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시·도 학업성적관리지침에 나타난 교사별 학생평가

지역 학교 급 내용
강원 학생평가는 교사별 평가로 실시한다. 교사의 평가권을 최대한 보장하여 평가 및 수업 혁신을 이끌 수 있도록 한다. ※ 교사별 평가란 담임교사(수업 담당 교사)가 자신이 지도한 내용에 따라 평가 방법, 평가 시기, 평가 관점 등을 정하여 학생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교사의 평가권을 최대한 보장하여 교육과정 혁신, 수업혁신을 이끌고자 하는 평가방안(강원도교육청a, 2017, p.1)
수행평가는 교사별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교과협의회에서는 각 과목의 교육과정 및 학교․교과의 특성을 감안하여 수행평가의 영역․방법․횟수․세부기준(배점)․반영비율, 교사별 수행평가 대상 과목․영역 등과 성적 처리방법 및 결과의 활용 등에 관한 수행평가 계획을 수립하여 학교 학업성적관리위원회에 제출한다(강원도교육청b, 2017, p.7).
수행평가는 교사별 평가로 할 수 있다. 수행평가의 영역 및 반영비율 등 기본적인 사항은 동학년 동교과 내에 동일하게 적용하되 세부적인 시행일시, 내용, 방법 등은 교사별, 학급별로 다양하게 시행할 수 있다(강원도교육청c, 2017, p.7).
경기 교사별 평가란 수업 당당 교사가 지도한 내용과 방법에 기반하여 지도한 학생을 대상으로 자신이 출제한 문항으로 실시하는 평가를 의미한다(경기도교육청a, 2017, p.2).
중ㆍ고 수행평가는 교사별 평가로 실시할 수 있다. 시기, 영역, 방법, 횟수, 세부기준 (배점), 반영비율, 내용 등 구체적인 방법은 교과협의회에서 정하고, 학업 성적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교장이 정한다(경기도교육청b, 2017, p.13; 경기도교육청c, 2017, p.13).
세종 [질의] 수행평가의 비율이나 항목수를 교사별 평가의 일환으로 교사마다 달리 적용할 수 있나요?[답변] 수행평가 영역, 방법, 횟수, 세부기준(배점), 반영비율, 내용 등을 교사별 평가로 실시할 수 있습니다. 이때 반드시 교과협의회를 거쳐 학업성적관리위원회에서 심의하여 결정합니다. 그러나 현재의 나이스에서는 교사별로 비율을 달리하거나, 수행평가 항목 수를 달리할 수는 없습니다(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2017, p.74).
전남 중ㆍ고 수행평가는 모든 교과에서 시행하며, 교사별로 평가를 시행할 수 있다(전라남도교육청, 2017, p.8).
충남 평가는 해당 학년의 모든 학생에게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는 일제식 평가 및 객관식 중심의 지필평가가 아닌, 교사별 과정중심 상시형 수행평가를 실시하여야 하며, 지필평가를 실시할 경우 학년성에 맞는 주관식(서술형, 논술형 등)평가를 중심으로 한다(충청남도교육청, 2017, p.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