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IV-1 의사소통 역량 하위요소가 반영된 2015 개정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수

하위영역 코드 하위요소 성취기준 수
의사소통 도구 의 K-Ⅰ-1 언어, 준언어, 비언어의 특성에 대한 이해 13
의 K-Ⅰ-2 장르와 언어 관습에 대한 이해 28
의 K-Ⅰ-3 다양한 매체와 매체 자료에 대한 이해 14
의사소통 맥락 의 K-Ⅱ-1 의사소통 참여자에 대한 이해 11
의 K-Ⅱ-2 의사소통 목적에 대한 이해 17
의 K-Ⅱ-3 의사소통 상황에 대한 이해 12
의사소통에서 의미 수용과 평가 의 S-Ⅰ-1 핵심 내용 파악하기 11
의 S-Ⅰ-2 의도, 목적, 내용 추론하기 17
의 S-Ⅰ-3 비판적, 성찰적 수용하기 13
의 S-Ⅰ-4 감상적 수용하기 14
의사소통에서 의미 생산과 표현 의 S-Ⅱ-1 설득과 문제해결하기 6
의 S-Ⅱ-2 정보 전달과 공유하기 7
의 S-Ⅱ-3 관계 지향적 소통하기 10
의 S-Ⅱ-4 정서 표현하기 8
의사소통의 점검과 조정 의 S-Ⅲ-1 의사소통 내용의 점검과 조정 14
의 S-Ⅲ-2 의사소통 과정의 점검과 조정 13
의사소통 참여자에 대한 존중 의 A-Ⅰ-1 경청, 공감 3
의 A-Ⅰ-2 배려, 예절 4
의 A-Ⅰ-3 다양성에 대한 인정 4
의사소통 에서의 적극성 의 A-Ⅱ-1 의사소통에 대한 자신감 6
의 A-Ⅱ-2 의사소통에 대한 관심과 참여 13
의사소통 에서의 책임감 의 A-Ⅲ-1 의사소통 윤리 3
의 A-Ⅲ-2 의사소통 결과의 수용과 실천 의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