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초등학교 6학년 듣기ㆍ말하기 수업을 위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사례 연구

정현선1, 김지연2,
Hyeon-Seon Jeong1, Ji-Youn Kim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경인교대 부교수
2고려대학교 강사
1Associate professorr,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Lecturer, Kore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Ji-Youn Kim, E-mail : stacey98@hanmail.net

ⓒ Copyright 2013,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May 01, 2013 ; Revised: Jun 10, 2013 ; Accepted: Jun 19, 2013

Published Online: Mar 31, 2013

요약

이 연구는 기존의 서책형교과서와 차별화된 디지털교과서 활용 국어과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연구학교에 적용하여 그 의미와 효과를 탐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현재 연구학교에서 사용 중인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 디지털교과서의 내용 중 ‘듣기ㆍ말하기’ 영역에 해당하는 면담하기 수업 단원을 선택하여,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의 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담화 자료 및 수업 상호 작용 등을 위한 기술적 도구를 수정ㆍ보완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 수업은 담화의 수용과 생산을 중심으로 한 국어과 수업의 사례로서, 학생들이 ‘면담(interview)’이라는 담화 장르에 대한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기 위해 적합한 내용과 형식의 담화 자료를 활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세계의 직업인을 면담하는 방식의 실생활과 긴밀히 연관된 과제를 수행하되, 이 과정에서 학습자 주도적인 방식의 언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온라인 대화ㆍ토론ㆍ글쓰기’, ‘녹음하여 들어보기’, ‘온라인 협력적 글쓰기’, ‘타임라인 작성하기’, ‘멀티미디어 자료 제작하기’, ‘발표 자료 제작하기’, ‘성찰노트 작성하기’ 등의 학습 활동을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였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의 적용 결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교사와 학생 간, 그리고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더 활발해졌고, 학생들의 모둠 내 학습의 과정과 결과가 기록, 저장, 공유되고 가시화되어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확인하는 것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 활용 수업에 비해 더 수월해졌다. 그리고 이로 인해 교사가 학생들의 개별적ㆍ집단적 학습 과정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며 수준별로 지도하는 것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교실 안의 언어 사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국어과 수업이 디지털 도구의 활용을 통해 교실 밖 실세계로 확장되고 그 경험을 다시 교실 안으로 들여올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고,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보다 주도적으로 도구를 활용하며 면담하기 활동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보다 실질적인 담화의 수용과 생산 교육이 가능해지고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의미 있고 효과적인 국어과 디지털교과서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디지털교과서; 수업 설계; 개념 획득 모형; 직접 교수 모형; 문제 해결 학습 모형; 면담; 도구; 복합양식 문식성; 학습자 주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