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사례연구 - 중학교 1학년 ‘함수’ 내용을 중심으로-

노선숙1, 조성민2
Sun-Sook Noh1, Seong-Min Cho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이화여자대학교 교수
2동일여자고등학교 교사
1Professor, Ewha Womans University
2Teacher, Dongil Girls' High School

ⓒ Copyright 2007,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Sep 1, 2007 ; Revised: Oct 2, 2007 ; Accepted: Oct 18, 2007

Published Online: Dec 31, 2007

요약

능동적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능력이 중시되는 현대사회에서는 학습자의 자율성 및 창의성의 계발이 학교교육의 기본적인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실행되고 있는 우리나라도 학습자 중심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표방하는 등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해서는, 국가수준의 개혁뿐 아니라 교사수준에서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교실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 수학교과에서 구체적인 영역과 학년 및 단계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학교중심, 교사수준에서의 교육과정 개발연구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교육목표로 보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창의성이란 산물보다는 과정을 중시한, 적절한 훈련을 통해 계발 가능한, 보편적인 학생들이 갖고 있는 잠재적인 능력이라는 관점을 바탕으로 공교육에서의 창의성 계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내용으로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선정하고 <7-가> 단계 ‘비례관계와 함수’ 단원의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또한 교사수준에서 소주제별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고 이에 근거한 <7-가> 단계 ‘비례관계와 함수’ 단원의 교재 및 교사용안내서를 개발하여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사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내에서 학생들의 창의성 계발이라는 교육목표 달성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으며, 제시된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사례연구가 현재 현장의 학교중심, 즉 교사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설계 시 하나의 개발안으로서 참조되어 현장지향적인 사례연구의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oday, there is not yet a clear consensus on how to develop and execute a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can foster creativity in students. The discussion is further complicated by the confusing and interchangeable use of similar terminologies such as creativity, imagination, creative teaching and creativity development. Nevertheless, a focused effort on developing creativity in students is needed in today's society where the results of active creativity is highly valued and emphasized.

The current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he assumption that creativity is a process of thinking rather than a product of thinking and that it is not an innate ability that one is born with but a learnable trait that can be improved with appropriate guidance and practice in the public school settings. Also, average students rather than higher ability students in public schools were chosen as the target population of the research.

The goal of the research was to develop a framework for designing curriculums and lessons that will help to grow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hinking in increasing base knowledge. The framework was then used to develop lessons in the area of 'Patterns and Functions' for the 7th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within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Keywords: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함수단원 교수․학습 모형; 창의성; 수학적 창의성
Keywords: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framework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function; creativity; mathematical crea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