, 통계는 1순위 응답만을 대상으로 산출했다.

다.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응답자 성별은 남학생 68명, 여학생 134명으로 여학생이 66명 더 많았다. 계열별로는 인문계 132명, 자연계 69명으로 인문계가 약 2배정도 많았다. 평균 연령은 18세, 2015년 졸업예 정자가 대부분이었으며 고교 유형별로는 일반고 학생이 가장 많은 91.6%의 비율을 차지했다. 고교 소재지는 경기(40.6%), 서울(24.8%), 인천(21.3%) 순이었다.

표 III-4. 성별 및 고등학교 계열 단위:%(명)
성별 고등학교 계열구분
인문계 자연계 예체능계
33.7(68) 66.3(134) 65.3(132) 34.2(69) 0.5(1) 100.0(202)
Download Excel Table
표 III-5. 연령 단위:세
전체
M SD M SD M SD
18.2 0.66 18.0 0.42 18.0 0.52
Download Excel Table
표 III-6. 고교 졸업년도 및 고교유형 단위: %(명)
고교 졸업년도구분 고교유형구분
2015년 예정 2014년 2013년 2013년 이전 일반고 특목고 자율고 특성화고
94.6(191) 5.0(10) 0.0(0) 0.5(1) 91.6(185) 0.5(1) 5.0(10) 3.0(6) 100.0(202)
Download Excel Table
표 III-7. 고교 소재지 단위: %(명)
지역구분
서울 인천 부산 대전 대구 광주 울산 경기 강원
24.8(50) 21.3(43) 1.5(3) 0.5(1) 0.0(0) 1.5(3) 0.0(0) 40.6(82) 2.0(4) 100.0 (202)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충북 충남 제주 세종 기타
1.0(2) 0.5(1) 0.5(1) 1.5(3) 3.0(6) 1.0(2) 0.5(1) 0.0(0) 0.0(0)
Download Excel Table

설문 대상자의 합격 전공은 인문, 사회, 이학, 공학별로 다양했다. 합격한 전형은 학생부교과 전형 (36.1%), 학생부종합전형 (28.2%), 논술우수자전형 (14.9%)순이었다.

표 III-8. 설문 대상자의 합격 전공 단위: %(명)
전공구분
인문학부 사회과학부 경영학부 법정학부 특수교육과 국제 학부
9.9(20) 8.9(18) 10.9(22) 3.0(6) 1.0(2) 6.9(14) 100.0 (202)
영미언어학부 동아시아학부 프랑스어학과 종교학과 생활과학부 컴퓨터정보공학부
5.4(11) 5.4(11) 1.0(2) 1.0(2) 9.9(20) 5.0(10)
정보통신전자공학부 생명환경학부 미디어학과 자연과학부 음악과 기타(간호학과)
4.0(8) 9.4(19) 6.4(13) 10.4(21) 0.0(0) 1.5(3)
Download Excel Table
표 III-9. 설문 대상자의 합격 전형 단위: %(명)
전형구분
학생부종합전형 특별전형 특수교육대상자전형 논술우수지전형
28.2(57) 12.9(26) 1.0(2) 14.9(30) 100.0 (202)
학생부교고[전형 특성호고졸업자전형 교육기회균등전형 외국어무수자전형
36.1(73) 2.5(5) 3.0(6) 1.5(3)
Download Excel Table

IV. 고교 교육과정계획서를 통한 창의적 체험 활동 계획 분석

본 장에서는 교육과정계획서 분석을 통해 고교 창체활동 계획을 분석했다. 대상은 수도권 지역 고교 5개교(경기2, 서울2, 인천 1) 교육과정 계획서이다. 이를 공통과 특별내용을 정리하여 유형화 했다. 창체활동은 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 활동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별 구체적인 활동 내용은 학생, 학급, 학년, 학교 및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게 학교에서 선택하며 융통성 있게 계획되고 있다.

표 IV-1. 고교 창의적 체험 활동의 5개 고교 공통 및 특별 영역 분석 유형화
영역 활동 영역 창체 활동별 내용
자율 활동 적응 활동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학생생활 안내 둥
예절, 질서 둥의 기초생활 습관 형성 활동, 축하, 친목, 사제동행 등
학습, 건강, 성격, 교우 둥의 상담 활등 등
자치 활동 학급회의 및 학급 부서 활등 둥
학생회, 대의원회 활등 등
행사 활동 입학식, 졸업식, 종업식, 개교기념식, 전시회, 동아리발표회, 학술제 등
학생건강 체력평가, 체격 • 체질 검사, 체육대회 소방 및 심폐소생술 등
수련활동, 현장체험학습(현장체험학습), 수학여행, 해외 문화 체험 등
창의적 특색 활동 학생 특색 활등, 학급 특색 활동, 학년 특색 활동, 학교 특색 활동, 지역 특색 활동 등
성모의 밤, 미사 및 종교 활동, 환경체험, 씨앗책 읽고 토론, 책숲 등
동아리 활동 학술 활동 인문관련활동 - 인문독서, 신문, 영자신문, 영어기사번역, 팝송 영어
수학관련활동 - 개념세미나,UNIQUE,FEEL,종이접기반
사회관련활동 - 정치•외교, 법, 경국신문, 국토사랑, 나라사랑, 시사토론 사회학 문화재 사랑 활동 등
과학관련활등 - 화학, 생명, 물리, 지구과학관련 연구활동
진로 및 봉사 활동 - 각종 진로관련 활동, 한울봉사, 학생회
문화 예술 활동 문예, 연극, 영상제작, 합창, EM환경, 밴드, 미술, 유럽문화연구반, 방송 풍물, 고전영화감상, 댄스활동 등
스포츠활동 축구, 배드민턴, 마라톤, 줄넘기 활동 등
실습 노작활동 수공예 활동 등
봉사 활동 교내 봉사 활동 교실 및 복도 물청소, 학습부진 친구, 장애인, 병약자, 다문화 가정 학생 돕기 등
지역사회 봉사 활동 노인 복지시설 요셉의 집 일손 돕기 등
등대의 집, 모이세, 성모의 집, 필리핀 아등 돕기 기부 활동
독거노인을 위한 뜨개질 봉사 활동
자연환경 보호 활동 깨끗한 환경 만들기, 자연 보호, 식목 활동 등
공공시설물, 문화재 보호 등 (창체활동 시간 외 개별 활동 유도)
캠페인 활동 봉사 활등 소양 교육, 장애체험(인권교육), 헌혈 등 캠페인 활동 등
진로 활동 자기이해 활동 MBTI 검사, 와이즈멘토 진로 검사 및 해석 강연 후 커리어 맵 작성
진로 진학 특강, 진로 활동 정규수업 등
진로 정보 탐색 활동 학업 정보 탐색, 입시 정보 탐색, 학교 정보 탐색 등
직업 정보 탐색, 대학 강사를 활용한 진로 진학 설명회 개최 등
진로 계획활동 자기주도 학습 계획, 보고서 작성, 명함 만들기 등
진로 체험활동 직업 체험활동 등
Download Excel Table
1. 자율 활동

자율활동의 세부활동중 교육과정계획서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활동은 다음과 같다.

