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건강장애 학생들이 수행평가에서 겪는 어려움

영역\어려움 건강장애 학생들이 수행평가에서 겪는 어려움
위탁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가) 위탁교육 기관 수행평가 관련 ① 교과 학습 발달 상황 평가의 경우 수시 관찰이 기본이나 치료 부작용으로 인한 외모 변화 때문에 카메라를 켜는 것이 부담스러워 평가를 받기가 어려움. (1회)② 내신 평가 권한이 원적 학교에 있으므로 위탁 교육 기관의 평가에 응시하거나 열심히 응할 동기가 없음. (1회)③ 치료 중임에도 학습을 잘 해나가고 있는 학생들에게는 평가 난도가 낮아서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함. (1회)
(나) 원적학교 수행평가 관련 ① 면역력 등의 문제로 출석이 힘들어서 수행평가를 제대로 받기가 어려움. (7회)② 여러 시·도의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재 및 진도가 상이해서 위탁 교육 기관의 수업 내용이 모든 개별 학교의 평가 내용을 포괄하지 못함. (11회)③ 위탁 교육 기관에서 가르치지 않는 교과목 평가에서 어려움을 겪음. (10회)④ 치료 중에도 일반 학생들과 동일한 기준에서 평가를 받아야 하는 부담감 (1회)
(다) 위탁·원적 공통 ① 건강 문제 때문에 평가에 응시하거나 집중할 수가 없음. (3회)② 평가 일시와 치료 일정 등이 겹치는 경우가 있음. (5회)③ 위탁 교육 기관 시험과 원적 학교 시험 일정이 겹칠 경우 이중 부담을 가짐. (1회)④ 학습 부진으로 평가 자체를 부담스럽게 생각함. (8회)⑤ 자신의 학습 수준 저하를 확인하고 싶지 않아서 응시하지 않으려고 함. (3회)
원적학교 교사의 인식 (라) 위탁교육 기관 수행평가 관련 제시된 의견 없음
(마) 원적학교 수행평가 관련 ① 지속적인 등교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수업 중 수시로 이루어지는 수행평가를 받을 수 없음. (26회)② 학교 교육의 단절로 교육과정 성취기준 도달이 어려움. (4회)③ 예체능 교과에서 체력적 부담을 느낌. (4회)④ 학생 본인이 시험을 포기함. (1회)
(바) 위탁·원적 공통 해당 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