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변수의 구성 및 설명

영역 변수
개인 배경 개별 학년1), 성별2), 만 나이3), 현재 학교를 다닌 기간6), 유치원 다니기 시작한 나이7), 초등학교 입학 시점8), 사용 가능한 언어의 수19), 조망 수용39), 진로에 대한 전망39)
파생 상대적 학년 수준1), 학생의 출생 국가27), 학생이 기대하는 직업 지위3), 최종 학력에 대한 기대34), 목표 학력25), 학생이 기대하는 직업 지위24), 미래 직업 정보에 대한 명확성11), 미래 직업 정보 탐색3), 이민 상황 지표26)
가정 환경 개별 식량 불안4),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2문항)5), 형제/자매의 수3), 집에 소유하고 있는 디지털 기기의 총 개수21), 집에 소유하고 있는 도서의 총 권수22), 12개월 동안 지출한 교육비23), 자녀의 영유아 교육 및 보육 프로그램 참여 여부(언어, 수학)(3문항)16), 자녀의 영유아 교육 및 보육 프로그램 참여 나이(8문항)11), 자녀의 영유아 교육 및 보육 프로그램 참여 이유20), 자녀의 영유아 교육 및 보육 프로그램 참여 정도21), 자녀의 초등학교 시기 정규 수업 이외의 추가 수업 여부(심화, 보충-언어, 수학)(4문항)16)
파생 어머니의 사회 경제 직업 수준24), 아버지의 사회 경제 직업 수준24), 가족의 지원3), 어머니의 출생 국가27), 아버지의 출생 국가27), 집에서 주로 사용하는 언어28), 모 교육 수준36), 부 교육 수준36), 부모의 최고 교육 수준36), 부모의 최고 학력 수준3), 모 직업 지위24), 부 직업 지위24), 부모의 최고 직업 지위24), 가정의 보유 자산(도서 등 기타 자산)3), 학부모의 학업적 지원3), 자녀 학교에 대한 인식-학교의 질3), 자녀 학교에 대한 인식-학교의 정책3), 자녀에게 기대하는 학력 수준34), 유아 교육 및 보육 프로그램 참여 기간35), 사회경제적 지위3)
정서 파생 삶에 대한 만족도3), PISA 검사에 대한 노력5), PISA 응답에 대한 노력5), 인내심3), 호기심3), 협력3), 공감3), 자기주장3), 스트레스 저항력3), 정서 조절3), 자제력39), 신뢰39), 이민자들에 대한 태도3)
수학 관련 개별 일주일 수학 수업 횟수(2문항)3), 수학 수업 인식5), 수학 보충 학습(사교육, 과외 수업)(6문항)11)
파생 타 교과 대비 수학 선호도11), 수학에 대한 쉬움 인식11), 수학에 대한 동기 부여11), 수학 인지 활성화: 추론 능력 함양3), 수학 인지 활성화: 수학적 사고 함양3), 형식적/응용 수학 과제 노출3), 수학 추론 및 21세기 수학 주제 노출3), 수학 자기효능감: 형식적 수학과 응용 수학3), 수학 자기효능감: 추론과 21세기 수학3), 수학 개념 친숙도3), 수학 불안3), 수학 학습에 대한 노력과 끈기3), 직업에서 수학의 유용성3), 수학 관련 진로3), 수학 수업의 분위기3), 수학 교사의 지원3)
학교 관련 개별 학교 활동 불참 사유(11문항)16), 자녀 학교 선택권17), 자녀 학교 선택 이유(14문항)18)
파생 학교 안전감3), 학교 안전 위협3), 학생-교사 관계의 질3), 학교 소속감3), 따돌림 경험3), 학교 활동 참여도3), 학년 유예29), 무단 결석30), 무단 결과31), 지각32)
교외 활동 개별 학교 가기 전 활동(5문항)9), 방과 후 활동(5문항)9), 수학 숙제에 소요되는 시간10), 언어 숙제에 소요되는 시간10), 과학 숙제에 소요되는 시간10), 숙제에 소요되는 시간10)
파생 (등교 전/방과 후) 스포츠 활동 빈도33), (등교 전/방과 후) 학습 활동 빈도33), (등교 전/방과 후) 경제 활동 빈도33), (등교 전/방과 후) 집안일 빈도33)