표 IV-2. 고교 교육과정계획서에서 나타난 공통적인 자물 활동
① 선거 ② 학생회의 ③ 간담회 ④ 자치법정 ⑤ 캠페인
⑥ 학급단합활동 ⑦ 야영활동 ⑧ 국토순례 ⑨ 애향교육 ⑩ 입학졸업식
⑪ 체육대회 ⑫ 수련회 ⑬ 체험학습 ⑭ 축제 ⑮ 음악회
⑯ 교과대회 ⑰ 사제동행 ⑱ 칭찬활동 ⑲ 해외문화체험 ⑳ 사진전
㉑ 종교활동 ㉒ 1인자율 활동 ㉓ 연구논문 ㉔ 독서활동 ㉕ 토론대회
㉖ 발표대회 ㉗ 학술제 ㉘ 신입생OT ㉙ 학교전통계승활동 ㉚ 예절교육
㉛ 동아리발표회 ㉜ 성교육 ㉝ 학교폭력교육 ㉞ 안전교육 ㉟ 문화재답사
Download Excel Table

그 외 특색프로그램은 상담 및 심리검사, 선생님과 1일 데이트, 친구와 함께 타는 자전거, 진로 적성 검사, 효 실천 활동, 친구와 함께 보내는 영상편지 엄마, “아빠 사랑해”, 영화로 세상보기, 1학급 결연 맺기 운동, 학교 숲 가꾸기, 학습, 건강, 성격, 교우 등의 상담활동, 학생 건강 체력평가, 체격 · 체질검사, 학생특색, 장애인의 날 행사, 스승의 날, 대학탐방, 학년자치회 주관 행사-도전 골든벨, 또래 협동학습 등으로 분석됐다.

2. 동아리 활동

동아리활동의 세부활동 중 교육과정계획서에 공통적인 활동은 다음과 같다.

표 IV-3. 고교 교육과정계획서에서 나타난 공통적인 동아리 활동
① 인문관련활동 ② 수학관련활동 ③ 사회탐구활동 ④ 과학탐구활동 ⑤ 외국어관련활동
⑥ 답사등 체험활동 ⑦ 학술논문활동 ⑧ 컴퓨터 ⑨ 사진/방송부 ⑩ 발명 활동
⑪ 문예/교지제작 ⑫ 가정/가사 ⑬ 스포츠활동 ⑭ 봉사 활동 ⑮ 청소년단체활동
⑯ 미술관련활동 ⑰ 음악관련활동 ⑱ 진로관련활동 ⑲ 신문제작 ⑳ 반크
Download Excel Table

동아리는 학습과 관련된 동아리가 가장 많이 구성되었으며, 그 외에 예체능 동아리가 다양하게 구성됐다. 그 외 특색 있는 동아리로는 종교관련 동아리가 구성되어있다.

3. 봉사 활동

봉사활동의 세부활동중 교육과정계획서에 공통적인 활동은 다음과 같다.

표 IV-4. 고교 교육과정계획서에서 나타난 공통적 봉사 활동
① 교내환경정화 ② 학습부진친구돕기 ③ 장애인돕기 ④ 노인돕기 ⑤ 다문화가정학생 돕기
⑥ 기부활동 ⑦ 뜨개질봉사 ⑧ 자연보호 ⑨ 식목활동 ⑩ 공공시설물보호
⑪ 문화재보호 ⑫ 봉사활동소양교육 ⑬ 장애체험(인권교육) ⑭ 헌혈 ⑮ 각종편견극복캠페인
⑯ 재해구호 ⑰ 국제협력과난민구호 ⑱ 군부대위문활동 ⑲ 농어촌일손돕기
Download Excel Table

그 외 특색 프로그램은 4개로 구분된다. 첫째, 천연비누 만들기, EM쌀뜨물 발표액 만들기, 환경수세미 뜨기 같은 환경 친화적인 물질 만들기 활동이 있다. 둘째, 급식실 이용 안내, 학교 앞 야간 귀가지도, 잔반 남기지 않기 실천, 아침등교지도 등 계도활동이 있다. 셋째, 교내 활동 도우미로 출석부 관리, 도서정리 및 반납, 학교 행사 협조 및 진행, 절전도우미, 종교행사 협조, 학교식당 검수활동 등이 있다. 넷째, 메이크업 워시, 소원별 접기 활동, UCC 공모전, 봉사활동 평가 등이 있다.

4. 진로 활동

진로활동의 세부활동중 교육과정계획서에 공통적인 활동은 다음과 같다.

표 IV-5. 고교 교육과정계획서에서 나타난 공통적 진로 활동
① 대학전공체험 ② 적성검사 ③ 심리검사 ④ 교사외의 상딤활동 ⑤ we-class
⑥ 직업흥미검사 ⑦ 진로발달검사 ⑧ 입시설명회 ⑨ 진로진학 아카데미 ⑩ 직업인초청강연
⑪ 학과소개의날 ⑫ 직업체험의날 ⑬ 자기소개서경진대회 ⑭ 개별대학진학설명회 ⑮ 자기이해및심성계발
Download Excel Table

기타 특색 프로그램으로는 4개로 구분된다. 첫째, 독서와 관련하여 독서활동기록, 진로탐색을 위한 맞춤형 독서 등의 활동이 있다. 둘째, 직업탐색과 관련한 다양한 특강이 구성되어 예컨대 신문을 이용한 직업탐색, 다르게 산 사람들, 도전! 나의직업, 미래사회의 유망 직종, 성공한 직업인, 신종 직업 이색 직업, 직업세계탐색, 직업의 의미와 분류, 진로와 직업, 근로자의 권리 등이 있다. 셋째, 진로관련 보고서 작성 활동으로 여기에는 탐구보고서 작성법, 포트폴리오 완성 하기, 포트폴리오 작성요령, 진로캠프 소감문 작성, 진로체험계획서 작성, 진로체험 보고서 작성 활동 등이 있다. 넷째, 마케팅전략세우기, 진로 체험반 개설, 진학설계, 학생 사장되기 등이 있다.

V. 학습자 설문조사를 통한 창의적 체험활동 성과 분석

1. 분석 결과
가. 자율 활동
1) 의미 있는 자율 활동

참여한 자율 활동 중 가장 의미 있게 수행한 활동 3가지 물음에 학생들은, 동아리 발표회 (15.8%), 학생회의(10.4%), 체육 대회(6.9%)순이었다. 리더십을 표현할 수 있는 동아리 발표회, 학생회의, 체육대회 활동이 가장 의미 있게 평가됨을 알 수 있다.

