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8 초·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영역 및 주요 내용 요소 최종안

대영역 중영역 주요 내용 요소 관련 K-SDGs
Ⅰ. 지속가능한 현재와 미래 1. 지속가능발전의 이해 ∘ 지속가능성 및 지속가능발전의 의미와 가치∘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이해 ① ∼ ⑰
2.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실천 ∘ 지속가능한 생활 양식과 실천∘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거버넌스 및 시민 참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① ∼ ⑰
Ⅱ. 지속가능한 환경과 시민 생활 1. 기후 변화와 친환경 에너지 ∘ 지구촌 환경 문제 ⑬ 기후변화와 대응⑭ 해양생태계 보전⑮ 육상생태계 보전
∘ 기후 변화의 영향 및 대응 ⑬ 기후변화와 대응
∘ 에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 등) ⑦ 에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2. 자연자원 및 생태계 보전 ∘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보전 ⑭ 해양생태계 보전⑮ 육상생태계 보전⑥ 건강하고 안전한 물 관리
∘ 생태계 보전, 생물 다양성 보전 ⑭ 해양생태계 보전⑮ 육상생태계 보전
3. 지속가능한 도시와 지역사회 ∘ 도시화와 도시·주거 문제 ⑪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 생태친화적 도시 환경 및 교통 체계 ⑪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 세계 문화유산 보호·보존 ⑪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Ⅲ. 지속가능한 사회와 시민 생활 1. 건강과 행복한 삶 ∘ 신체·정신 건강 증진, 질병 예방과 관리 ③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 안전한 먹거리 및 식품 관리 ③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2. 인권 보장과 불평등 해소 ∘ 인간 존중과 인권 보호 ⑯ 평화·정의·포용
∘ 다양한 불평등 문제, 사회 정의와 형평성 ⑩ 모든 종류의 불평등 해소⑤ 성평등 보장
∘ 편견·차별 해소, 공동체 의식과 연대 ⑩ 모든 종류의 불평등 해소⑯ 평화·정의·포용
3. 문화 다양성과 포용 ∘ 문화 다양성 존중 ⑯ 평화·정의·포용⑰ 지구촌 협력 강화
∘ 사회문제 해결 및 갈등 조정 ⑩ 모든 종류의 불평등 해소
∘ 지구촌 평화, 남북 교류 협력 ⑯ 평화·정의·포용⑰ 지구촌 협력 강화
Ⅳ. 지속가능한 경제와 시민 생활 1. 지속가능한 소비 생활 ∘ 자원의 유한성, 경제적 선택 문제 ⑫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 친환경·윤리적 소비 생활 ⑫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2. 지속가능한 생산과 기업 윤리 ∘ 지속가능한 농업 ② 식량안보 및 지속가능한 농업 강화⑫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 친환경 생산 및 순환경제 ⑫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⑨ 산업의 성장과 혁신 활성화 및 사회기반 시설 구축
∘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과 사회적 책임 ⑧ 좋은 일자리 확대와 경제성장⑨ 산업의 성장과 혁신 활성화 및 사회기반 시설 구축
3. 빈곤층 감소와 사회 안전망 ∘ 경제 불평등 완화 ① 빈곤층 감소와 사회 안전망 강화
∘ 사회취약계층의 사회 안전망 강화 ① 빈곤층 감소와 사회 안전망 강화⑧ 좋은 일자리 확대와 경제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