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 소경희 | 간학문적이고 맥락적 지식을 강조하는 지식기반사회에서 교육과정은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가 | 2007 | 윤현진 외 |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
손민호 | 실천적 지식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역량은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 2008 | 이광우 외 | 초중등학교, 고등교육, 직업세계/평생학습세계에서 강조되는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
2007 | 소경희 | 역량은 무엇이며 교육과정에 어떤 함의를 주는가? | 2009 | 이광우 외 | 핵심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국가 교육과정은 어떻게 설계될 수 있는가? |
소경희, 이상은, 박정열 | 역량기반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 2010 | 홍원표, 이근호 |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은 무엇인가? |
오헌석 | 역량 중심 접근이 기반하고 있는 철학적, 인식론적 가정은 무엇이며 역량 중심 인적자원 개발의 쟁점과 방향은 무엇인가? | 2011 | 최승현 외 |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수업에서 강조되는 교수・학습과 평가의 양상은 무엇인가? |
윤정일 외 | 역량은 무엇이며 유사개념들과의 관계는 무엇인가? | 2012 | 이근호 외 | 핵심역량 반영 국가 교육과정은 어떻게 구상할 수 있는가? |
2009 | 고영준 | 교과와 관련하여 실천적 개념으로서의 역량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 2013 | 곽영순 외 | 핵심역량 반영 과학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 선되어야 하는가? |
박민정 |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현재 학교교육에 함의하는 바는 무엇이며 핵심역량에 대해 어떤 오해가 있는가? | 김동영 외 | 핵심역량 신장을 위해 학교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모형과 평가문항의 실제 모델은 무엇인가? |
소경희 | 역량기반 교육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역량기반 교육이 가지는 자유교육적 성격은 무엇인가? | 김영춘 외 | 핵심역량 반영 제2외국어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 |
2010 | 이흔정 |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무엇이고 그것이 함의하는 교육과정 개혁의 특징적 요소와 비판적 쟁점은 무엇인가? | 변희현 외 | 핵심역량 반영 수학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 |
2012 | 김해윤 외 | 핵심역량에 대하여 교사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 서영진 외 | 핵심역량 반영 국어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 |
류성창 | 역량 함양에서 인지적 요소는 어느 정도로 중요한가? | 서지영 외 | 핵심역량 반영 체육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 |
이승미 | 독일 헤센 주에서는 역량을 교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하였으며, 역량기반 학교 교육과정 설계를 어떻게 지원하였는가? | 이근호 외 | 핵심역량 반영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는 방안은 무엇인가? |
2013 | 소경희, 강지영, 한지희 |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구체적 양상은 무엇인가? | 이근호 외 |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은 무엇이고,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교육평가를 연계하여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 |
최은주 | 학교는 역량기반 교육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쟁점은 무엇인가? | 이미숙 외 | 핵심역량 반영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 |
2014 | 노승현 | 경기도 교육청에서 핵심역량 중심 교육은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가? | 이정우 외 | 핵심역량 반영 사회(일반사회)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 |
백남진 | 교과 특수 역량을 염두에 둘 때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어떻게 개발되어야 하는가? | 임찬빈 외 | 핵심역량 반영 영어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 |
백남진, 온정덕 | 역량에 기반한 교과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발되어야 하는가? | 진재관 외 | 핵심역량 반영 역사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 |
이경호, 안선회 | Cooper의 4차원 정책 모형에 의거할 때, 역량기반 교육을 활성화하는 교육적 과제와 정책 방안은 무엇인가? | 최상덕 외 | 핵심역량 함양을 위하여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는 어떻게 혁신되어야 하는가? |
이미미 | 호주와 미국의 역사 교과 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 2014 | 박순경 외 | 1. 핵심역량의 의미와 요소는 무엇인가?2.핵심역량을 교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방안은 무엇인가? |
홍원표, 곽은희 | 교사들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가? | 이광우 외 | 교과 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을 어떻게 반영할 수 있는가? |
2015 | 강이화 | 2015 통합 교과 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이 타당하게 반영되어 있는가? | 이상하 외 | 핵심역량은 어떤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핵심역량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은 무엇인가? |
구교은 | 초등학교 교사는 핵심역량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 진의남 외 | 핵심역량 반영 도덕, 실과, 체육, 음악, 미술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 |
백남진, 온정덕 | 호주 국가 교육과정에서 일반역량과 교과특수역량은 어떻게 관련되며 교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 | 최상덕 외 | 핵심역량 함양을 위하여 초, 중, 고등학교 교육을 혁신할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이며 정책 과제는 무엇인가? |
백은진 | 2015 총론 및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 교과 역량은 어떻게 설정되었으며, 그 문제는 무엇인가? | 2015 | 김경자 외 (2015a)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을 어떻게 반영할 수 있는가? |
서영진 | 2015 총론 및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 교과 역량은 어떻게 설정되었으며, 그 문제는 무엇인가? | 김경자 외 (2015b)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을 어떻게 반영할 수 있는가? |
조상연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전반에 반영된 핵심역량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 이광우 외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을 어떻게 반영할 수 있는가? |
최연아 | 초등학교 교사들은 역량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실천하고 있으며 실천 과정에서의 쟁점은 무엇인가? | 진의남 외 | 핵심역량 반영 실과, 체육, 음악, 미술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 |
2016 | 김현진 | 역량 개념을 교육과정 재구성에 적용하는 의의는 무엇이며, 역량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의 방법과 특징은 무엇인가? | 2016 | 권점례 외 | 2015 개정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초등 통합, 정보 교과 역량 함양 방안은 무엇인가? |
안유정 |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의미는 무엇이며, 역량 중심 교육과정 적용의 난점은 무엇인가? | 윤종혁 외 | OECD Edcuation 프로젝트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
윤지영, 온정덕 | 역량의 특성 중 하나인 총체성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으며, 총체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은 어떻게 설계될 수 있는가? | 이미경 외 | OECD Edcuation 2030 참여국의 교육과정에서 역량은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가? |
임유나(2016a) |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 제시 방식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 이정우 외 | 교실 수준에서 교과를 통해 함양된 핵심역량은 평가할 수 있는가?(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을 중심으로) |
임유나, 장소영 |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은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 역량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 한혜정 외 | 초, 중, 학교 교사들은 핵심역량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
한혜정, 김영은, 이주연 | 교육목적으로서 ‘일반 능력’ 설정의 의의는 무엇이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관계는 무엇인가? | |
2017 | 이주연 외 | 역량기반 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
홍원표 |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이론적・실제적 쟁점은 무엇이며, 향후 긍정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