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및 수업에 대한 인식 및 경험 연구

대상 세부 주제 선행연구
교사 정책 관련 의견 및 요구조사 ­ 이광우(2018). 고교학점제 실행에 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김진숙 외(2019). 학점제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도입에 대한 요구 조사.­ 김인엽 외(2019).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 차이 분석 연구.­ 이상은, 백선희(2019a). 고교학점제 선택 과목 확대 가능성 탐색: 교사 전공별 담당교과 현황 및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구체적 운영 실태·어려움 ­ 이영희, 윤지현, 윤정현(2022). 고교학점제 운영 과정에서 고교 교사들이 겪은 어려움에 대한 인식과 역할 내용 탐색­ 조용(2023). 소규모학교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원 및 전문가 인식 분석.­ 한정희 외(2023). 고교학점제의 대학연계형 공동교육과정 운영 방안 모색을 위한 요구도 분석.
학생 과목 선택 경험 ­ 이상은, 백선희(2019b).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시 과목 선택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 박주현, 서경혜(2021). 학생들의 고교학점제 과목선택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박주현, 서경혜(2022). 학생의 과목선택권과 교육과정 서열화: 고교학점제하 두 학생 이야기
과목 선택 기준 ­ 유득순(2022). 학생의 과목선택권 확대 속 역사 선택 과목에 대한 학생 인식조사 및 교육과정 개발 방향: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D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신은, 윤지아, 이창훈(2021). 직업계고 학점제 연구·선도학교 학생의 과목 선택기준 인식 분석
선택 과목 수업 ­ 박진희 외(2020). 과목선택권 확대를 통해 본 학습자 주도성의 의미 재고: S고 학생들의 공동교육과정 경험을 중심으로­ 고영빈, 지은림(2022). 고교학점제와 성취평가 도입에 따른 진로선택 과목 운영 및 이수에 대한 고교생의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