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존재의 교육과정 탐구: 현상학적 접근의 교육과정적 의미

이근호 1 ,
Keun-ho Lee 1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1Associate Research Fellow,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orresponding Author : Keun-ho Lee, E-mail : khlee@kice.re.kr

ⓒ Copyright 2010,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Sep 01, 2010 ; Revised: Oct 09, 2010 ; Accepted: Oct 25, 2010

Published Online: Nov 30, 2010

요약

현상학은 이념적, 철학적 지향으로서 뿐만 아니라 그러한 지향을 실제적이고 실천적인 연구 방법론으로 원용하려는 모든 종류의 노력들을 망라하는 용어이다. 전자는 주로 철학 내용의 체계로서의 현상학을 말하고 후자는 실천 현상학의 관심이 된다. 교육과정과 관련해서는 전자의 입장이라기보다는 후자의 편에서 현상학적 접근의 의미가 규정되어 왔다고 말할 수 있다. 특정 철학 내용의 체계로서의 현상학이 교육과정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바가 적지 않겠으나, 교육과정 분야가 더 필요로 하는 것은 현상학이 기반 하고 있는 자유로운 비판정신과 사유 스타일 자체에 있기 때문이다. 그런 맥락에서 이 글에서 지칭하고 있는 현상학적 접근이란 전통 철학의 한 분과로서의 현상학을 일컫는 것이 아니라, 현상학의 관점과 태도를 교육과정 연구에 적용하려는 특별한 시도 및 실천적 노력을 가리키는 것이다. 실천 현상학의 관점에서 볼 때, 결국 현상학은 현상들에 관한 탐구이며, 그것들의 본질적 성격과 의미를 밝혀내고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한 것으로서의 현상학의 관심은 사물이 우리의 의식 속에서 혹은 경험을 통해서 그 자신을 드러내는 방식에 충실하고자 한다. 현상학에 기반 한 연구자는 체험에 관한 풍부한 기술과 깊이 있는 해석을 통해서 그 체험 속에 담겨 있는 의미들을 포착하고 드러내고자 하며, “성찰”과 “글쓰기”라는 두 가지 경로를 활용하여 현상을 탐구한다. 성찰은 연구 대상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의미를 구성하고 앎을 형성하는 과정이며, 글쓰기는 그렇게 형성된 앎을 소통하고 공유하는 방편이 된다. 이 글은 현상학의 논리 및 방법론적 구조들을 살펴보고, 현상학적 연구의 일반적인 절차와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교육과정 탐구의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교육과정 연구방법론의 등장은 교육과정 분야에 대한 연구를 깊이 있고 풍성하게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현상학; 체험; 환원; 존재; 성찰; 일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