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교재 내 삽입그림의 유형과 제시조건이 설명적 교재의 중심내용 이해에 미치는 효과

문선모1, 박성옥2
Seon-Mo Moon1, Seong-Oak Park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경상대학교 교수
2진주관봉초등학교 교장
1Professo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Schoolmistress, Guanbong Elementary School

ⓒ Copyright 2007,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ug 30, 2007 ; Revised: Oct 8, 2007 ; Accepted: Oct 10, 2007

Published Online: Dec 31, 2007

요약

6학년 학생들을 피험자로 하여 설명적 교재 내에 삽입ㆍ제시하는 그림의 유형과 제시조건이 설명적 교재의 중심내용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두 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은 그림유형을 주요 독립변인으로, 선행지식수준을 보조 독립변인으로, 실험 2는 그림제시조건을 주요 독립변인으로, 선행지식수준과 검사시기를 보조 독립변인으로 하였다. 두 가지 설명적 교재를 사용하여 주요점 회상과 중심내용 파악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설명적 교재 내에 아무런 그림도 제시하지 않거나(무그림), 제시하더라도 글 전체의 주요내용을 그림으로 나타내어 글의 끝부분에 제시하는 것(전체그림)보다는 각 단락의 주요내용을 그림으로 나타내어 각 단락 내의 오른쪽에 제시하는 것(단락그림)이 이러한 단락그림과 전체그림을 함께 제시하는 것(단락그림 + 전체그림)만큼 주요점 회상과 단락의 중심내용 파악을 촉진하였다. 그러나 전체그림과 무그림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실험 1). 실험자 제공그림과 피험자 생성그림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실험 2). 그림유형 또는 그림제시조건과 선행지식 간에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림제시조건과 선행지식과 검사시기 간에 주요점 회상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였다.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designed and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ypes and presentation conditions of pictures embedded in the expository text on comprehension of main ideas in expository text in six-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xperiment I two factorial design was used. Two between-subjects factors were four types of pictures embedded in the text and two levels of prior knowledge about the text. First, a whole picture described main points of the whole text and embedded in the end. Second, three paragraph pictures described main points of three paragraphs composed of the text and embedded in the right part of each paragraph. Third, both a whole picture and three paragraph pictures were embedded together. Fourth, no picture was embedded.

In experiment Ⅱ a mixed, between-subjects, within-subjects, design was used. Two between-subjects factors were two presentation conditions of paragraph pictures (experimenter-suppliedㆍsubjects-generated) and two levels of prior knowledge (highㆍlow). One within-subjects factor was testing time (immediateㆍone-week delayed). The criterion variables were scores of main points recall and main ideas comprehension.

Paragraph pictures or both a whole picture and three paragraph pictures embedded together improved main points recall and main ideas comprehension. Both experimenter-supplied pictures and subjects-generated pictures facilitated comprehension of main ideas in expository tex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presentation conditions. Levels of prior knowledge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n main points recall between presentation conditions of the pictures and testing time.

Keywords: 교재 내 삽입그림; 그림유형; 그림제시조건; 중심내용 이해; 교재처리
Keywords: text-embedded pictures; types of pictures; presentation conditions of pictures; main idea comprehension; text proc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