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II-1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 관련 교사용 측정도구

구분 연구자 척도명 측정대상 구성요인 문항 수
1 이명숙, 최병연 (2015) 교사의 창의성 교육 지각 척도 초등학교 교사 창의성 교육 관점 20
창의성 교육 방해
창의성 교육 촉진
창의성 교육 수행
2 이명숙, 최병연 (2016) 교사용 창의적 교수효능감 척도 초등학교 교사 창의적 교수수행 효능감 18
창의적 교수전략 효능감
창의적 사고 효능감
3 최지은 (2010) 초등학교 교사용 창의적 교수행동 척도 초등학교 교사 확산적 사고력 지원 45
영역-일반적 지식/기술 지원
영역-특수적 지식/기술 지원
과제 집중과 완성 지원
내적 동기 지원
개방성 지원
4 SOH (2000) Creativity Fostering Teacher Behaviour Index (CFT Index) 초등 및 중등학교 교사 independence(학생들이 독립적으로 배우도록 격려하기) 45
Integration(협력적이고 사회적으로 통합되는 교수 스타일 갖기)
motivation(확산적 사고 유발을 위한 관련 기본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강조하기)
Judgement(학생들이 충분히 생각하고 스스로 완성할 때까지 판단 미루기)
Flexibility(유연한 사고 장려하기)
Evaluation(학생 스스로 자신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촉진하기)
Question(학생들의 제안이나 질문을 중요하게 다루기)
Opportunities(학생들이 서로 다른 조건에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 제공하기)
Frustration(학생들이 고난과 실패를 극복하여 새롭고 일상적이지 않은 것에 용기 내어 도전하도록 돕기)
5 박성희, 최호성 (2016) 창의적 작업환경 검사 초등학교 교사 자율, 진취적인 업무, 관리자의 격려, 동료교사의 지지, 교육기관의 지원, 교육기관의 장애, 충분한 자원, 업무 부담, 창의성, 생산성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