표 V-1. 고교시절 참여한 자물 활동 중 가장 의미 있는 자물 활동 비물 - 단위: %(명)
자율 활동 구분
선거 학생회의 간담회 자치법정 캠페인 학급단합활동
3.5(7) 10.4(21) 0.5(1) 0.5(1) 2.0(4) 4.0(8) 100(202)
야영활동 국토순례 애향교육 입학졸업식 체육대회 수련회
1.0(2) 0.5(1) 0.0(0) 0.0(0) 6.9(14) 5.4(11)
체험학습 축제 음악회 교과대회 사제동행 칭찬활동
3.0(6) 6.4(13) 1.0(2) 2.5(5) 0.0(0) 0.0(0)
해외문화체험 사진전 종교활동 1인자율 활동 연구논문 독서활동
3.0(6) 0.0(0) 3.0(6) 4.0(8) 5.9(12) 4.5(9)
토론대회 발표대회 학술제 신입생OT 학교전통계승활동 예절교육
3.0(6) 4.0(8) 2.0(4) 0.0(0) 0.0(0) 0.0(0)
동아리발표회 성교육 학교폭력교육 안전교육 문화재 답사 기타
15.8(32) 0.0(0) 0.0(0) 0.0(0) 2.5(5) 5.0(10)
Download Excel Table

전공별 답변은 계열별로 약간 차이를 보였는데 인문·사회계열은 학생회의와 동아리발표회를 의미 있는 활동이라고 했는데, 공학계열은 체육대회, 동아리 발표회, 연구논문을 의미 있게 수행한 자율 활동으로 답변했다. 계열에 관계없이 자율 활동 중에는 동아리 발표회가 가장 의미 있는 활동이었던 것으로 평가됨을 알 수 있다.

표 V-2. 합격 전공별 의미 있는 자물 활동 비율
구분 전공구분 전체
인문학 사회과학 이학 공학 기타
활동세부구분 선거 2 1 2 1 1 7
비율 4.3 1.6 9.5 2.7 2.8 3.5
학생회의 7 7 1 3 3 21
비율 15.2 11.3 4.8 8.1 8.3% 10.4
간담회 0 1 0 0 0 1
비율 0.0 1.6 0.0 0.0 0.0 0.5
자치법정 0 0 0 0 1 1
비율 0.0 0.0 0.0 0.0 2.8 0.5
캠페인 0 0 0 1 3 4
비율 0.0 0.0 0.0 2.7 8.3 2.0
학급단합활동 0 2 3 2 1 8
비율 0.0 3.2 14.3 5.4 2.8 4.0
야영활동 0 1 0 0 1 2
비율 0.0 1.6 0.0 0.0 2.8 1.0
국토순례 1 0 0 0 0 1
비율 2.2 0.0 0.0 0.0 0.0 0.5
체육대회 2 3 0 6 3 14
비율 4.3 4.8 0.0 16.2 8.3 6.9
수련회 1 6 3 0 1 11
비율 2.2 9.7 14.3 0.0 2.8 5.4
체험학습 0 4 0 0 2 6
비율 0.0 6.5 0.0 0.0 5.6 3.0
축제 3 4 1 2 3 13
비율 6.5 6.5 4.8 5.4 8.3 6.4
음악회 0 0 0 1 1 2
비율 0.0 0.0 0.0 2.7 2.8 1.0
교과대회 1 2 0 0 2 5
비율 2.2 3.2 0.0 0.0 5.6 2.5
해외문화체험 3 1 0 1 1 6
비율 6.5 1.6 0.0 2.7 2.8 3.0
종교활동 4 1 0 1 0 6
비율 8.7 1.6 0.0 2.7 0.0 3.0
1인자율 활동 2 2 1 3 0 8
비율 4.3 3.2 4.8 8.1 0.0 4.0
연구논문 3 2 2 5 0 12
비율 6.5 3.2 9.5 13.5 0.0 5.9
독서활동 4 3 1 1 0 9
비율 8.7 4.8 4.8 2.7 0.0 4.5
토론대회 2 3 0 0 1 6
비율 4.3 4.8 0.0 0.0 2.8 3.0
발표대회 1 3 2 1 1 8
비율 2.2 4.8 9.5 2.7 2.8 4.0
학술제 1 0 0 3 0 4
비율 2.2 0.0 0.0 8.1 0.0 2.0
동아리발표회 6 13 2 5 6 32
비율 13.0 21.0 9.5 13.5 16.7 15.8
문화재 답사 2 0 1 0 2 5
비율 4.3 0.0 4.8 0.0 5.6 2.5
기타 1 3 2 1 3 10
비율 2.2 4.8 9.5 2.7 8.3 5.0
전체 46 62 21 37 36 202
비율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 전공구분: 인문학(인문학부/영미학부/동아시아학부/프랑스어학과/종교학과), 사회과학(사회과학부, 경영학부, 법정학부, 특수교육과, 국제학부), 이학(자연과학부), 공학(컴퓨터정보공학부/정보통신전자공학부/생명환경학부), 기타(생활과학부/미디 어학과/기타)로 분류.

Download Excel Table
2) 자율 활동을 통한 체득역량

자율 활동을 통해 체득한 역량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보면, 자율 활동을 통해 체득한 역량은 협동능력이 4.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공동체의식(4.32), 관계형성능력 (4.29), 의사 소통능력(4.28)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자율 활동이 학급 혹은 동아리 단위로 이뤄지기 때문에 관계형성능력, 협동 능력, 공동체 의식 등 공동체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역량이 향상 된 것으로 보인다.

표 V-3. 자물 활동을 통한 체득역량에 대한 응답
역량 구분 공동체 의식 관계 형성 능력 협동 능력 갈등 관리 타인 이해 및 배려 리더십 자기 성찰 능력 자기 관리 능력 자아 효능감 창의적 사고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진로 탐색, 설계 능력 자기 주도 학습 능력 기초 학습 능력
점수 4.32 4.29 4.38 4.02 4.19 3.94 4.04 4.05 4.17 3.85 4.14 4.28 3.75 3.67 3.58
Download Excel Table

의미 있게 수행한 자율 활동이었다고 응답한 활동별 체득 역량을 보면, 동아리 발표회는 협동 능력 (4.66%), 공동체의식 (4.63%), 관계형성능력 (4.59%)이, 학생회 활동은 의사소통능력 (4.86%), 공동체의식 (4.81%), 협동능력 (4.76%)이 함양된 것으로 인식했다. 체육대회 활동은 공동체 의식 (4.64%), 협동능력 (4.57%), 관계형성능력 (4.36%)이 함양된 것으로 인식했다. 동아리 발표회나 체육대회 활동이 인성 및 사회적 역량 함양에 도움이 된 것으로, 학생회 활동은 지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의 함양에 도움이 된 것으로 인식되는 것을 통해 개인 활동보다 주로 단체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자율 활동의 특징을 통해 인성 및 사회적 역량 함양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V-4. 의미 있는 자물 활동별 체득역량에 대한 응답
활동 구분/역량 구분 공동체 의식 관계 형성 능력 협동 능력 갈등 관리 타인 이해 및 배려 리더십 자기 성찰 능력 자기 관리 능력 자아 효능감 창의적 사고 능력 문제 해결능력 의사 소통 능력 진로 탐색 설계 능력 자기 주도 학습 능력 기초 학습 능력
동아리 발표회 4.63 4.59 4.66 4.16 4.34 4.06 4.13 4.03 4.19 4.06 4.06 4.34 4.03 3.78 3.63
학생 회의 4.81 4.71 4.76 4.57 4.48 4.67 4.38 4.19 4.52 3.76 4.48 4.86 3.52 3.67 3.76
체육 대회 4.64 4.36 4.57 4.29 4.14 4.14 3.43 3.86 3.79 3.21 3.57 4.07 2.93 3.00 3.14
Download Excel Table
나. 동아리 활동
1) 의미 있는 동아리 활동

참여한 동아리 활동 중 의미 있는 활동을 한 동아리 혹은 동아리 활동을 적으라는 물음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은 다음과 같다. 가장 많은 응답자가 꼽은 의미 있는 동아리 활동은 과학탐구 활동(15.3%), 봉사 활동(13.4%), 인문관련활동(10.9%) 순이었다. 자신이 전공하고자 하는, 혹은 관심 있는 교과와 관련된 탐구 동아리 활동과 봉사 활동이 매우 의미 있게 평가됨을 알 수 있다.

