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6 소속에 따른 학생부 반영 항목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결과 (입학사정관 193명, 고교교사 331명)

학생부 항목 소속 사례수 (N)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
평균 (M) 표준 편차 (SD) t 평균 (M) 표준 편차 (SD) t 평균 (M) 표준 편차 (SD) t
1) 출결상황 입학사정관 193 3.13 1.076 -8.283*** 3.00 .963 -9.014*** 4.22 .827 -3.434**
고교교사 331 3.91 .941 3.79 .991 4.46 .718
2) 창의적체험활동 입학사정관 193 3.41 .892 -5.479*** 4.27 .700 -2.530* 4.20 .704 -3.290**
고교교사 331 3.84 .808 4.43 .694 4.41 .723
3) 공통과목의 정량적 요소(원점수, 성취도, 석차등급, 성취도별 분포비율, 과목평균, 이수학점, 수강자수 등) 입학사정관 193 4.37 .600 -.336 3.68 .823 -2.729** 2.95 .894 -5.090***
고교교사 331 4.39 .672 3.87 .764 3.37 .959
4) 일반선택과목의 정량적 요소(원점수, 성취도, 석차등급, 성취도별 분포비율, 과목평균, 이수학점, 수강자수 등) 입학사정관 193 4.38 .651 -.092 3.82 .817 -2.935** 2.90 .857 -5.623***
고교교사 331 4.38 .652 4.03 .736 3.35 .937
5) 진로선택과목의 정량적 요소(원점수, 성취도, 석차등급, 성취도별 분포비율, 과목평균, 이수학점, 수강자수 등) 입학사정관 193 4.11 .806 -.302 4.11 .834 -.774 2.90 .866 -5.452***
고교교사 331 4.13 .750 4.17 .760 3.34 .927
6) 융합선택과목의 정량적 요소(원점수, 성취도, 석차등급, 성취도별 분포비율, 과목평균, 이수학점, 수강자수 등) 입학사정관 193 3.99 .791 2.409* 3.91 .805 .987 2.91 .900 -4.241***
고교교사 331 3.82 .801 3.83 .835 3.26 .921
7) 공통과목의 세특 입학사정관 193 4.30 .715 -1.769 4.07 .715 -1.155 3.65 .797 -4.273***
고교교사 331 4.42 .783 4.15 .859 3.96 .808
8) 일반선택과목의 세특 입학사정관 193 4.35 .684 -1.527 4.16 .729 -1.860 3.66 .782 -4.447***
고교교사 331 4.45 .778 4.29 .831 3.98 .801
9) 진로선택과목의 세특 입학사정관 193 4.22 .780 -.693 4.41 .664 .283 3.63 .767 -4.812***
고교교사 331 4.27 .837 4.39 .818 3.97 .807
10) 융합선택과목의 세특 입학사정관 193 4.08 .783 .760 4.21 .730 1.400 3.63 .780 -3.770***
고교교사 331 4.02 .911 4.11 .900 3.91 .830
11) 과목선택 및 이수현황(공동교육과정/소인수과목/학교밖교육 포함) 입학사정관 193 3.99 .743 -1.217 4.19 .733 -1.199 3.09 .980 -4.382***
고교교사 331 4.08 .800 4.27 .800 3.48 .961
12)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입학사정관 193 3.59 .997 -3.962*** 3.81 .835 -2.920** 4.56 .652 -.180
고교교사 331 3.94 .953 4.03 .842 4.57 .728
p<.05,
p<.01,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