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조직 및 인사 | 자유학기제 운영 조직 | 자유학기제 운영 조직 교내 인사 구성 |
각종 협의회 운영 | 교과협의회 운영 |
학년협의회 운영 |
외부 인사 | 확보된 외부강사 인원 |
자유학기제 활동 중 외부 강사가 필요한 활동 |
교과수업에서 외부 인사 활용이 가장 필요한 경우 |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해 필요한 외부 강사 확보 정도 |
외부 강사 확보의 어려움 |
재정 및 예산 | 예산 비중 및 필요성 |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해 가장 많이 투입되고 있는 예산 항목 |
부족한 예산 | 학생들의 희망·요구가 많으나 예산부족으로 개설하지 못한 자유학기 활동 |
교과수업 예산 | 자유학기 이전과 비교할 때 교과수업에서 예산 사용 증가 정도 |
교과수업을 위한 예산 필요성 |
시설·설비 | 부족한 시설·설비 | 자유학기제를 운영하는 데 있어 부족한 시설·설비 |
시설·설비 부족으로 인해 운영이 어려운 자유학기 활동 |
학교 문화 | 교사 학습공동체 | 교사 학습공동체 운영 여부 |
교사 학습공동체가 교사 역량 및 수업 개선에 유용한 정도 |
교사 관계·학교 문화·리더십 | 교사 간 협력이 많이 이루어지는 분야 |
교사 간 갈등이 많이 발생하는 분야 |
학교장의 적극적 리더십 발휘 |
교사들의 참여적 분위기 |
교사 간 활발한 의사소통 및 교류 |
관리자와 교사 간 활발한 의사소통 및 교류 |
지역사회·학부모와의 관계 | 지역사회 활용 | 지역사회 체험장 확보 정도 |
학생 1인당 지역사회 체험장 활용 횟수 |
지역사회 체험장 활용에서 가장 어려운점 |
지역 인사 활용에서 가장 어려운점 |
학부모지원단 | 학부모지원단 구성 여부 |
학보무지원단의 지원 활동 분야 |