표 V-5. 고교시절 참여한 활동 중 의미 있는 동아리 활동 비율-단위: %(명)
동아리 활동 구분
인문관련활동 수학관련활동 사회탐구활동 과학탐구활동 외국어관련활동 답사등체험활동
10.9(22) 3.5(7) 7.4(15) 15.3(31) 6.4(13) 4.0(8) 100.0(202)
학술논문활동 컴퓨터 사진/방송부 발명활동 문예/교지제작 가정/가사
0.5(1) 0.5(1) 4.5(9) 0.5(1) 3.5(7) 0.5(1)
스포츠활동 봉사 활동 청소년단체활동 미술관련활동 음악관련활동 진로관련활동
4.5(9) 13.4(27) 3.5(7) 2.0(4) 3.5(7) 5.9(12)
신문제작 반크 기타
3.5(7) 0.0(0) 6.4(13)
Download Excel Table

동아리 활동에 대한 답변은 계열별로도 유사한 결과를 보여, 동아리 활동에 대해 인문·사회계 열의 경우 인문·사회관련 동아리 활동을, 이학·공학계열의 경우는 과학탐구관련 동아리 활동을 가장 의미 있는 동아리 활동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V-6. 합격전공별 의미 있는 동아리 활동 비물
전공구분 전체
인문학 사회과학 이학 공학 기타
활동 세부 구분 인문관련활동 11 6 2 2 1 22
비율 23.9 9.7 9.5 5.4 2.8 10.9
수학관련활동 0 0 3 4 0 7
비을 0.0 0.0 14.3 10.8 0.0 3.5
사회탐구활등 2 12 1 0 0 15
비율 4.3 19.4 4.8 0.0 0.0 7.4
과학탐구활동 0 0 12 16 3 31
비율 0.0 0.0 57.1 43.2 8.3 15.3
외국어관련활동 6 4 0 1 2 13
비율 13.0 6.5 0.0 2.7 5.6 6.4
답사 등 체험활동 4 3 0 0 1 8
비율 8.7 4.8 0.0 0.0 2.8 4.0
학술논문활동 0 0 0 1 0 1
비율 0.0 0.0 0.0 2.7 0.0 0.5
컴퓨터 0 0 0 1 0 1
비율 0.0 0.0 0.0 2.7 0.0 0.5
사진/방송 2 2 0 0 5 9
비율 4.3 3.2 0.0 0.0 13.9 4.5
발명활동 0 0 0 1 0 1
비율 0.0 0.0 0.0 2.7 0.0 0.5
문예/교지제작 3 3 0 0 1 7
비율 6.5 4.8 0.0 0.0 2.8 3.5
가정/가사 0 1 0 0 0 1
비율 0.0 1.6 0.0 0.0 0.0 0.5
스포츠활동 1 5 0 1 2 9
비율 2.2 8.1 0.0 2.7 5.6 4.5
봉사 활동 6 8 0 2 11 27
비율 13.0 12.9 0.0 5.4 30.6 13.4
청소년단체활동 2 3 1 1 0 7
비율 4.3 4.8 4.8 2.7 0.0 3.5
미술관련활동 1 1 0 0 2 4
비율 2.2 1.6 0.0 0.0 5.6 2.0
음악관련활동 1 1 1 1 3 7
비율 2.2 1.6 4.8 2.7 8.3 3.5
진로관련활동 2 6 0 2 2 12
비율 4.3 9.7 0.0 5.4 5.6 5.9
신문제작 2 4 0 0 1 7
비율 4.3 6.5 0.0 0.0 2.8 3.5
반크 0 0 0 0 0 0
비율 0.0 0.0 0.0 0.0 0.0 0.0
기타 3 3 1 4 2 13
비율 6.5 4.8 4.8 10.8 5.6 6.4
전체 46 62 21 37 36 202
비율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Download Excel Table
2) 동아리 활동을 통한 체득 역량

동아리 활동을 통해 체득한 역량에 대한 응답을 보면 체득한 역량은 협동능력(4.31), 관계형성능력(4.29), 공동체의식(4.29)순으로 나타났다. 동아리 활동이 개인이 아닌 공동체를 중심으로 이뤄지다 보니 동아리 활동을 통해 협동능력, 관계형성능력, 공동체의식 등 대인 관계 및 사회적 역량이 향상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표 V-7. 동아리 활동을 통한 체득역량에 대한 응답
역량 구분 공동체 의식 관계 형성 능력 협동 능력 갈등 관리 타인 이해 및 배려 리더십 자기 성찰 능력 자기 관리 능력 자아 효능감 창의적 사고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진로 탐색, 설계능력 자기 주도 학습 능력 기초 학습 능력
점수 4.29 4.29 4.31 4.04 4.15 4.01 4.10 4.08 4.18 4.10 4.14 4.23 4.09 3.88 3.77
Download Excel Table

가장 의미 있는 동아리 활동이라고 응답한 체득 역량을 보면, 과학탐구활동은 창의적 사고능력 (4.39), 문제해결능력 (4.35), 협동능력 (4.32)이 함양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봉사 활동은 자기성찰능력 (4.41), 타인 이해 및 배려 (4.37), 공동체 의식(4.30)이 함양된 것으로 인식 하고 있다. 인문관련활동을 통해서는 리더십 (4.14), 자기주도 학습능력 (4.14), 의사소통능력 (4.14) 이 함양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관찰, 실험, 발명이 중심이 되는 과학탐구활동이 지적 역량의 함양에 도움이 된 반면, 타자 돕기가 중심이 되는 봉사 활동은 인성 및 사회적 역량 함양에, 발표, 토의, 토론이 중심이 되는 인문관련활동은 지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의 함양에 도움이 된 것으로 인식되는 것을 통해 수행한 활동과 함양된 것으로 생각하는 역량 간에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표 V-8. 의미 있는 동아리 활동별 체득역량에 대한 응답
활동 구분/역량 구분 공동체 의식 관계 형성 능력 협동 능력 갈등 관리 타인 이해 및 배려 리더십 자기 성찰 능력 자기 관리 능력 자아 효능감 창의적 사고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진로 탐색 설계 능력 자기 주도 학습 능력 기초 학습 능력
인문관련활동 4.00 4.05 4.05 3.77 3.77 4.14 3.95 3.91 3.91 4.05 4.05 4.14 4.05 4.14 4.00
과학탐구활동 4.23 4.19 4.32 3.94 4.00 4.06 3.94 4.00 4.06 4.39 4.35 4.10 4.10 3.97 4.03
봉사 활동 4.30 4.22 4.19 4.19 4.37 4.04 4.41 4.07 4.26 3.85 4.07 4.30 3.93 3.44 3.37
Download Excel Table
다. 봉사 활동
1) 의미 있는 봉사 활동