ICT 관련 파생 학교에서 ICT의 사용3), 학교에서의 일상적인 ICT 사용37), 학교 밖에서의 ICT 사용(학교 활동)3), 가정에서의 일상적인 ICT 사용38), ICT 접근 가능성3), 수업에서 주제와 관련된 ICT 사용3), 수업 이외의 주제와 관련된 ICT 사용3), ICT를 활용한 학습지원3), ICT를 활용한 교내 활동3), 주중 여가 활동에서 ICT 활용 시간3), 주말 여가 활동에서 ICT 활용 시간3), 학교에서 ICT 사용에 대한 의견3), 정확한 온라인 정보 활용을 위한 학생 활동3), 부적절한 온라인 콘텐츠와 사이버 폭력에 노출되었을 때 반응3), 디지털 역량에 대한 자기효능감3), ICT를 활용한 수학 활동39),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대한 흥미39),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39), 디지털 기기 활용 행동39)
코로나19 개별 코로나19로 인한 등교 중지 기간(2문항)12), 등교 중지 기간 사용된 디지털 장치13), 등교 중지 기간 교육 정도에 대한 인식14), 학교의 위기 대처 준비도에 대한 인식15)
파생 학습 지속을 위한 학교의 지원 활동3), 등교 중지 기간 사용된 학습자료3), 등교 중지 기간 학습에서의 어려움3), 등교 중지 기간 가족의 학습지원3), 등교 중지 기간 동안 학습에 대한 느낌3),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효능감3)
1) 0: 고등학교 1학년, 1: 고등학교 2학년
2) 1: 남, 2: 여
3) 연속
4) 1: 전혀 아니다 ~ 4: 일주일에 4~5회
5) 1: 매우 낮음 ~ 10: 매우 높음
6) 1: 3년 이상 ~ 5: 올해 학년 시작 이후 입학
7) 1: 1살 이하 ~ 6: 6살 이상
8) 1: 3살 이하 ~ 7: 9살 이상
9) 1: 0 ~ 6: 5일 이상
10) 1: 하루 30분 미만 ~ 6: 하루 4시간 이상
11) 0: 아니오, 1: 예
12) 0: 아니오 ~ 5: 예, 12개월 이상
13) 1: 자신의 노트북 등 보유 ~ 5: 없음
14) 1: 평소보다 덜 배움 ~ 3: 많이 배움
16) 1: 예, 2: 아니오
17) 1: 2개 이상 ~ 3: 없음
18) 1: 전혀 중요하지 않음 ~ 4: 매우 중요함
19) 1: 1개 ~ 4: 4개 이상
20) 1: 출석 의무, 2: 보육 불가, 3: 추가적 학습 자극, 4: 다른 프로그램 참여
21) 1: 없음 ~ 8: 10개 이상
22) 1: 없음 ~ 7: 500권 이상
23) 1: 없음 ~ 6: 특정 금액 이상
24) ISCO 코드
25) ISCED 코드
26) 1: 원주민, 2: 2세대 이민, 3: 1세대 이민
27) 국가 코드
28) 언어 코드
29) 0: 없음, 1: 1회 이상
30) 0: 3개월 이상 없음, 1: 있음
31) 0: 최근 2주간 없음, 1: 있음
32) 0: 최근 2주간 없음 ~ 2: 자주 있음
33) 0: 일주일 동안 없음 ~ 10: 10회 이상
34) 1: ISCED 레벨2 미만 ~ 9: 레벨8 이상
35) 0: 1년 미만 ~ 8: 최소 8년 이상
36) 1: ISCED 레벨1 이하 ~ 10: 레벨8
37) 0: 없음 ~ 7: 7개 이상 자원 사용 가능
38) 0: 없음 ~ 6: 6개 이상 자원 사용 가능
39) 평균
주: 설명변수의 명칭은 선행 연구를 참고로 하였고, 그 외에는 자체 번역하여 사용하였음
(교육부, 2023; 김성경 외, 2023; 정혜원, 박소영, 2022; 정혜원, 박소영 외, 2021; 조성민 외,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