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어 이해 | 전반적 구두 이해력(overall oral comprehension) | - 실시간 대면 의사소통, 원격, 녹음된 자료 포함- 시각, 행동, 음성적 입력을 이해 (상호작용과 구별) |
화자 사이 대화 이해 (understanding conversation between other people) | - 그룹 내 학습자 제외하고 나누는 대화 또는 근처의 다른 사람들이 나누는 대화 듣고 이해- 일방적인 대화를 듣기 때문에 설명, 반복 요청이 불가함- 단어, 기호, 구, 주제와 요점, 대화자의 태도 및 사회문화적 맥락 파악 |
현장 관객의 일원으로 이해 (understanding as a member of live audience) | - 청중을 고려하여 전달 속도, 의미의 단순화, 실물 및 시각 보조자료 제공이 있는 세미나, 회의, 강의, 연설 이해- 친숙한 상황과 주제의 요점과 논거 구별 |
발표와 지시 이해 (understanding announcements and instructions) | - 방송 또는 적당 거리에서 전달되는 내용 중 특정 정보 파악에 집중 요구- 자세한 지침과 발표의 요점 파악- 전달되는 자료의 속도와 선명도가 이해에 영향을 미침 |
오디오 자료와 녹음자료 이해 (understanding audio media and recordings) | - 비디오가 없는 방송 오디오 및 녹음자료에서 구체적인 정보, 요점, 화자의 기분, 태도와 관점 식별 |
시청각 매체 이해 | TV, 영화, 비디오 보기 (watching tv, film and video) | - 시청각 모두 제공되고 다양한 속도와 속어와 관용어까지 포함하는 라이브 및 녹화된 비디오 자료와 영화 자료 포함- 주제와 요점 파악, 뉘앙스 및 암묵적 의미 식별 |
문어 이해 | 전반적 읽기 이해 (overall reading comprehension) | - 서면, 특정 텍스트 모두 포함- 읽기 목적과 특정 장르에 따라 분류 |
서신 읽기 (reading correspondence) | - 개인 및 공식 서신 포함- 메시지 길이, 복잡성, 정보의 구체성, 형식, 관용적 언어 사용, 주제에 따라 서신 구분 |
훑어 읽기 (reading for orientation) | - 텍스트 유형, 구체적인 정보, 중요 정보 식별에 따라 스키밍(skimming)과 스캐닝(scanning) 사용 |
정보와 논쟁에 관한 읽기 (reading for information and argument) | - 목적과 관련된 짧은 그림 정보, 보고서, 기사 등의 텍스트를 주의 깊게 읽고 아이디어, 요점, 의미 파악 |
지침 읽기 (reading instructions) | - 정보 파악을 위한 읽기의 한 형태로 지시의 복잡도와 상황 친숙도, 텍스트의 길이에 따라 분류 |
여가활동으로서 독서 (reading as a leisure activity) | - 픽션, 논픽션의 텍스트(문학, 잡지, 신문기사, 블로그 등) 모두 포함하며, 길이와 텍스트의 다양성, 삽화 포함 여부, 시대적 배경, 주제의 친숙도, 문체, 암묵적 및 명시적 의미 파악에 따라 분류 |
이해 전략 | 단서 파악 및 유추하기 (identifying cues and inferring) | - 상향식, 하향식 처리와 추론에서 콘텐츠 및 형식 스키마 사용- 그림, 제목, 자막, 텍스트 위치 참조, 맥락에서 의미 추론, 언어적 단서 활용과 같은 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