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역 | 하위 항목 | 설문 문항 내용 |
---|---|---|
학생평가 실태 조사 | 평가 시기 결정 | 공통 시험 기간에 시행/내가 자유롭게 정하여 시행 |
출제 방식 결정 | 혼자 출제/분업 출제/협업 출제 | |
평가 대상 범위 | 가르친 학생만을 대상으로/학년 전체를 대상으로 | |
성적 산출 방식 | 가르친 학생만을 대상으로/학년 전체를 대상으로 | |
수업 운영 방식 | 한 학년 전체/한 학년 일부 반/한 학년의 일부 단원/한 학년의 일부 반 및 일부 단원 담당 | |
교사별 학생평가 인식 조사 | 교사별 학생평가에 대한 인식 | 교사별 학생평가 찬성 또는 동의 정도 및 이유 |
교사의 재량권에 대한 인식 | 현재 교사의 재량권 정도 | |
교사별 학생평가에 도입 시 요구되는 교사의 재량권 정도 | ||
교사별 학생평가의 장점 | 교사별 학생평가 장점 | |
교사별 학생평가 신뢰도 확보 방안 | 교사별 학생평가 확산 시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방안 | |
교사별 학생평가 시행에 필요한 요인 | 교사별 학생평가 시행에 필요한 교사 요인 | |
교사별 학생평가 시행에 필요한 외부 요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