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교사별 학생평가 시행의 장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N 평균 표준 편차 N 평균 표준 편차 N 평균 표준 편차
수업과 평가의 연계 538 3.51 0.6 283 3.41 0.61 308 3.28 0.7
과정 중심 평가 537 3.44 0.63 274 3.38 0.59 303 3.23 0.7
교사의 학생평가 자율성 신장 540 3.42 0.67 277 3.38 0.62 307 3.22 0.66
다양한 유형의 평가 방법 사용 536 3.37 0.68 282 3.37 0.61 308 3.21 0.7
교사의 교육 자주권 회복 532 3.36 0.7 283 3.28 0.69 307 3.13 0.72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향상 534 3.34 0.7 281 3.28 0.68 304 3.05 0.74
교사의 수업 기획력 향상 536 3.34 0.69 274 3.35 0.62 305 3.13 0.73
교사의 교수·학습 방법 개선 535 3.3 0.72 279 3.29 0.66 307 3.11 0.73
다양한 수업 활동 536 3.29 0.73 274 3.32 0.67 305 3.18 0.72
학생 개별평가 개별지도 가능 537 3.25 0.75 279 3.13 0.74 306 2.92 0.8
학생의 시험 스트레스 해소 534 2.97 0.89 271 2.79 0.86 306 2.54 0.9
입시 위주의 교육 문화 개선 530 2.87 0.99 271 2.89 0.89 307 2.63 0.93
행정 업무가 중요시 되는 학교 문화 개선 528 2.73 1.04 273 2.73 0.96 306 2.45 0.98
초등학교 평균을 기준으로 정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