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초·중등학교 교육평가 변화 방해 요인 | 초등학교 | ▫교육주체(교사, 학생, 학부모)의 교육평가 변화에 대한 인식 | 25.9 |
▫교사의 평가 전문성 부족 | 16.2 |
▫현행 교육평가의 문제(다양성 부족, 객관적 평가에 대한 공정성 맹신 등) | 12.9 |
▫교사의 과중한 업무 부담 | 6.8 |
▫지역 및 사회경제적 환경에 따른 교육 격차 | 6.4 |
▫기타 | 31.8 |
중학교 | ▫교육주체(교사, 학생, 학부모)의 교육평가 변화에 대한 인식 | 21.6 |
▫교사의 평가 전문성 부족 | 14.8 |
▫현행 교육평가의 문제(다양성 부족, 객관적 평가에 대한 공정성 맹신 등) | 12.7 |
▫상급 학교 진학 | 11.7 |
▫지역 및 사회경제적 환경에 따른 교육 격차 | 6.0 |
▫교사의 과중한 업무 부담 | 4.7 |
▫기타 | 28.7 |
고등학교 | ▫대학 입시 정책 | 33.5 |
▫교육주체(교사, 학생, 학부모)의 교육평가 변화에 대한 인식 | 28.5 |
▫교사의 평가 전문성 부족 | 20.5 |
▫현행 교육평가의 문제(다양성 부족, 객관적 평가에 대한 공정성 맹신 등) | 12.0 |
▫지역 및 사회경제적 환경에 따른 교육 격차 | 3.3 |
▫기타 | 2.3 |
미래 초·중등학교 교육평가 변화를 위한 개선점 | 초등학교 |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 28.2 |
▫현행 교육평가 개선(다양성 부족, 객관적 평가에 대한 공정성 맹신 등) | 18.1 |
▫교육주체(교사, 학생, 학부모)의 교육평가 변화에 대한 인식 개선 | 16.5 |
▫교사 업무 경감 | 5.5 |
▫기타 | 31.7 |
중학교 | ▫현행 교육평가 개선(다양성 부족, 객관적 평가에 대한 공정성 맹신 등) | 32.8 |
▫교육주체(교사, 학생, 학부모)의 교육평가 변화에 대한 인식 개선 | 14.7 |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 13.1 |
▫상급학교 진학 전형 정비 | 6.1 |
▫교사 업무 경감 | 4.9 |
▫기타 | 28.5 |
고등학교 | ▫현행 교육평가 개선(다양성 부족, 객관적 평가에 대한 공정성 맹신 등) | 26.6 |
▫대학 입시 정책 정비 | 17.9 |
▫교육주체(교사, 학생, 학부모)의 교육평가 변화에 대한 인식 개선 | 14.4 |
▫진로 설계 및 준비 지원 | 9.9 |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 8.9 |
▫교사 업무 경감 | 3.3 |
▫기타 | 1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