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중학교 역사교과서 교사 집필자의 역할 구현에 대한 질적 연구

박미란1, 박현숙2,
Mi-Ran Park1, Hyun-Sook Park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광장중학교 교사
2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1Teacher, Gwangjang Middle School
2Professor, Kore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Hyun-Sook Park, E-mail : hspark@korea.ac.kr

ⓒ Copyright 2013,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an 1, 2013 ; Revised: Feb 4, 2013 ; Accepted: Feb 22, 2013

Published Online: Mar 31, 2013

요약

본 연구는 역사(상) 교사 집필자와의 면담을 통해 교사 집필자의 역할 구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들은 집필이 본격화되기 전 ‘전문가로의 진입’, ‘이상적인 교과서에 대한 꿈의 현실화’라는 막연한 역할 기대를 하며 설레어했다. 이후 본격적인 집필 활동 속에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쉽고 맥락 있는 서술하기’, ‘교실 현장 담기’, ‘아이들 마음 읽어내기’ 등의 구체적 행동으로 교과서를 디자인해 갔다. 그러나 교사 집필자들의 역할은 제약과 한계라는 장벽에 부딪혔다.

제약과 한계의 원인은 전문성의 한계에 있기도 하였고, 출판사의 상업성과 교육과정의 규정성 등에 있기도 하였다. 하지만 교사 집필자들은 포기하지 않고 집필을 완료하였으며 스스로의 역할을 ‘교수 집필자를 보완하고 출판사 조력을 받으며 현장을 반영하는 대변자’로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학문적 전문성 신장 차원에서 역할 구현에 만족감을 표시하였다. 그러나 역할 구현을 방해하는 제약과 한계에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그러나 아쉬움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보완 방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본 연구는 이후 더 좋은 교과서를 제작하는 데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교수 집필자와 출판사 편집자들과의 면담이 배제되었고, 새로운 역사 교과서에 대한 현장 반응을 조사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추후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역사교과서 제작과 검정 과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exact role played b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writing of History(I)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whole process through several interviews with them. The results show that before the actual writing, they had expected the experience to be an opportunity for them to become ‘experts’ and realize the ‘dream of writing an ideal textbook/ However, during the actual writing, they, based on their classroom experiences, tried to design a textbook with specific adivi仕es such as ‘writing in an easy and coherent manner,' 'picturing the classroom, and 'reading children's minds.'

Some of the initial plans they had as textbook authors were modified because of certain constraints and limitations. The classroom experiences themselves, the publisher’s profit-oriented stance, the curricular regulations, and others functioned as restricting factors. Yet the teachers persevered with the difficulties and finally finished the writing. And they came to realize that their role is to assist the 'professor-writers' and provide actual classroom experiences with the help of the publisher.’ They also expressed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the development of their expertise. They nonetheless felt a sense of frustration at the restraints on their role.

This paper only interviewed teacher participants. The exclusion of the professors and the editors from the interviewing process makes it hard for this study to show all the responses to the new environment of textbook writing. Further studies in this direction hopefully will ensue. This kind of studies will contribute to writing better textbooks.

Keywords: 역사 교과서; 교사 집필자; 질적 연구; 집필 과정에서의 인식; 중학교
Keywords: Historical Textbook; Teacher Author; Qualitative Research; Perceptions of the Writing Process; Middle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