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8 문항특성별 Saltus 모형의 잠재집단 추출 결과
Saltus 모수 | 유형1 | 맥락2 | 역량3 | 지식4 |
추정값 | 표준오차 | 추정값 | 표준오차 | 추정값 | 표준오차 | 추정값 | 표준오차 |
τ22 | 0.011 | 0.056 | 2.350*** | 0.200 | -0.255 | 0.479 | -0.364 | 0.187 |
τ23 | -0.012 | 0.386 | 0.798*** | 0.134 | -0.131 | 0.327 | -1.295*** | 0.197 |
τ32 | 0.186 | 0.525 | 3.933*** | 0.633 | -1.389*** | 0.305 | -0.003 | 0.007 |
τ33 | -2.360 | 1.494 | 0.021 | 0.415 | -0.896 | 0.196 | -0.002 | 0.086 |
잠재집단 | 빈도(명) | 비율(%) | 빈도(명) | 비율(%) | 빈도(명) | 비율(%) | 빈도(명) | 비율(%) |
잠재집단 1 | 832 | 99.0 | 202 | 24.0 | 0 | 0.0 | 0 | 0.0 |
잠재집단 2 | 0 | 0.0 | 638 | 76.0 | 551 | 65.6 | 704 | 83.8 |
잠재집단 3 | 8 | 0.1 | 0 | 0.0 | 289 | 34.4 | 136 | 16.2 |
p < .05;
p < .01,
p < .001
문항군 1=단순선다형, 문항군 2=복합선다형, 문항군 3=구성형
문항군 1=전세계적, 문항군 2=개인적, 문항군 3=지역적/국가적
문항군 1=현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 문항군 2=자료 및 증거의 과학적 해석, 문항군 3=과학 탐구의 평가 및 설계
문항군 1=내용적 지식, 문항군 2=인식론적 지식, 문항군 3=절차적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