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어 표현 | 전반적 구어 표현(overall oral production) | - 자신의 주변, 사람, 장소 등 주제부터 복잡한 주제, 학문 통합적 과제까지 명료하고 자세한 기술 가능- 짧고 간단한 단어, 문장, 구부터 흐름이 매끄럽고 잘 구조화된 담화까지 생성 |
지속적 독백: 경험 묘사 (sustained monologue: describing experience) | - 이야기와 설명에 관한 기술로 개인적인 일상 정보부터 복잡한 주제까지 광범위한 주제를 포함- 간단한 단어, 기호, 문장부터 하위 주제 통합하고 요점을 설명하는 수준까지 기술 |
지속적 독백: 정보 제공 (sustained monologue: giving information) | - 장기간에 거쳐 정보를 전달- 간단하고 친숙한 주제에 대한 사실 정보부터 복잡하고 전문적인 학술적 절차까지 포함하며, 간단한 설명부터 요점을 정확성을 갖추어 전달- 아이디어, 개념 및 유사한 사물에 대해 정확하게 구분함 |
지속적 독백: 사례 제기 (sustained monologue: putting a case) | - 어떤 것에 대한 호불호, 일상생활 관련 주제부터 시사 문제와 복잡한 문제에 대한 논쟁 지속할 수 있는 능력- 간단하고 직접적인 비교부터 대화 상대의 관점을 고려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논증을 강조- 간단한 용어로 아이디어 제시하는 것부터 잘 구조화된 언어로 요점을 정확하게 제기하는 것까지 포함 |
발표하기 (public announcements) | - 사적 또는 공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 예측 가능한 학습된 콘텐츠부터 다양한 주제에 대한 발표까지 포함- 발표를 듣는 청중의 집중이 필요한 내용부터 미세한 의미 차이를 포함한 내용 포함- 미리 연습이 필요한 수준부터 힘들이지 않고 유창하게 발표하는 수준까지 포함 |
청중 연설 (addressing audiences) | - 공개 행사, 회의, 세미나, 수업에서 보통 시각 자료를 첨부하여 발표- 친숙한 주제에 대해 약간의 도움을 받아 발표하고 후속 질문에 답하는 수준부터 복잡한 주제를 잘 구조화하여 유창하게 발표하고 반대 입장에서 묻는 질문을 자연스럽게 처리하는 수준까지 포함 |
문어 표현 | 전반적 문어 표현(overall written production) | - 사전을 사용하여 개인적 정보를 쓰는 수준부터 명료하고 흐름이 매끄러우며 복잡한 텍스트를 적절하고 효과적인 스타일로 기술하는 수준까지 포함 |
창의적 쓰기 (creative writing) | - 일기, 전기, 시, 설명, 상상을 담은 다양한 텍스트에 개인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표현 포함- 기본 어휘와 문장부터 독자에게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는 스타일 구사 |
보고와 수필 (reports and essays) | - 익숙한 관심 주제, 일상적인 사실 정보부터 복잡한 학술 및 전문 주제에 대해 출처에서 얻은 관점과 자신의 관점을 구별- 짧은 보고서 및 포스터에 대한 의견 제안부터 문학작품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를 제공하는 복잡한 텍스트까지 포함- 간단한 접속사로 문장을 연결하는 것부터 효과적인 논리 구조로 설명하는 수준까지 포함 |
표현 전략 | 계획하기 (planning) | - 구어 및 문어 표현활동 전의 준비 단계로 말할 내용과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의식적으로 생각하는 것 포함- 리허설과 초안 준비가 요구될 수 있음- 청자와 독자의 반응까지 고려 |
보완하기 (compensating) | - 적절한 표현을 생각할 수 없을 때 의사소통 유지를 위해 동작, 개념 부연 설명, 의역, 단어 수정 |
검토와 수정하기 (monitoring and repair) | - 실수를 의식하는 것과 말한 내용을 재검토하여 적절성과 정확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