참여한 봉사 활동 중 의미 있는 활동 응답은 다음과 같다. 학습부진 친구 돕기 (16.3%), 노 인 돕기 (15.3%), 기부활동(12.4%) 순이었다. 주변인물이나 약자에 대한 활동이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V-9. 의미 있는 봉사 활동 비율-단위: %(명)
봉사 활동 구분
교내환경정호 학습부진 친구돕기 장애인돕기 노인돕기 다문호ᅡ가정학생돕기 기부활동
10.4(21) 16.3(33) 10.4(21) 15.3(31) 5.9(12) 12.4(25) 100.0(202)
뜨개질 봉사 자연보호 식목활동 공공시설물보호 문화재보호 봉사 활동소양교육
4.0(8) 4.0(8) 0.0(0) 1.0(2) 0.0(0) 2.0(4)
장애체험(인권교육) 헌혈 각종편견극복캠페인 재해구호 국제협력과난민구호 군부대 위문활동
0.0(0) 5.9(12) 3.0(6) 0.0(0) 2.5(5) 0.0(0)
농어촌 일손돕기 기타
0.0(0) 6.9(14)
Download Excel Table

이런 답변은 계열별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의미 있는 봉사 활동에 대해 인문·이학 공 학계열의 경우 학습부진 친구 돕기 활동을, 사회과학계열의 경우는 노인 돕기 활동을 가장 의미 있는 봉사 활동으로 꼽았다.

표 V-10. 합격전공별 의미 있는 봉사 활동 비율
전공구분 전체
인문학 사회과학 이학 공학 기타
활동 세부 구분 교내환경정화 7 5 2 6 1 21
비율 15.2 8.1 9.5 16.2 2.8 10.4
학습부진친구돕기 8 6 7 8 4 33
비율 17.4 9.7 33.3 21.6 11.1 16.3
장애인돕기 4 9 2 3 3 21
비율 8.7 14.5 9.5 8.1 8.3 10.4
노인돕기 6 13 0 5 7 31
비율 13.0 21.0 0.0 13.5 19.4 15.3
다문화가정학생돕기 4 4 0 0 4 12
비율 8.7 6.5 0.0 0.0 11.1 5.9
기부활동 6 9 3 4 3 25
비율 13.0 14.5 14.3 10.8 8.3 12.4
뜨개질봉사 2 1 2 0 3 8
비율 4.3 1.6 9.5 0.0 8.3 4.0
자연보호 2 2 0 3 1 8
비율 4.3 3.2 0.0 8.1 2.8 4.0
식목활동 0 0 0 0 0 0
비율 0.0 0.0 0.0 0.0 0.0 0.0
공공시설물보호 0 1 1 0 0 2
비율 0.0 1.6 4.8 0.0 0.0 1.0
문화재보호 0 0 0 0 0 0
비율 0.0 0.0 0.0 0.0 0.0 0.0
봉사 활동소양교육 0 1 1 2 0 4
비율 0.0 1.6 4.8 5.4 0.0 2.0
장애체험(인권교육) 0 0 0 0 0 0
비율 0.0 0.0 0.0 0.0 0.0 0.0
헌혈 1 3 3 3 2 12
비율 2.2 4.8 14.3 8.1 5.6 5.9
각종편견극복캠페인 1 2 0 0 3 6
비율 2.2 3.2 0.0 0.0 8.3 3.0
재해구호 0 0 0 0 0 0
비율 0.0 0.0 0.0 0.0 0.0 0.0
국제협력과 난민구호 1 2 0 1 1 5
비율 2.2 3.2 0.0 2.7 2.8 2.5
군부대 위문활동 0 0 0 0 0 0
비율 0.0 0.0 0.0 0.0 0.0 0.0
농어촌 일손돕기 0 0 0 0 0 0
비율 0.0 0.0 0.0 0.0 0.0 0.0
기타 4 4 0 2 4 14
비율 8.7 6.5 0.0 5.4 11.1 6.9
전체 46 62 21 37 36 202
비율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Download Excel Table
2) 봉사 활동을 통한 체득 역량

봉사 활동을 통해 체득한 역량에 대한 응답을 보면, 타인 이해 및 배려 능력(4.49), 관계형 성능력(4.30), 공동체의식(4.26), 협동능력(4.26) 순이었다. 봉사 활동이 대상을 향해 이뤄지다 보니 봉사 활동을 통해 관계형성능력, 공동체의식, 협동능력, 자기성찰능력 등 대인관계 및 사회적 역량이 향상됐다고 응답한 것으로 해석된다.

표 V-11. 봉사 활동을 통한 체득역량에 대한 응답
역량 구분 공동체 의식 관계 형성 능력 협동 능력 갈등 관리 타인 이해 및 배려 리더십 자기 성찰 능력 자기 관리 능력 자아 효능감 창의적 사고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진로 탐색 설계 능력 자기 주도 학습 능력 기초 학습 능력
점수 4.26 4.30 4.26 4.02 4.49 3.85 4.23 4.06 4.04 3.68 4.00 4.15 3.80 3.69 3.67
Download Excel Table

가장 의미 있는 봉사 활동이었다고 한 3개 체득 역량을 보면, 타인이해 및 배려가 전 영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 외에는 봉사 활동 내용에 따라 역량에 다소 차이가 났다. 예컨대, 학습부진 친구 돕기 활동은 관계형성능력(4,58), 공동체의식(4,42), 협동능력(4,42), 의사소통능력(4,42)이 높게 나왔다. 노인 돕기 활동은 관계형성능력(4,35), 자기성찰능력(4,29), 의사소통능력(4,23)이 높게 나왔다. 기부활동은 협동능력(4,40), 관계형성능력(4,36), 자기성찰능력(4,36) 등이 높게 나왔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봉사 활동을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동료와 함께 하는 협력의 가치를 습득했음을 알 수 있다.

표 V-12. 의미 있는 봉사 활동별 체득역량에 대한 응답
활동 구분/역량 구분 공동체 의식 관계 형성 능력 협동 능력 갈등 관리 타인 이해 및 배려 리더십 자기 성찰 능력 자기 관리 능력 자아 효능감 창의적 사고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진로 탐색 설계 능력 자기 주도 학습 능력 기초 학습 능력
학습부진 친구 돕기 4.42 4.58 4.42 4.30 4.64 4.33 4.21 4.21 4.33 4.06 4.27 4.42 3.91 3.79 3.91
노인 돕기 4.13 4.35 4.06 3.74 4.65 3.55 4.29 3.87 3.94 3.26 3.52 4.23 3.55 3.26 3.29
기부 활동 4.32 4.36 4.40 4.08 4.64 3.96 4.36 4.12 4.08 3.64 4.04 4.16 4.00 3.92 3.76
전체 4.26 4.30 4.26 4.02 4.49 3.85 4.23 4.06 4.04 3.68 4.00 4.15 3.80 3.69 3.67
Download Excel Table
라. 진로 활동
1) 의미 있는 진로 활동

