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 유형에 대한 연구

신재한 1 ,
Jae-Han Shin 1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교육과학기술부
1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 : Jae-Han Shin, E-mail : han3645@hanmail.net

ⓒ Copyright 2013,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an 1, 2013 ; Revised: Feb 4, 2013 ; Accepted: Feb 22, 2013

Published Online: Mar 31, 2013

요약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좋은 수업’에 대한 개념을 객관화하기에 유용한 Q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좋은 수업을 정의하고 유형화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으로 심층면담, 문헌 연구, 토의 과정 등을 통해 Q 표본으로 추출된 ‘좋은 수업’과 관련된 30개 진술문을 선정하였고, D광역시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41명을 P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구조적 유형은 크게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키우는 수업’, ‘학습자가 즐겁고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는 수업’, ‘학습자에게 자신감과 성취감을 주는 수업’,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 등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좋은 수업’에 대한 제 1유형의 특성은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강조하는 수업’, 제 2유형의 특성은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 형태의 즐겁고 재미있는 수업’ 제 3유형의 특성은 ‘성공 체험을 통한 도전의 기회를 부여하는 수업’, 제 4유형의 특성은 ‘교사와 학생간의 공감과 소통이 이루어지는 수업’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유형별 차이점을 비교해 보면 각 유형별로 긍정적인 진술과 부정적인 진술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유형별 공통점은 학교교육에서 기초ㆍ기본교육 위주의 지식을 전달하는 수업,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우는 수업, 교사 발문에 학생이 생각하고 대답하는 기다리는 시간(wait-time)이 확보된 수업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nd classify Good Instructions by using the Q method which is useful to objectify the concept of good instruc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recognize subjectively.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30 statements associated with good instruction’ through Q sauries extracted by in-depth interviews,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ion process, 41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Metropolitan D were selected as the P-san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typ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recognize good instruc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such as 'the learner-centered lessons to rais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lessons for learners enjoyable and fun to participate in’, lessons for learners to give self-confidence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lessons which teacher and learner interaction take place well/ Second, The result was appeared that The feature of type 1 for ‘Good Instruction’ is the lesson emphasizing self-directed learning, the feature of type 2 is the enjoyable and fun lesson in form of edutainment, the feature of type 3 is the lesson giving the chance for challenges through successful experience, the feature of type 4 is the lesson of being made up en^athy and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ird, comparing the difference by the types of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recongnize ‘Good Instraction’,the difference of each type between positive statements and negative statements was very loud. Foiirth, common features by the typ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recognize ‘Good Instruction ware appeared such as the lesson to transfer knowledges from the foundation and the base of education-oriented school education, the lesson to learn the ability to be able to apply the knowledge taught in school to real-world, the lesson to ensure the wait-time that students think and answer teachers' Question.

Keywords: 좋은 수업; Q 표본; P 표본; Q 방법; 진술문
Keywords: Good Instruction; Q samples; P samples; Q method; stat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