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3 교사별 학생평가의 성공적 시행을 위해 필요한 교육 환경

교육환경 여건 초등 중학교 고등학교
N 평균 표준 편차 N 평균 표준 편차 N 평균 표준 편차
교사별 적정한 담당 학생 수 527 3.72 0.5 275 3.72 0.46 307 3.63 0.51
적정한 학급당 학생 수 532 3.71 0.51 281 3.69 0.47 310 3.59 0.52
교사의 평가권을 신뢰하는 사회적 분위기 526 3.68 0.51 270 3.68 0.48 304 3.55 0.54
입시 위주의 학생평가 제도 개선 523 3.65 0.56 277 3.65 0.53 305 3.56 0.55
교사의 주당 수업시수 감소 527 3.64 0.58 271 3.7 0.5 306 3.54 0.58
교원업무 정상화 524 3.64 0.58 272 3.63 0.52 306 3.51 0.56
학교의 민주적 문화 527 3.6 0.55 277 3.61 0.52 307 3.45 0.56
학부모 교육을 통한 학생평가 인식 전환 529 3.59 0.57 270 3.57 0.51 305 3.35 0.61
학생평가 관련 자료 제공 530 3.58 0.56 272 3.55 0.53 305 3.47 0.53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지침과 시도교육청의 지침의 세부사항의 간략화 524 3.57 0.58 272 3.54 0.55 304 3.45 0.62
문제은행을 통해 다양한 평가 문항(지필 평가, 수행평가) 제공 532 3.55 0.64 280 3.43 0.65 306 3.35 0.69
교원양성과정에서 학생평가 교육 및 훈련 강화 530 3.55 0.57 274 3.55 0.54 307 3.39 0.61
다양한 홍보를 통한 학생평가 인식 전환 530 3.53 0.6 274 3.55 0.51 308 3.33 0.61
교원 수 증가 525 3.51 0.65 280 3.64 0.52 306 3.48 0.62
학생평가 관련한 민원처리 시스템의 확보 528 3.42 0.72 276 3.51 0.61 305 3.42 0.61
학생평가 관련 교사 연수 활성화 532 3.38 0.64 278 3.47 0.6 308 3.33 0.55
평가 계획 및 평가 문항에 대한 컨설팅 강화 529 3.29 0.74 272 3.28 0.7 305 3.27 0.64
행정업무 수행 능력 위주의 교원승진정책 개선 519 3.28 0.91 271 3.3 0.81 299 3.19 0.85
학생 수준별 반 편성 520 2.59 1.06 279 2.98 0.94 303 3.07 0.83
교원평가의 활성화 518 2.48 1.09 277 2.76 0.96 307 2.82 0.92
학생에게 교사 선택권 부여 513 2.31 1.09 268 2.66 0.97 303 2.87 0.89
대입 학생부 종합 전형 방식 개선 301 3.56 0.54
세부 능력 특기 사항 작성 시 교사 간 편차 개선 304 3.47 0.6
초등학교 평균을 기준으로 정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