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INA 모형을 활용한 대규모 학업성쥐도 평가 결과 분석

김성훈1, 송미영2,
Sung-Hoon Kim1, Mi-Young Song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동국대학교, 교수
2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1Dongguk University
2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orresponding Author : Mi-Young Song, E-mail : mysong@kice.re.kr

ⓒ Copyright 2011,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an 01, 2011 ; Revised: Mar 09, 2011 ; Accepted: Mar 11, 2011

Published Online: Mar 31, 2011

요약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국가들은 학교 교육의 질을 관리하고 교육 환경 개선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가수준 혹은 국제수준의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주로 전국 규모의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는 국가, 지역, 학교 차원의 교육효과 평가 및 교육관련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지금까지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에서 학생 개인 또는 집단의 평균적인 학업성취 수준의 정보를 산출해 왔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습득한 교과 지식의 구조적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하여 추후 교수학습에 유용한 처방적 정보를 제공하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지진단이론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의 지식 및 기능에 대한 숙달 상태를 진단한 결과, 교과 지식 구조에 대한 평가 결과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었다. 학생의 능력에 대한 상세 진단 결과를 참고하여 학업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교수 학습의 방향을 정하고 정책적 지원을 전개해 나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인지상태의 진단을 위해서는 핵심적이고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Q-행렬의 타당성 검토와 확보를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Keywords: 인지진단;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 Q-행렬; DINA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