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차시 | 오리엔테이션 | • 모둠 구성하기 - 모둠 구성 및 규칙 정하기 - 모둠 간 협동심 함량을 위한 아이스브레이크: 로컬푸드 찾기활동•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 학습활동 안내하기 - 디자인씽킹 개념, 단계,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문제해결 사례 확인 - 생태전환교육과 관련하여 AI 그림그리기 활동 및 개념 확인 식생활과 기후 위기 관련성 사례 확인 | (퀴즈)퀴즈 앱 (Quizn)으로 디자인 씽킹 개념 점검 (동료평가) 오토드로우로 작품 표현 |
2 차시 | 공감 | • 문제 상황 확인하기-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식품의 생산, 소비, 폐기 과정에 대한 문제 상황 확인 기후 위기 시대를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세대와 미래 세대의 삶을 위한 지속 가능한 환경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매 끼니 섭취하는 먹거리는 식품의 생산, 소비,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이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분석하여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식생활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생태전환 식생활 실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자.• 문제 인식하기 -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식생활(급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문제 분류하기 - 모둠 내 의견의 유사성 분류• 인터뷰지 제작하기 - 모둠별로 면담을 위한 질문 문항 및 설문조사를 위한 구글 설문지 작성• 인터뷰 및 조사 - 영양사 선생님 면담 및 현장 전문가 메일을 통한 설문조사 - 급식 잔반의 실태 관찰 | (자기성찰평가)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식생활 문제점에 대한 본인 생각 정리 (관찰평가) 인터뷰 주제에 관한 질문 적합성 |
3 차시 | 문제 정의 | • 인터뷰 및 조사를 통한 문제 확인하기 - 인터뷰, 관찰,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알게 된 정보 분석• 인터뷰를 통한 문제 정의하기 - 생태전환 식생활을 위한 문제 탐색 및 정의 - 어떻게 하면 생태전환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을까? | (관찰평가) 문제 탐색의 논리성 |
4 차시 | 아이 디어 도출 | • 해결 방안 도출하기 위한 확산적 사고기법 활용 - 확산적 사고기법인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하여 학교에서 실생활 적용 및 실천을 위한 식생활 방안 구상• 실현 가능한 해결 방안 선택을 위한 수렴적 사고기법 활용 - 포스트잇을 활용하여 의견을 분류한 후, 학교에서 식생활 실천 방안에 관한 최적의 아이디어 선택 | (관찰평가) 해결 방안의 다양성 및 실현 가능성 |
5 차시 | 프로토 타입 제작 | • 프로토타입 개념 및 제작 확인하기 - 프로토타입 제작을 위한 디자인 플랫폼 확인 - 프로토타입을 시각화하여 표현• 프로토타입 제작하기 - 디자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학교에서 생태전환을 위한 식생활 실천 아이디어 프로토타입을 카드뉴스 형식으로 제작 | (관찰평가) 캔바를 통한 모둠의 협력 및 상호작용 |
7 차시 | 발표 및 평가 | • 결과물 피드백 및 프로토타입 수정 보완하기 - 프로토타입 공유 및 발표로 모둠내, 모둠간 피드백 의견 수렴 - 동료 피드백을 바탕으로 프로토타입 수정 보완• 최종 결과물 발표 및 감상하기 - 학교에서 생태전환을 위한 식생활 방안 결과물을 모둠별로 발표 - 모둠 발표를 들으며 본인의 감상평 작성 및 피드백, 공감 표시 - 최종 결과물을 복도 게시판에 게시• 소감 나누기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생태전환교육 활동으로 새롭게 알게 된 점과 느낀 점, 앞으로 실천할 사항 작성 및 이야기 나누기 | (동료평가) 패들렛에서 모둠 피드백, 공감(관찰평가) 내용 전달력 명료성 효과성 매력성(자기성찰평가) 배운점 느낀점 실천할 점 작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