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5 현행 수행평가 개선 방안에 대한 두 교사 집단 간 의견 비교

공통점 차이점
· 위탁 교육 기관에 부분적으로라도 평가 권한을 부여할 필요가 있음(특히, 출석이 거의 불가능한 학생의 경우). 위탁 교육 기관 입장 · 원적 학교의 방문 평가 의무 강화
· 개별화 교육 계획에 따른 평가 기준 조정
· 미등교 상태의 건강장애 학생에게 원적 학교 수행평가 정보를 충실히 제공함. 원적 학교 입장 · 장애학생에 대한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나 일반 학교에서는 어려움.· 위탁 교육 기관과 원적 학교와의 수업 내용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음.· 위탁 교육 기관에서의 학습 내용 및 교육과정 계획을 피드백 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함.
· 수행평가에 참여하지 못할 경우 이를 대체할 평가 방법 및 평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함.
· 학습 내용과 평가 내용을 동일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