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역사교과서 체제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과 개발 방향

김민정 1 ,
Mn-Jung Kim 1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서강대학교 조교수
1Assistant Professor, Sog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Mn-Jung Kim, E-mail : minjungk@sogang.ac.kr

ⓒ Copyright 2013,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an 1, 2013 ; Revised: Feb 4, 2013 ; Accepted: Feb 22, 2013

Published Online: Mar 31, 2013

요약

본 연구는 교과서 개발과 평가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교과서의 내적ㆍ외적 체제로 구성된 역사교과서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역사교과서에 대한 평가와 좋은 교과서에 대한 요구에 기반을 두고 교과서를 개발할 때 교수ㆍ학습의 변화가 가능하다고 보고, 역사교과서를 실제 사용하는 교사와 학생의 교과서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서 분석 기준에 토대를 두고, 역사교과서를 선정할 때 고려한 점과 우선순위, 실제 교수ㆍ학습 상황에서 사용해 본 교과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 및 개선 요구를 검토하였다. 설문조사와 면담으로 이루어진 조사 결과,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새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대해 교사들은 대체로 만족스러운 평가를 내렸다. 교사들은 역사교과서의 내용 선정과 조직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교과서를 선정하며, 실제 사용해 본 결과 개정 교육과정의 초점 중 하나인 한국사와 세계사의 유기적 연결에 대해서는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평가와 함께 학습 분량의 과다를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학생들은 수업에서 교과서가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는 교재로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자신들의 역사 정보를 얻는 주요한 경로로서 파악하고 있다. 교과서가 충분한 학습 자료를 싣고 있고, 제시 방식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역사교과서가 학습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학습자와 관련이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학생들의 인식에 비추어, 교사와 연구자들이 생각하는 학습량의 문제, 학습 자료의 측면에서 탐색되어 오던 교과서 문제를 되짚어보고, 학생들의 역사 ‘학습’이 제대로 일어나도록 학습의 흥미와 탐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교과서 편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needs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history textbooks and to make suggestions for textbook developers to meet those needs.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what features of textbooks teachers consider most importantly when selecting textbooks, how textbook readers assess current using history textbooks, and specifically in what features students find useful comparing the currently-used textbooks with the previous 1990s textbooks.

Data collection included questionnaire surveys, classroom observation and interviews.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articipated in nation wide survey. Among them, focus groups were chosen to conduct interview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Most of all, history teachers considere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to be more important when selecting textbooks, including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The survey also highlights that teachers seem to demand effectiveness and variety of visual aids for teaching. Most of teachers point out the level and amount of textbook contents inappropriate for their students. Coripared to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the intact of external characteristics was relatively low.

In overall, textbook readers including teachers and students were not dissatisfied with the organization and internal aspects of textbooks but more satisfied with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such as design, colors and editing. Especially teachers addres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histoiy textbooks such as the weak linkage between Korean histoiy and World history and low applicability to changing educational contexts such as block time classes.

This study suggests that history textbook developers should strive to identify the demands and needs of textbook readers as well as empiric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how history textbooks are used in classroom contexts.

Keywords: 역사교과서; 교과서 체제; 교과서 선정 및 평가 기준; 탐구활동; 교과서 체제 개선방향
Keywords: History textbook; demands and assessment of school history textbook; textbook readers;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ext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