의미 있는 진로 활동 물음의 답변은, 대학전공체험(28.7%), 적성검사(20.8%), 교사와의 상담활동(7.4%) 순이었다. 자신의 관심 분야 및 전공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활동에서 가장 큰 의미를 찾고 있고, 비슷한 맥락으로 자신이 어떤 분야에서 가장 잘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적성검사에서도 다른 진로 활동에 비해서 매우 높은 비율의 응답률을 보였다. 이는 학생들이 자신에 대해서 밀접하면서도 구체적인 정보를 얻는 진로 활동에서 의미가 있다고 느낀다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표 V-13. 의미 있는 진로 활동 비율-단위: %(명)
진로 활동 구분
대학전공체험 적성검사 심리검사 교사와의 상담활동
28.7(58) 20.8(42) 4.5(9) 7.4(15) 100.0(202)
We-class 직업흥미검사 진로발달검사 입시설명회
2.0(4) 6.4(13) 1.5(3) 5.0(10)
진로진학 아카데미 직업인 초청강연 학과소개의 날 직업체험의 날
0.5(1) 6.9(14) 1.5(3) 5.4(11)
자기소개서 경진대회 개별 대학진학설명회 자기이해 및 심성계발 기타
3.0(6) 2.5(5) 2.5(5) 1.5(3)
Download Excel Table

이런 답변은 계열별로는 조금은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의미 있는 진로 활동에 대해 대학전공체험이 모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이학은 38.1%로 매우 높은 응답률을 보인 반면 공학은 24.3%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인문학의 경우 적성검사가 의미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26.1%로 나타나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의 경우 30.6%를 나타내서 전체 활동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학과 공학 전공의 경우 적성검사와 직업흥미검사활동에 대한 응답률을 합하면 각각 28.6%와 29.7%를 나타내서 심리검사를 통한 자기이해활동을 의미 있게 생각한 비율이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사회과학 전공의 경우 직업인초청강연을 의미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14.5%로 나타나서 다른 전공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표 V-14. 합격전공별 의미 있는 진로 활동 비율
전공구분 전체
인문학 사회과학 이학 공학 기타
활동 세부 구분 대학전공체험 14 22 8 9 5 58
비율 30.4 35.5 38.1 24.3 13.9 28.7
적성검사 12 9 3 7 11 42
비율 26.1 14.5 14.3 18.9 30.6 20.8
심리검사 0 4 1 1 3 9
비율 0.0 6.5 4.8 2.7 8.3 4.5
교사와의 상담활동 5 3 0 3 4 15
비율 10.9 4.8 0.0 8.1 11.1 7.4
We-class 0 2 1 1 0 4
비율 0.0 3.2 4.8 2.7 0.0 2.0
직업흥미검사 2 1 3 4 3 13
비율 4.3 1.6 14.3 10.8 8.3 6.4
진로발달검사 1 0 1 0 1 3
비율 2.2 0.0 4.8 0.0 2.8 1.5
입시설명회 3 3 1 1 2 10
비율 6.5 4.8 4.8 2.7 5.6 5.0
진로진학 이카데미 0 0 0 1 0 1
비율 0.0 0.0 0.0 2.7 0.0 0.5
직업인 초청강연 2 9 1 2 0 14
비율 4.3 14.5 4.8 5.4 0.0 6.9
학과소개의 날 1 2 0 0 0 3
비율 2.2 3.2 0.0 0.0 0.0 1.5
직업체험의 날 2 3 0 3 3 11
비율 4.3 4.8 0.0 8.1 8.3 5.4
자기소개서경진대회 1 1 0 3 1 6
비율 2.2 1.6 0.0 8.1 2.8 3.0
개별 대학진학설명회 0 1 2 1 1 5
비율 0.0 1.6 9.5 2.7 2.8 2.5
자기이해 및 심성계발 2 0 0 1 2 5
비율 4.3 0.0 0.0 2.7 5.6 2.5
기타 1 2 0 0 0 3
비율 2.2 3.2 0.0 0.0 0.0 1.5
전체 46 62 21 37 36 202
비율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Download Excel Table
2) 진로 활동을 통한 체득 역량

진로 활동을 통해 체득한 역량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보면, 진로탐색설계능력 역량(4.37), 자기성찰능력(4.23), 자기관리능력(4.15) 순이었다. 진로탐색능력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고, 자기성찰능력, 자기관리능력 그리고 자아효능감이 다른 역량보다 점수보다 높은 것은 진로 활동 본연의 목적을 잘 반영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표 V-15. 진로 활동을 통한 체득역량에 대한 응답
역량 구분 공동체 의식 관계 형성 능력 협동 능력 갈등 관리 타인 이해 및 배려 리더십 자기 성찰 능력 자기 관리 능력 자아 효능감 창의적 사고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진로 탐색 설계 능력 자기 주도 학습 능력 기초 학습 능력
점수 3.59 3.56 3.50 3.51 3.62 3.50 4.23 4.15 4.03 3.78 3.75 3.78 4.37 3.96 3.76
Download Excel Table

학생들이 가장 의미 있는 진로 활동이었다고 꼽은 활동 3가지(대학전공체험, 적성검사, 교사와의 상담활동)별로 체득한 역량에 대한 점수를 보면, 진로탐색설계능력에 대한 점수가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성찰능력과 자기관리능력에 대해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교사와의 상담활동이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선생님과의 진로관련 정보 교류 활동이 진로관련 역량의 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표 V-16. 의미 있는 진로 활동별 체득역량에 대한 응답
활동 구분/역량 구분 공동체 의식 관계 형성 능력 협동 능력 갈등 관리 타인 이해 및 배려 리더십 자기 성찰 능력 자기 관리 능력 자아 효능감 창의적 사고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진로 탐색 설계 능력 자기 주도 학습 능력 기초 학습 능력
대학전공체험 4.17 3.84 3.84 3.76 3.81 3.83 4.17 4.22 4.10 4.14 4.02 4.16 4.33 4.22 4.10
적성검사 3.50 3.55 3.69 352 3.76 3.55 4.19 4.02 4.05 3.71 3.81 3.62 4.29 3.90 3.64
교사와의 상담활동 3.67 3.80 3.33 3.93 3.67 3.13 4.67 4.60 4.13 3.53 3.93 4.13 4.60 4.13 4.00
Download Excel Table
마. 활동별 체득역량의 인식 차이 분석

