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IV-3 정의적 성취 변인 모형별 다층분석 결과(모형 1, 2)

통제모형(모형1) 수업환경 모형(모형2)
내적 동기 도구적 동기 자아효능감 내적 동기 도구적 동기 자아효능감
상수 −.091*** .049* .001 −.093*** .049** .000
학생수준 수업환경 과학수업분위기 .004 .007 −.008
과학교사지지 .224*** .186*** .172***
수업실제 탐구중심수업
교사중심수업
형성평가 피드백
수업조정
통제변인 ESCS .185*** .078** .309*** .185*** .078** .308***
과학성취수준 .675*** .338*** .437*** .673*** .336*** .434***
성별 .360*** .205*** −.020 .358*** .202*** −.025
학교수준 수업환경 m과학수업분위기 .205** .260** .214**
m과학교사지지 .331*** .179* .161*
수업실제 m탐구중심수업
m교사중심수업
형성평가 m피드백
m수업조정
통제변인 mESCS .120 .151 .217* .122 .163 .226*
m과학성취수준 .910*** .480** .678*** .676*** .221 .462**
m성별 .363*** .241*** .033 .435*** .342*** .117*
p<.05,
p<.01,
p<.001; 이탤릭체는 유의한 구성효과를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