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2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세계시민 (의식)’

구분 내용
‘사회’ 성격 우리 민족의 역사, 우리 국토와 환경, 한국 사회 제도의 현실과 변화, 지구촌의 특징과 변화 등에 대한 탐구를 통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
성취기준 해설 [6사07-01]∼[6사07-06] … 세계시민으로서 지녀야 할 지구촌적 시각과 태도를 함양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단원 소개 [6사08-01]∼[6사08-06] … 지구촌의 다양한 갈등 사례와 지속가능한 미래 건설의 과제를 탐색함으로써 통일 한국의 미래를 구상하고 지구촌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세계시민의 자세를 기르기 위하여 설정되었다. … 남북통일을 위한 노력과 지구촌 평화에 기여하는 통일 한국의 모습을 살펴본다. 아울러 지구촌의 평화와 발전을 위협하는 요인과 이의 해결 방안을 탐색하고, 지속가능한 지구촌을 건설하기 위한 과제를 탐색한다.
[6사08-05], [6사08-06] … 주요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건설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세계시민의 자세를 기르는 데 주안점을 둔다.
[10통사08-01]∼[10통사08-03] … “세계화는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양한 갈등과 분쟁의 평화적 해결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핵심 질문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이 단원에서는 세계화로 인한 문제와 국제 사회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제 사회의 협력과 평화를 추구하는 세계시민 의식이 필요함을 파악하고자 한다.
※ <표 10>에 제시된, 세계시민교육의 학습 주제가 반영된 것으로 3회 이상 집계된 성취기준과 성취기준 해설을 제외하고 ‘세계시민 (의식)’이 직접적으로 언급된 부분을 정리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