활동별 체득역량 인식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를 보면 창체 활동별 체득 역량은 조금씩 다르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활동별로 보면, 자율 활동은 협동능력(4.38), 공동체의식(4.32), 관계형성능력(4.29)이, 동아리 활동은 협동능력(4.31), 공동체의식(4.29), 관계형성능력(4.29)이, 봉사 활동은 타인이해 및 배려(4.49), 관계형성능력(4.30), 협동능력(4.26), 공동체 의식(4.26)이, 진로 활동은 진로 탐색 및 설계능력(4.37), 자기성찰 능력(4.23), 자기관리능력(4.15)이 다른 역량에 비해 비교적 높게 함양됐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V-17. 활동별 체득역량 인식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및 일원분산분석 결과
체득 역량 자율 활동 (n=202) 동이리활동(n=202) 봉사 활동 (n=202) 진로 활동 (n=202) 구분 제곱합 자유도 평균 제곱 F p
M SD M SD M SD M SD
공동체 의식 4.32 .82 4.29 .85 4.26 .81 3.59 2.45 활동
오차
합계
73.54
1620.76
1694.30
3
804
807
24.51
2.02
12.16 .000
관계형성 능력 4.29 .76 4.29 .80 4.30 .79 3.56 1.07 활동
오차
합계
81.72
601.48
683.20
3
804
807
27.24
.75
36.41 .000
협동능력 4.38 .73 4.31 .84 4.26 .80 3.50 1.05 활동
오차
합계
101.42
600.11
701.52
3
804
807
33.81
.75
45.29 .000
갈등관리 4.02 .90 4.04 .87 4.02 .91 3.51 1.03 활동
오차
합계
40.99
695.87
736.86
3
804
807
13.66
.87
15.75 .000
타인이해 및 배려 4.19 .76 4.15 .85 4.49 .69 3.62 1.05 활동
오차
합계
78.54
580.98
659.52
3
804
807
26.18
.72
36.23 .000
리더십 3.94 .91 4.01 .94 3.85 1.01 3.50 1.06 활동
오차
합계
30.81
776.28
807.09
3
804
807
10.27
.97
10.64 .000
자기성찰 능력 4.04 .89 4.10 .84 4.23 .83 4.23 .84 활동
오차
합계
5.21
579.67
584.88
3
804
807
1.74
.72
2.41 .066
자기관리 능력 4.05 .82 4.08 .81 4.06 .81 4.15 .89 활동
오차
합계
1.34
557.77
559.11
3
804
807
.45
.69
0.64 .587
자아 효능감 4.17 .79 4.18 .84 4.04 .85 4.03 .89 활동
오차
합계
3.69
569.13
572.82
3
804
807
1.230
.710
1.73 .159
창의적 사고능력 3.85 .97 4.10 .88 3.68 .98 3.78 .96 활동
오차
합계
19.41
720.04
739.45
3
804
807
6.470
.897
7.22 .000
문제해결 능력 4.14 .81 4.14 .84 4.00 .89 3.75 .97 활동
오차
합계
20.90
621.06
641.96
3
804
807
6.965
.773
9.01 .000
의사소통 능력 4.28 .75 4.23 .79 4.15 .89 3.78 .94 활동
오차
합계
30.88
575.10
605.98
3
804
807
10.292
.715
14.39 .000
진로탐색, 설계능력 3.75 1.04 4.09 .92 3.80 .94 4.37 .80 활동
오차
합계
49.91
694.07
743.98
3
804
807
16.637
.863
19.27 .000
자기주도 학습능력 3.67 1.08 3.88 .94 3.69 .98 3.96 .97 활동
오차
합계
12.40
791.72
804.12
3
804
807
4.13
.98
4.197 .006
기초학습 능력 3.58 1.07 3.77 1.00 3.67 .99 3.76 .96 활동
오차
합계
4.845
814.649
819.494
3
804
807
1.615
1.013
1.594 .189

* p<.05

Download Excel Table

보다 세부적으로 보면 공동체 의식, 관계형성능력, 협동능력, 갈등관리, 리더십,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은 모두 진로 활동을 통해서보다는 자율 활동이나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을 통해서 더 함양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타인 이해 및 배려는 다른 활 동을 통해서보다는 봉사 활동을 통해서, 창의적 사고능력은 동아리 활동을 통해서, 진로탐색 및 설계 능력은 진로 활동을 통해 더 함양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V-18. 활동별 체득역량 인식에 대한 사후비교분석
역량구분 활동구분 평균차 표준 오차 유의 확률
공동체 의식 자율 활동 VS 동아리 활동 .03 .08 .999
자율 활동 VS 봉사 활동 .06 .08 .965
자율 활동 VS 진로 활동 .73 .18 .000*
동아리 활동 VS 봉사 활동 .03 .08 1.000
동아리 활동 VS 진로 활동 .69 .18 .001*
봉사 활동 VS 진로 활동 .66 .18 .002*
관계형성 능력 자율 활동 VS 동아리 활동 .00 .08 1.000
자율 활동 VS 봉사 활동 -.01 .08 1.000
자율 활동 VS 진로 활동 .73 .09 .000*
동아리 활동 VS 봉사 활동 −.01 .08 1.000
동아리 활동 VS 진로 활동 .73 .09 .000*
봉사 활동 VS 진로 활동 .74 .09 .000*
협동능력 자율 활동 VS 동아리 활동 .07 .08 .942
자율 활동 VS 봉사 활동 .12 .08 .486
자율 활동 VS 진로 활동 .88 .09 .000*
동아리 활동 VS 봉사 활동 .05 .08 .985
동아리 활동 VS 진로 활동 .81 .09 .000*
봉사 활동 VS 진로 활동 .75 .09 .000*
갈등관리 자율 활동 VS 동아리 활동 −.02 .09 1.000
자율 활동 VS 봉사 활동 .01 .09 1.000
자율 활동 VS 진로 활동 .51 .10 .000*
동아리 활동 VS 봉사 활동 .02 .09 1.000
동아리 활동 VS 진로 활동 .53 .10 .000*
봉사 활동 VS 진로 활동 .51 .10 .000*
타인이해 및 배려 자율 활동 VS 동아리 활동 .03 .08 .999
자율 활동 VS 봉사 활동 −.30 .07 .000*
자율 활동 VS 진로 활동 .56 .09 .000*
동아리 활동 VS 봉사 활동 −.34 .08 .000*
동아리 활동 VS 진로 활동 .53 .10 .000*
봉사 활동 VS 진로 활동 .87 .09 .000*
리더십 자율 활동 VS 동아리 활동 −.07 .09 .962
자율 활동 VS 봉사 활동 .09 .10 .925
자율 활동 VS 진로 활동 .44 .10 .000*
동아리 활동 VS 봉사 활동 .16 .10 .442
동아리 활동 VS 진로 활동 .51 .10 .000*
봉사 활동 VS 진로 활동 .35 .10 .005*
창의적 사고능력 자율 활동 VS 동아리 활동 −.25 .09 .043*
자율 활동 VS 봉사 활동 .17 .10 .379
자율 활동 VS 진로 활동 .07 .10 .979
동아리 활동 VS 봉사 활동 .42 .09 .000*
동아리 활동 VS 진로 활동 .32 .09 .003*
봉사 활동 VS 진로 활동 −.10 .10 .862
문제해결 능력 자율 활동 VS 동아리 활동 .00 .08 1.000
자율 활동 VS 봉사 활동 .14 .08 .470
자율 활동 VS 진로 활동 .39 .09 .000*
동아리 활동 VS 봉사 활동 .14 .09 .457
동아리 활동 VS 진로 활동 .40 .09 .000*
봉사 활동 VS 진로 활동 .25 .09 .039*
의사소통 능력 자율 활동 VS 동아리 활동 .05 .08 .979
자율 활동 VS 봉사 활동 .13 .08 .526
자율 활동 VS 진로 활동 .50 .08 .000*
동아리 활동 VS 봉사 활동 .07 .08 .941
동아리 활동 VS 진로 활동 .45 .09 .000*
봉사 활동 VS 진로 활동 .37 .09 .000*
진로탐색,설계능력 자율 활동 VS 동아리 활동 −.34 .10 .003*
자율 활동 VS 봉사 활동 −.05 .10 .997
자율 활동 VS 진로 활동 −.62 .09 .000*
동아리 활동 VS 봉사 활동 .29 .09 .011*
동아리 활동 VS 진로 활동 −.28 .09 .008*
봉사 활동 VS 진로 활동 −.57 .09 .000*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율 활동 VS 동아리 활동 −.21 .10 .213
자율 활동 VS 봉사 활동 −.02 .10 1.000
자율 활동 VS 진로 활동 −.29 .10 .026*
동아리 활동 VS 봉사 활동 .19 .10 .263
동아리 활동 VS 진로 활동 −.08 .09 .940
봉사 활동 VS 진로 활동 −27 .10 .031*
Download Excel Table

