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0 MCPK 최종

영역 범주 요소 의미
교과 역량 중심의 수업 설계 교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수‧학습 설계 교육 목표 및 교과 역량 지식 수학 학습에 필요한 내용과 교과 역량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성취기준과 관련 교과 역량을 반영하여 교육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지식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 구조화 핵심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개념, 표현, 절차 등의 연결성이 드러나도록 일관되게 학습 내용을 정선, 계열화 및 재구조화할 수 있는 지식
교과 역량에 적합한 교수·학습 과정 설계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선택하여 학생들이 교과 역량 신장을 위한 수학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을 설계할 수 있는 지식
교과 역량 함양을 고려한 수학 과제 설계 교과 역량 신장을 위해 지식과 역량의 기능을 연결하여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과제를 개발하거나 재구성하는 것과 관련된 지식
교과 역량 평가 설계 교과 역량 평가 방법 및 평가 준거 작성 학습 목표, 교과 역량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평가 방법을 선택하여 교과 역량 평가를 위한 적절한 평가 내용 및 타당한 채점 기준을 마련할 수 있는 지식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평가 연계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과 일관되도록 교수학습 과정에 역량 평가를 반영하여 수업을 계획하는 것에 대한 지식
교과 역량 중심의 수업 실행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실행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발문 신장시키고자 하는 교과 역량의 핵심적인 지식과 기능을 학생들이 탐구할 수 있도록 열린 형태의 발문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
학생 중심 수업 학생이 지식을 구성하고 활용하는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수업을 실행하는 것에 관한 지식예) 학생의 수학적 설명, 학생의 질문하기와 추론하기, 과제 실행과정, 수학적 탐구과정 등의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포함.
교사와 학생, 학생 간 상호작용 촉진 교사와 학생 또는 학생 간 상호작용을 촉진함으로써 교실 담화를 효과적으로 이끌어내는 방법에 관한 지식이때, 교사는 학생이 사고과정을 반성하고, 수정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교과 역량 평가 실행 교과 역량 평가 실행 교과 역량 평가계획에 따라 모든 역량 평가를 실행하여 학생들의 이해 정도와 사고 방법, 수행과정, 결과물 등에 대한 수행 수준을 평가하는 것과 관련된 지식
학생의 자기평가 기회 부여 학생 스스로 성취 정도를 파악하여 자신의 학습 과정을 점검하여 자신의 수학적 지식과 태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수업에 반영하는 것에 대한 지식
교과 역량 평가결과의 활용 교과 역량 평가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 교과 역량 평가를 통해 학생의 학습 성장 및 역량 신장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지식
교사의 수업 반성 및 개선 계획 교과 역량 신장을 촉진하는 수업이 실제로 전개되었는지에 대한 교사의 자기 반성적 평가와 수업 개선을 위한 계획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지식
학습자 역량 이해 학습자의 교과 역량 발달에 대한 인지적 특성에 대한 지식 학습자의 역량 습득에 대한 다양한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적절히 수업에 반영하는 지식 (학습자 수준은 개인의 인지 수준, 선행지식, 학업 성취수준 등을 의미한다.)예) 학생의 수준을 고려한 발문, 차별화된 피드백, 지도 방법, 평가 기준, 학습 활동 설계, 학생의 어려움을 위해 단계적 조치 마련, 학생들이 가질 수 있는 오개념과 오류를 드러내어 논의할 기회 제공
학습자의 교과 역량 발달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지식 교과 역량이 발현될 때 지식, 기능과 함께 통합되는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고려하여 수업에 반영하는 지식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은 자기효능감, 성향, 사고방식, 자아개념, 신념, 수학에 대한 가치, 태도, 흥미, 동기. 감정 등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