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적 관점 | PISA 2015 (OECD, 2017) | ① 목적 및 기준(purpose and criteria): 어떤 목적으로 평가하는지, 정해진 목표를 공유하는지를 의미하며, 성적 산출을 위한 채점 기준도 포함함.② 실행(practices): 교사개발평가나 표준화검사 등 평가에 사용하는 도구를 말함.③ 활용 및 결과(use and consequences): 미리 정해진 목표에 따라 평가결과를 활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활용 방식은 형성적 방법과 종합적 방법으로 구분함. |
McMillan (2014) | ① 평가목적(purpose): 어떤 평가를 왜 시행하는지, 평가를 통해 어떤 정보가 수집될 것인지, 수집된 정보가 교사의 의사결정에 어떠한 도움을 줄지 등 명확한 계획을 의미함.② 측정(measurement): 어떠한 기법을 이용하여 학생 정보를 수집할 것인지를 의미하며, 공식적 비공식적 절차를 모두 포함하고 다양한 기법(검사, 평정, 관찰, 면담 등)이 사용됨.③ 해석(interpretation): 측정결과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어떤 기준을 사용하여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가 포함됨.④ 결과활용(use): 진단이나 성적부여, 교수적 의사결정 등 어떤 용도로 평가결과를 활용하는지 의미함. |
거시적 관점 | UNESCO NEQMAP (정혜경 외, 2016; Tom, 2016) | ① 평가전반(assessment): 평가목적 및 체계를 의미하며, 평가의 타당성과 공정성을 포함.② 채점(marking): 학생 작업을 채점하고 증거를 기록하는 것으로 참된 평가 과제, 루브릭 이용, 기준대비 학생의 성취보고 등을 포함.③ 교사 및 학교 간 조정(moderation among teachers and schools): 교사 판단의 일관성을 위해 협동하여 평가계획을 세우거나 연간 공통된 과제 작성, 채점을 위한 공통 기준, 기준 공유 등을 의미함.④ 수요자에 대한 피드백(feedback to learners): 교사나 학생에 대한 시의적절하고 관련성 있으며 발전적인 피드백 제시를 의미하며, 구두 및 서면 피드백을 모두 포함.⑤ 데이터 활용(use of data): 교수 조정, 학습요구 충족, 목표 설정 등을 위한 결과 활용을 의미함.⑥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 연계(alignment):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평가, 결과 제공의 연계성으로 각각에 대한 순환적 피드백 제공을 의미함.⑦ 교직원 전문성 개발(professional development of staff): 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전문성을 의미함. |
거시적 관점 | OECD (2013) | ① 거버넌스(governance): 평가목적과 평가계획의 책임배분과 관련된 것으로, 평가목적은 형성적 방식과 총괄적 방식으로 구분함.② 역량함양(capacity building): 평가에 참여하는 학생, 교사, 평가 전문기관 등이 가져야할 평가전문가로서의 역량을 의미함③ 절차(procedures): 어떤 평가도구를 얼마나 사용하며 평가결과 산출에 어떤 기준을 활용하는지 말함.④ 결과활용(use of results): 평가결과의 활용으로, 교육적 요구 식별이나 학생에 대한 피드백 제공 등 발달적 관점에서 활용하는 형성적 방식과 성적을 학생의 진급이나 반 편성 등의 의사결정이나 학교의 학업 향상 정도, 교사의 효과성 등 책무성 관점에서 활용하는 총괄적 방식으로 구분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