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교과서 검정 심사의 분류일치도 분석 연구

김창환 1 ,
Chang-Hwan Kim 1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성과평가실장
1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orresponding Author : Chang-Hwan Kim, E-mail : kimch@kice.re.kr

ⓒ Copyright 2012,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an 01, 2012 ; Revised: Feb 07, 2012 ; Accepted: Feb 22, 2012

Published Online: Mar 31, 2012

요약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피험자들이 검사에서 통과하거나 실패하는 여부는 어떠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기준 설정의 과정이 없이 임의로 정한 점수 평균을 넘어서는가를 재는 동일한 기준에 따라 보통 결정되는데, 최근 점수 판정제가 도입된 ‘교과서 검정 심사’에서도 이러한 분할점수 설정이 적용되고 있으며 분류 결과에 대한 분류일치도 분석 및 추정은 아직까지 시도된 바가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연구는 복합 문항(교과서 검정 심사 결과)에 대하여 세 가지의 분류일치도 추정 방식을 사용하여 도출된 분류일치도 분석을 목표로 하였으며 자료는 2006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2008년도 수학, 영어 과목의 교과서 검정 심사’ 결과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첫째, 분류일치도를 추정하는 다섯 가지의 방식 중 세 가지 즉, NM 방식, LL 방식, CM 방식을 사용하여 분류일치도를 추정하였는데 세 가지 방식에서 산출된 계수와 Kappa 계수의 추정치들은 모두 다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모형을 적용한 방식의 가정 적합성 확인을 위하여 NM 방식의 정상성 가정은 Q-Q 플롯을 그려본 결과 모든 점들이 거의 직선을 따라 놓여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LL 방식의 4모수 베타-이항 모형은 불규칙성이 많이 보였고 전체적으로 관찰점수 및 조정점수의 분포는 대략 동일한 분포 형태를 갖는 것으로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과서 검정에서 채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제언들이 요약되어 제안되었고 연구의 한계 및 장래의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준거참조검사; 분류일치도; 계수; Kappa 계수; NM 방식; LL 방식; CM 방식; 교과서 검정 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