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구성주의 도덕교육론의 관점에서 분석 결과

분석 항목 교과서 진술 형태/사례 비고
도덕성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측면의 통합적 접근인가? 인지와 정의, 행동적 측면을 포괄하는 통합적 접근을 취함 ‘마음’ 등 개념 사용을 통해 정서적 접근 반복 강조
인류가 보편적으로 추구하는 가치 덕목에 대해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검사, 해석하는 학습기회를 부여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가? 정직, 양심, 내면의 아름다움, 협동, 책임, 성실 등을 다루고 있으나면 사회정의나 권리와 관련된 내용이나 덕목은 다루지 않음 체제순응형 가치와 덕목을 전수에 중점
학습자들이 생활하고 있는 현재의 공간에서 직면하는 실제 도덕적 딜레마나 이슈를 다루고 있는가? 부모님과의 생활 사례, 친구와의 우정 사례, 학교 공공시설 활용 사례, 놀이공원, 극장 등에서 경험하는 사례 제시 애국심 함양이나 ‘백두절세위인’에 대한 충성심과 흠모심을 신장하기 위한 사례도 기술됨
인지적 갈등과 불균형을 일으키는 내용을 통해 관점채택과 도덕적 추론 및 판단능력 등을 증진시키고 있는가? ‘생각해봅시다’, ‘토론해 봅시다’를 통해 접근하고 있음. 그러나 유사 딜레마이지만 이야기의 결론이 이미 제시되는형태로 진술됨 토론, 추론, 판단의 여지를 차단할 수 있음
반성적 추상화를 촉진할 수 있는 내용을 다루고 있는가? ‘생활에서 찾아봅시다’에서는 앞서 이루어진 ‘생각해 봅시다’와 ‘읽고 토론해봅시다’ 활동을 통해 다룸 판단은 교과서가 미리 내리고 학습자는 이미 내려진 결론의 근거를 찾아 제시하는 형식임
학습을 위한 상호작용으로서 의사소통, 문제 해결, 상호 조정 행동을 통해 협동적으로 대화활동을 통해 도덕적 대안을 탐구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읽고 토론해 봅시다’ 활동이 대화와 협력을 통한 학습 지향 토론, 논쟁보다는 교사와 학생의 질의응답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
도덕적 갱신을 지향하는 사회적 변화의 과정에 직접 참여하거나 도덕적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개인적 차원의 도덕적 행동과 마음씨가 중요시되면서 사회적 변화나 과정에 직접 참여 등의 중요성은 부각되지 않음 갈등을 일으키는 딜레마 상황이나 문제를 안고 있는 상황에 대한 올바른 행동실천이 아니라 단순하게 주어진 상황에서 어떻게 할 것인지와 관련한 실천으로 귀결
사회현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을 경험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안을 평가하며, 나아가 도덕 규칙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부여하고 있는가? 사회현상을 도덕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판단하는 기준이 도덕철학이나 윤리학적 준거가 수령, 지도자의 교시가 유일한 준거로 제시됨 관련된 일상 사례 등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사고의 깊이와 범위를 제약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