활동별 체득 역량은 동아리 활동과 창의적 사고역량이, 봉사 활동과 타인 이해 및 배려 역량이, 진로 활동과 진로 탐색 및 설계 역량이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이며, 다른 활동을 통해 함양 되는 역량에 대한 비교우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자율, 동아리, 봉사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공동체 안에서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 갈등을 해결하며, 협력적으로 소통하는 인성 및 사회적 역량을 배양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진로 활동을 통해서는 자신의 흥미, 적성, 가치관 등 자신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을 이해하고 자신의 앞날을 계획하는 자기 이해 및 관리 능력과 자신의 학업과 직업 등의 진로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관리, 실천하는 진로 개발 역량을 배양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두 가지를 알 수 있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교급별 구분 없이 총괄목표와 4개 영역별 실천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하위목표를 학습자 중심으로 제시 (교육과학기술부, 2009)한 바 있는데, 설문조사 결과는 창체 활동의 영역별 목표에 부합하며 성공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대학 전공과 관련된 창체 활동을 많이 한 학생이 학생 부종합전형 서류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아 합격한 것을 볼 때, 고교 재학 시절 본인의 진로와 관련된 창체 활동이 대학의 전공 선택과 합격에 밀접한 영향을 준다는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공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 사업에 선정된 수도권 1개 대학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미흡한 면이 있다. 그러나 학생부종합전형 서류평가는 정부 정책의 범위내에서 대개 비슷한 평가영역과 방식을 보인다는 것을 볼 때 큰 무리는 없어 보인다.

VI. 결 론

2008년 입학사정관제도가 도입된 후 학생부종합전형으로의 명칭 변경과 모집인원 증가로 인해 학생부의 중요성은 더 증대되고 있다. 성적만 평가하는 것에서 벗어나 학생 개개인이 지닌 잠재력과 역량을 파악하여 선발하는 방식으로 변화하면서 교과 성적 외에 학생의 인성, 잠재력 등 다양한 면모를 파악할 수 있는 학생부가 매우 영향력 있는 자료로 부각됐다. 본 연구는 이런 배경에서 진로진학상담교사와 진학교사들의 학생들에 대한 진로진학지도에 도움을 주고, 학생의 창체 활동이 대학의 전공 선택과 합격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학생부종합전형 서류 평가의 타당성을 검증하려고 했다.

본 연구는 첫째, 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창체 활동의 네 영역인 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 활동 각 영역별로 고교별 공통으로 나타나는 활동과 학교별로 특색 있는 창체 활동을 활용하여 설문문항을 도출하고,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문항용 체득 11개 역량을 구성했다. 둘째, 성과로서의 교육과정을 학습자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도출된 설문문항과 체득 역량을 활용하여 창체 활동에 대한 고교생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평가하고 있는 창체 활동의 영역별 체득 11개 역량을 구체화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창체 활동중 본인이 참여한 의미 있는 활동의 순서와 그 활동을 통해 체득한 역량에 대해 분석했다. 참여한 자율 활동 중 의미 있는 활동은 동아리 발표회(15.8%), 학생회의(10.4%), 체육대회(6.9%)순이었다. 체득 역량으로는 협동능력(4.38), 공동체의식(4.32), 관계형성능력(4.29)순이었다. 참여한 동아리활동 중 의미 있는 활동은 과학탐구활동(15.3%), 봉사 활동(13.4%), 인문관련활동(10.9%)순이었다. 체득역량으로는 협동능력(4.31), 관계형성능력(4.29), 공동체의식(4.29)순이었다. 참여한 봉사활동 중 의미 있는 활동은 학습부진 친구 돕기(16.3%), 노인 돕기(15.3%), 기부활동(12.4%)순이었다. 체득 역량으로는 타인 이해 및 배려 능력(4.49), 관계형성능력(4.30), 공동체의식(4.26)순이었다. 참여한 진로활동 중 의미 있는 활동은 대학전공체험(28.7%), 적성검사(20.8%), 교사와의 상담활동(7.4%)순이었다. 체득 역량은 진로탐색설계능력 역량(4.37), 자기성찰능력 (4.23), 자기관리 능력 (4.15) 순이었다.

둘째, 각 활동별 체득역량 인식의 차이를 비교했다. 자율 활동은 협동능력(4.38), 공동체의식(4.32), 관계형성능력(4.29)이, 동아리 활동은 협동능력(4.31), 공동체의식(4.29), 관계형성능력 (4.29)이, 봉사 활동은 타인이해 및 배려(4.49), 관계형성능력(4.30), 협동능력 및 공동체 의식(4.26)이, 진로 활동은 진로탐색 및 설계능력(4.37), 자기성찰능력(4.23), 자기관리능력(4.15)이 다른 역량에 비해 비교적 높게 함양됐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활동 별 체득 역량은 동아리 활동과 창의적 사고역량이, 봉사 활동과 타인 이해 및 배려 역량이, 진로 활동과 진로 탐색 및 설계 역량이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이며, 다른 활동을 통해 함양되는 역량에 대한 비교우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에 대한 역량 중심적 접근과 성과 분석 결과를 도출하며 대학의 대외비적인 학생부 종합 전형 서류평가에서 간접적으로 대학의 비교과 평가행태를 유추하여 진로진학상담교사와 진학교사들의 진로진학지도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창체 활동의 목적과 일치하고, 진로와 밀접한 활동에 충실한 학생들이 목표하는 대학의 전공 합격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로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타당성과 각 대학교에서 실시하는 학생부종합전형 서류평가의 타당성 제고와 검증을 위한 핵심 자료로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09). 초·중·고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해설..

2.

교육부(2014). 2014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 서울: 한밭인쇄사..

3.

김호권(1997). 현대교육과정론. 서울: 교육출판사..

4.

박의수, 이득기, 김동기, 김철주, 배장오(2010). 교육학개론. 서현사.

5.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역량’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6.

소진형(2013). 2014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2014 창의적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내실화를 위한 중등 교무부장 연수 자료집. 11-32. 2월18일. 경기도교육청..

7.

이가영, 박진만, 김명옥(2012). 고교의 창체 활동 특성분석과 평가 활용방안 연구. 입학전형 연구, 1, 121-151..

8.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김문숙(2009).「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미래사회협동연구 총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이성철(2010). 입학사정관제 실시에 따른 창체 활동의 현황과 과제, 대한안전 경 영과 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 417-426..

10.

이흥민(2003). 핵심역량 핵심인재. 서울: 리드리드출판..

11.

조영하, 임호용(2012). 고등학교 창체 활동과 대학입학사정관전형의 연계 방안 탐색. 교육과학연구, 43(2), 197-225..

12.

Grant, J. S. & Davis, L. L. (1997). Focus on quantitative methods: Selection and use of content experts for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 269-274 .

13.

Spencer, L. & Spencer, S.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